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에 계속 내리는 비를 맞으며 경춘선을 타고 춘천에 있는 ‘김유정 문학촌’을 찾아갔다. 예정에 전혀 없던 춘천행이었다. 사실은 이날 여럿이 모여 야외운동을 하기로 약속이 되어있었다. 하지만 당일 오전에 세찬 비가 내리자 일정이 취소되었다는 연락을 받았다. 2주 전에 한 약속이라 아쉬웠다. 그렇다고 날씨 탓만 하며 그냥 집에 있기에는 새벽부터 서두른 시간이 아까웠다. 다른 계획이라도 세워야 했다.
일단 운동 도구를 빼놓고 카메라와 가방을 들고 나섰다. 걸으며 순간 생각난 곳이 바로 김유정을 만날 수 있는 실레마을이다. 그곳은 몇 번 가봤기에 두렵지 않았다. 개인적인 취향이지만 어디를 가든 그곳을 빠짐없이 살펴보려면 여럿보다는 혼자가 훨씬 도움이 된다. 그전에 두 번이나 갔지만, 일행과 정해진 시간에 맞춰 움직였기 때문에 마음대로 깊이 있게 반복해서 볼 수 없는 아쉬움이 남아 있었다.
경춘선을 타고 김유정역에서 내렸다. 대중교통으로는 처음이었지만, 안내판이 잘 되어있어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역에서 목적지까지 도보로 10분도 걸리지 않았다. 예전에는 신남역이었는데 2004년 12월 1일 김유정역으로 변경하였다고 한다. 한국철도 역사상 최초로 사람 이름을 사용한 역이다. 걸어가며 보니 전철에서 내리는 순간부터 보이는 모든 곳이 김유정에 관한 지역이었다. 상점이나 식당이나 온통 김유정 작품의 제목을 따서 점순네 닭갈비, 중화요리 만무방, 봄봄 닭갈비, 카페 산골나그네 등이다. 마치 마을 길을 걸으며 책을 읽는 느낌이라 새로웠다.
비록 날씨는 언짢았지만, 그가 나고 자란 생가와 ‘김유정기념전시관’을 여유롭게 둘러보았다. 천재작가의 안타까운 생애와 작품에 관한 것에 대해 샅샅이 공부할 수 있었다. 그다음에는 여러 작품의 산실이었던 실레마을로 향했다. 그의 발자국이 남아있으리라는 상상을 하며 걷는 기분을 아마 다른 이는 알 수 없을 것이다. 마치 ‘봄봄’의 점순이가 된 듯 설레기도 하면서도 김유정의 허망한 생을 생각하면 슬퍼졌다. 한국 문학사에 토속적인 언어와 자신의 고향을 바탕으로 길지 않았던 작품 활동 기간에 금쪽보다 더 귀한 작품들을 남긴 그를 떠올리며 마음이 벅차오른 날이었다.
김유정, 실레마을 곳곳을 작품 속에 등장시키다
실레마을, 김유정 작가의 고향이며 그의 모든 작품에 등장하는 장소와 인물들이 허구가 아닌 실제했다는 것을 이번 방문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봄봄’의 점순 아버지 봉필영감이 마을 가운데 잣나무 숲에서 살았던 마름집이 있다. 주인공 나(머슴)와 점순이의 혼인 약속은 지키지 않으며 일만 부려먹던 봉필영감의 모습이 떠올랐다.
‘동백꽃’의 배경은 금병산자락 아래 잣나무 숲 뒤쪽이다. 기념관 맞은편 언덕에는 김유정이 세운 ‘금병의숙’ 터가 있다. 움막을 짓고 마을 아이들에게 열정을 다해 야학을 가르친 곳이었다. 그 옆에는 김유정이 심은 느티나무가 지금도 있다. 마을지도를 보니 유정이 술을 마시던 주막 한들의 팔미천에는 ‘산골나그네’(들병이)가 남편을 숨겨두었던 물레방앗간 자리가 있다.
이와 같이 ‘총각과 맹꽁이’, ‘소낙비’, ‘노다지’, ‘금 따는 콩밭’, ‘만무방’ 등 12편이 실레마을을 무대로 한 작품들이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점순이, 덕돌이, 덕만이, 뭉태, 춘호, 근식이 등 인물들을 지금도 느낄 수 있는 곳이 바로 실레마을이다. 29세 짧은 생 동안 자신의 고향을 통틀어 작품 속에 등장시킨 작가는 흔치 않을 것이다. 참 행복한 실레마을이다.
김유정은 1936년 잡지 ‘조광’ 5월호에 수필 ‘오월의 산골짜기’를 기고했다. 글에는 이러한 내용이 담겨 있다. ‘나의 고향은 저 강원도 산골이다. 춘천 읍에서 이십 리가량 산을 끼고 꼬불꼬불 돌아 들어가면 내닿는 조그마한 마을이다. 앞뒤 좌우에 굵직굵직한 산들이 빽 둘러섰고 그 속에 묻힌 아늑한 마을이다. 그 산에 묻힌 모양이 마치 옴팍한 떡시루 같다 하여 동명을 실레라 부른다. 집이라야 대개 쓰러질 듯한 헌 초가요, 그나마도 오십 호밖에 못 되는, 말하자면 아주 빈약한 촌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