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교향곡 9번, 환희의 송가를 들으며 스위스에서 삶을 마감한 호주의 생태학자(데이비드 구달)가 있다. 그는 아침에 일어나 식사를 하고 점심때까지 의자에 힘없이 앉아 있다가 약간의 점심을 먹고 다시 의자에 붙어 있어야 하는 삶이 더는 쓸모가 없다고 보고 올해 5월 자기의 삶을 안락사로 마감했다.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자존심을 지키며 자기 주도적인 삶을 살고 싶다는 원초적 욕망을 창조주의 거룩한 섭리도 가로막지 못했다.
8년 전, 시골에 계신 노모의 허리가 아프다는 연락을 받았다. 단순한 허리 병으로 알고 근처 큰 병원에서 수술했다. 2개월 후 갑자기 소변을 제대로 못 보고 배가 불러온다 해서 이 병원 저 병원에 다니며 여러 가지 검사를 했다. 최종 결과는 자궁경부암. 말기까지 진행된 암 덩어리가 크게 자라 복수가 찼고 그것이 허리까지 아프게 했을 것이라 한다. 맞춤 치료 방법이 없다는 의사의 설명과 고령이라 힘든 치료 과정을 견디기 어렵고 완치도 장담할 수 없으니 치료보다는 여생을 고통 없이 잘 보내 드리는 것이 진짜 효도가 아니겠냐는 충고를 덧붙였다. 가톨릭 재단이 운영하는 그 병원은 호스피스 병동을 함께 운영하고 있었다.
정상적인 치료를 포기하고 가시는 날까지 고통을 줄이는 진통제만 처방하는 것이 마땅한지, 아니면 고통스럽더라도 치료를 하다 보면 혹 기적이라 일어날지 모르니 포기하지 말아야 할지, 수많은 생각이 교차했다. 가족들 모두 눈치만 보며 장남인 내게 결정을 위임했다. 결론은 자녀라는 아주 단순한 이유로 병약해진 한 여인의 생명 연장을 포기했다. 성급하게 결정했다는 후회와 심한 죄책감이 쓰나미처럼 몰려왔지만 그래도 차선의 선택을 한 것이라며 애써 마음을 다스렸다. 호스피스 병동으로 옮겨진 어머님은 20일쯤 유명을 달리했다. 임종 3일 전까지 정신도 멀쩡하고 행동에도 평소와 별반 차이가 없어 보여 늘어나는 간호비를 은근히 걱정했었다. 문병 다음 날 새벽에 임종했다는 간호인의 전화를 받았다. “올라가서 가족들하고 잘 살아라”라는 희미한 목소리의 어머니 말씀이 남은 자식의 앞날을 걱정하는 유언이 되었다.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도 당시의 선택에 대한 죄책감으로 마음이 늘 무겁다. 매년 5월만 되면 가슴에 깊이 박힌 원죄의 통증으로 가슴을 부여잡을 때가 많다. 낙인처럼 찍힌 원죄의 업보는 그 어떤 것들로도 대신할 수 없고 오직 운명이 다하는 그 순간에 비로소 내려놓을 수 있음을 이순에 이르러 알게 되었다. 처방전이나 진통제를 찾으러 여기저기 다리품 팔지 말고 마음을 잘 보듬으면서 가야 하는 숙명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