# 56세 직장인 김모(여) 씨는 오늘도 출근 준비 때문에 새벽부터 눈을 떴다. 침대에서 일어나자 조명이 자동으로 켜지고, 미세먼지를 감지한 공기청정기는 알아서 작동하고 있다. 출근을 서두르느라 가스밸브를 잠갔는지, 문단속을 제대로 했는지 궁금하면 스마트폰에 설치한 앱으로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김모 씨는 스마트홈을 갖춘 집에서 살고 있다.
최근 집과 관련한 트렌드로 스마트홈이 주목받고 있다. 온수나 전기만 들어와도 편리하게 여겼던 시절에 비하면 스마트홈은 그야말로 개념이 다른 집이다. 얼마 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제품 전시회 ‘CES 2018’에서도 전 세계 이목은 스마트홈에 집중됐다. 글로벌 기업들의 첨단기술로 집의 개념은 나날이 진화하고 있다.
‘스마트홈(smart home)’은 말 그대로 ‘똑똑한 집’을 말한다. 집이 똑똑해지면 당연히 편리함도 따라올 수밖에 없다. 자동으로 가스밸브를 잠그고, 조명이 저절로 꺼지는 집.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해 공기청정기가 알아서 작동하는 집. 과거라면 상상 속 이야기이겠지만, 스마트홈에서는 가능하다. 모든 제품을 인터넷 센서로 연결해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술을 사물인터넷(IoT)이라 부른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앱을 직접 활용하지 않아도 센서가 사람의 행동을 파악해 작동하는 등 사물인터넷 기술이 진보하고 있다.
# 주말 아침에 늦잠을 자고 일어난 김모 씨. 인공지능(AI) 스피커와 간단한 인사를 나눈다. 인공지능 스피커는 오늘의 날씨와 뉴스 그리고 서울 근교의 교통 상황까지 꼼꼼하게 알려준다. “신나는 최신 가요 좀 들려줘”라고 말하니 이내 경쾌한 최신 가요가 흘러나온다. 늦은 아침으로 적합한 음식을 인공지능 냉장고에 물어본 뒤 화면에 나타난 상세 조리법을 읽는다. 그마저 귀찮으면 선택한 조리법을 음성으로 읽어달라 부탁하고 신속하게 아침을 해결한다. 식사 후엔 얼마 전 구입한 식품의 유통기한을 인공지능 냉장고를 통해 체크한다. 부족한 식재료는 냉장고 화면의 마트 앱에서 일괄 주문한다.
스마트홈 허브 기기들
스마트폰으로 가전제품을 제어하던 스마트홈 기술은 음성인식 인공지능이 담긴 스피커와 냉장고가 가세하면서 진일보하고 있다. 스피커나 냉장고가 사용자의 환경과 행동을 분석해 날씨나 뉴스 등의 정보를 알려주고, 음악도 들려준다. 또 TV나 에어컨, CCTV 등 다른 제품을 작동시키기도 한다. 사람이 할 일을 스피커나 냉장고가 대신 해주는 셈이다. 이와 같은 제품들은 스마트홈을 움직이는 허브로서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어떤 제품을 활용할지는 사용자의 몫이다.
우선 인공지능 스피커는 아마존의 ‘에코’와 구글의 ‘구글홈’이 대표적인 제품으로 꼽힌다. 2014년에 출시된 에코는 최초의 인공지능 스피커로 알려져 있다. 아마존의 음성인식 인공지능 비서 ‘알렉사’가 내장되어 있다. 에코가 출시된 후 약 3년 만에 내로라하는 글로벌 IT 기업은 물론 국내 통신사, 대기업, 인터넷 포털 회사까지 뛰어들어 속속 인공지능 스피커를 선보이고 있다. 애플도 최근 ‘홈팟’을 출시했다. 국내에서는 KT가 ‘기가지니’, SK텔레콤이 ‘누구’, LG전자가 ‘스마트씽큐 허브’, 카카오가 ‘카카오미니’를 각각 출시해 발 빠른 추격전을 펼치고 있다.
다른 제품과 결합되는 ‘인공지능 플랫폼’
인공지능 스피커 시장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삼성전자는 인공지능 냉장고를 출시했다. 이 냉장고는 음성인식 인공지능 ‘빅스비’를 내장해 집 안의 다른 제품들을 제어할 수 있다. ‘CES 2018’에 처음으로 참가한 아마존과 구글은 각 사의 인공지능 음성비서인 ‘알렉사’와 ‘구글어시스턴트’를 적극 홍보했다. 인공지능 플랫폼은 스피커를 비롯해 어떤 제품과도 결합할 수 있어, 이번 홍보전을 통해 시장 선점효과를 노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삼성전자도 2020년까지 삼성의 모든 스마트기기에 인공지능 ‘빅스비’를 넣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으로 삼성의 모든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음식을 보관하는 냉장고와 더러운 옷을 세탁하던 세탁기가 음성으로 움직이고, 사용자 환경에 따라 알아서 작동되는 시대가 온 것이다.
# 김모 씨는 시골에서 혼자 지내는 노모(81세)가 항상 걱정이다. 그래서 전기 사용량으로 안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기와 낯선 사람이 침입하면 알려주는 기기도 설치해드렸다. 또 화장실을 비롯해 집 안 곳곳에 부착된 센서는 응급상황을 체크해 어머니에게 위험한 일이 발생하면 바로 김 씨에게 알려준다.
이처럼 스마트홈을 통해 혼자 계신 부모님에 대한 걱정을 덜 수도 있고, 귀가가 늦을 때 홀로 있는 반려견을 원격으로 케어할 수도 있다. 스마트홈은 특히 시니어에게 다양한 혜택을 가져다준다.
스마트홈을 이용하는 두 가지 방법
우리 집을 스마트홈으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현재 살고 있는 집이든, 새로 짓는 집이든 스마트홈 구축은 가능하다. 현재 살고 있는 집을 스마트홈으로 바꾸는 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우선 홈 CCTV 같은 필요한 사물인터넷 기기들을 구매하면 된다. 이런 기기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대부분 이동통신사에서 판매한다. 비용은 핸드폰처럼 월 이용료를 낸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다음 스마트홈이 가능한 제품을 구입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제품을 선택하면 된다. 주의할 점은 아직 사물인터넷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같은 제조회사나 유통회사처럼 서로 연결이 가능한 제품을 구매해야 한다.
스마트홈은 이제 우리 일상으로 성큼 다가오고 있다. 물론 사물인터넷의 표준화, 보안, 비용과 같은 해결해야 될 문제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홈은 시니어의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도울 수 있는 새로운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나영 시니어 전문 칼럼니스트
한국외국어대학교 졸업. 차의과학대학교에서 고령친화산업학을 전공했다. 한화그룹과 신한은행에서 근무했다. 현재 경향신문에서 고령사회 담당 객원기자로 활동 중이며, ‘이나영의 고령사회 리포트’를 연재하고 있다.
<다음 연재 순서>
③ 자율주행에서 건강관리까지 스마트카의 시대가 온다
④ 식스 포켓(six pocket) 시대, 손주와 SNS로 친해지기
⑤ 해외 시니어 여행 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