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평원에서 본 ‘인문’

기사입력 2018-03-09 08:53 기사수정 2018-03-09 08:53

교보문고 광화문 세미나실에서 ‘생각의 깊이 사진으로 더하다’라는 제목으로 달을 넘기며 강의한 내용이 ‘사진으로 만나는 인문학’이란 책으로 출간되었다. 나는 출판사에서 제안한 인문학이란 단어에 손사래를 쳤다. 솔직히 부담스런 제목이었다. 그런데 몽골에서 다시 인문학을 꺼내 들 일이 생겼다. 아직 추운 몽골 봄 평원에서 인문이란 단어가 푸른 하늘로 경쾌하게 피어났다.

(함철훈 사진가)
(함철훈 사진가)

사진기를 들고 며칠째 몽골의 부자를 따라다녔다. 국어사전에 정의된 부자란 재물이 많아 살림이 넉넉한 사람을 뜻한다. 그리고 요즘 재물의 척도는 물론 돈이다. 그러나 내가 만난 몽골 부자는 양과 약대를 많이 치고 있는 사람이며, 몽골 정부로부터 ‘새끼 잘 키우는 목자 상’을 받은 사람이다. 난 이 부자를 만나기 위해 우리에게 길을 안내한 마을 공무원과 경찰까지도 애를 먹였다. 몽골 거부라는 그의 권위 때문이 아니라 떠돌아다녀야 하는 그의 일 때문에 그들을 찾기가 참 힘들었다.

어렵게 그들을 만난 후 내게는 부자에 대한 새로운 기준이 생겼다. 유목민에게는 자기가 키우는 생명의 수를 늘리는 것이 목표이지만 돌보는 가축이 많아질수록 생활은 고단하고 삶은 바빠진다. 유목민이란 시장에서 사료를 사다 먹이는 목축업자가 아니라, 자기 가축을 위해 날마다 신선한 목초와 물을 찾아다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목자가 거느리는 가축의 수가 늘수록 다른 이웃 유목민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더 먼 변두리 지역으로 떠돌아다녀야 한다. 그래서 내가 만난 몽골 유목민 부자는 아주 단출한 집 한 채만 갖고 있었고, 살림살이에도 사치가 없었다. 좋은 옷을 입고 누구에게 자신의 부를 뽐낼 일도 없다. 몽골 유목민의 삶을 지켜보는 것은 부자에 대한 나의 선입견을 일깨우는 기분 좋은 일이었다.

이른 봄, 마침 가축들이 새끼를 낳을 때였다. 그의 가족들은 벌판 여기저기에 낳은 새끼들을 가죽 부대에 담아오기 바빴다. 목자가 조금만 한눈을 팔아도 갓 태어난 새끼들은 늑대에게 잡혀 먹히고, 추위와 바람에 얼어 죽기 때문에 목자의 식구들은 말과 오토바이를 이용해 생명과 시간을 최대한 아꼈다.

부지런히 새 생명을 거두고, 종일 그런 어미들을 배부르게 먹이기 위해 그나마 나은 초장을 찾아다니다 날이 저물어 양과 염소를 몰고 돌아온 몽골 부자 바뜨비앙의 얼굴에는 오늘도 지친 기색이 없다. 어린 생명이 가여워 이처럼 그들을 하루하루 돌보다 보니 어느 날 번성해 떼를 이루었단다. 부자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는 일이 보람 있고 재미있어 매 순간이 행복하고, 우러나 하는 일이기에 자유롭다고 한다.

다음 날 이른 아침, 바뜨비앙의 아이들은 어린 양과 염소들을 한 마리씩 들어보고 어미가 기다리고 있을 우리 방향으로 던져준다. 새끼들에게 들볶이지 않고 잠을 잘 잔 어미들이 젖을 줄 시간이다. 아무리 봐도 내 눈엔 그 녀석이 그 녀석 같은 어린 양과 염소들의 어미를 분별하는 아이들의 눈썰미가 감탄스러울 뿐이다.

학교에서 배운 인문학은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우스’에서 시작한다. 그 얘기 중 전쟁을 마치고 귀향길에 하데스로 내려간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전쟁의 영웅이었던 전우 아킬레스에게 반가운 인사를 하자 대답하는 말의 의미가 심장하다.

“죽음에 대해 내게 그럴싸하게 위로하지 마시오, 내가 여기서 죽은 자들을 지배하고 있지만, 차라리 재산도, 이름도 없는 사람 밑에서 품이라도 팔며 살고 싶소!”

죽음의 위력에 굴복해 살고 있는 당시 사람들을 일깨우는 호메로스의 위대함이 그 말에 있다. 사고의 전환을 선언하는 서양의 첫 서사시는 그렇게 열린다. 결국 생명! 특히 인생의 소중함을 생각하는 것에서 인문학은 방향을 잡는다.

몽골에서 가장 약대와 양이 많다는 몽골 부자의 아이들은 막상 사설학원에 갈 시간도, 부자 부모의 돈을 쓸 시간도 없다.

저만치 떨어져 막 태어난 양과 염소를 돌보면서 바뜨비앙 부부가 아이들에게 외친다.

“누가 어미인지 잘 모르겠거든 아빠 엄마에게 물어봐라!”

아직 추운 중앙아시아 너른 봄 평원에서 사람의 무늬[人文]가 푸른 하늘을 채우고 있다.

함철훈(咸喆勳) >> 사진가·몽골국제대학교 교수

1995년 민사협 초청 ‘손1’ 전시를 시작으로, 2009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Gems of Central Asia', 2012년 이탈리아 밀란시와 총영사관 주최로 'Quando il Vento incontra l’Acqua' 전을 FORMA에서 개최. 2006년 인터액션대회(NGO의 유엔총회)서 대상 수상. 저서로 '보이지 않는 손', '사진으로 만나는 인문학' 등이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보이지 않는 위로의 손
  • 초록에서 완성된 튤립 빨강
  • 꽃 타령!
  • [함철훈의 사진 이야기] 창(窓)과 바늘구멍
  • [함철훈의 사진이야기] 훌쩍! 놀란 새가 푸드덕 솟아오른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