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아니면 더 넓게 반려동물에 대한 사랑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제가 아는 어떤 학생은 제대하고 복학한 친구인데, 수업시간에 ‘관계’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다 자기가 키우던 개가 죽은 이야기를 하면서 글자 그대로 엉엉 울었습니다.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고 묻자 다섯 달 전이라고 했습니다. 이와 비슷한 또 다른 예를 제가 사는 아파트 이웃에서도 들었습니다. 키우던 강아지가 ‘세상을 떠나자’ 슬픔에 빠진 자기 딸이 결국 정신과 치료까지 받았다는 이야기입니다.
사랑하는 일, 그것은 아름답고 고귀하고 감동스러운 일입니다. 사람 간에도 그렇고 짐승과도 다르지 않으며 꽃이나 나무와도 다르지 않습니다. 사랑은 온갖 관계의 가장 드높은 완성입니다. 그러므로 앞에 든 사례를 놓고 부모상을 당해도 흔하지 않을 모습을 보면서 그 슬픔을 견디기 힘들었던 사람들을 언짢게 이야기할 생각은 조금도 없습니다.
그런데 제가 이런 일에서 마음이 쓰이는 것이 있습니다. 다른 것이 아니라 어떻게 그렇게 가슴이 저리도록 사랑할 수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제가 이렇게 말씀을 드리면 “오래 함께 살다보면 정들고, 그러다 보면 서로 아끼고 살피며 죽자 살자 하나가 되는 건데 그 까닭을 묻다니!” 하시면서 제 생각을 무척 탐탁잖게 여기실 분도 계실 겁니다. 그렇습니다. 사람살이 또한 그러니까요. 그런데 저는 이런 물음을 묻고 싶은 것입니다. 개가 또는 고양이가 말을 해도 그렇게 사랑할 수 있을까 하는 물음을요.
저는 개가 겨우 짓기만 할 뿐이어서 다행이지 말을 한다면 반려견을 키우는 집안이 한시도 조용할 수 없을 거라고 단정합니다. 개가 말을 한다면 얼마나 주인한테 할 말이 많겠습니까? 이견, 주장, 고집, 항변 그런 것들이 서로 뒤엉키면서 사람이나 개나 마음에 상처를 받고, 나아가 미움이 자라고, 마침내 서로 내치는 일이 상상도 할 수 없이 많이 일어날 것입니다. 그러고 보면 어쩌면 개들은 이런 결과를 미리 알고 말을 하지 않기로 작정했는지도 모릅니다. ‘무릇 침묵이 최선의 평화를 위한 처신이다’라고요.
말은 어마어마한 힘을 가졌다
말을 안 하고 살 수는 없는데 말하기처럼 힘든 일이 없습니다. 말은 어마어마한 힘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철학자들은 그런 이야기를 했죠. 말은 사물을 있게 한다고요. 없게 한다는 뜻도 당연히 거기 담겨 있습니다. 하느님도 말로 천지를 만들었다 하니 말의 힘이 얼마나 대단한지 짐작하고도 남습니다. 그저 우리네 말로 한다면 말로 사람을 죽이기도 하고 살리기도 한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하나도 없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이 ‘무서운 일’을 아무렇게나 해댑니다. 앞뒤 안 가리고 말을 쏟아냅니다. 좋은 말도 흔하면 별로 좋지 않게 되는데 온갖 고약하고 못된 말을 아무 생각 없이 뱉어냅니다. 아니, 아예 어떤 말이 좋은 말인지 못된 말인지 구분조차 하지 못합니다. 그러니 적재적소에 맞추어 말을 할 까닭이 없습니다. 게다가 꾸미고 감추고 짐짓 아닌 척하는 말도 어지럽게 흩뿌립니다. 더구나 나이를 먹으면 안하무인격이 되어 말하는 데 거의 조심을 하지 않습니다. ‘늙은이 추한 모습’ 중에 으뜸이 바로 말 마구 하는 몰골입니다. 그런데 말을 안 하는 개처럼 자존심을 버리고 살 수는 없고 어차피 말을 하면서 살아야 하는데 그러니 어떻게 하면 말을 다듬어 잘 덕스럽게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 늘 숙제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말을 잘하고 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저는 제 소원의 한 항목으로 삼고 새해 첫날 다음과 같은 다짐을 해보았습니다. 벌써 한 해가 반이 지났는데 되짚어 그 다짐을 새삼 되뇌어봅니다.
저는 소원이 있습니다. 그 꿈을 실현했으면 좋겠다는 꿈을 꿉니다. “이 나이에 무슨…” 하는 부끄러운 자의식이 없지 않습니다만 “이 나이에 욕을 먹은들…” 하는 생각이 겹치니 여간 다행스럽지 않습니다.
올해 제 소원은 이러합니다.
내 언어가 맑았으면 좋겠습니다. 감추고 가린 것이 없는 언어. 겉에 발언되는 언어와 다른 속내 언어가 없는 언어. 그렇게 투명한 발언을 하는데도 그 언어가 예(禮)에 어긋나지 않는 언어. 다른 사람이 내 발언을 듣고 나서 나를 잘못 알게 되지 않는 언어. 흐린 흐름이 흘러들어도 마냥 맑은 그런 언어를 발언하고 싶습니다.
내 언어가 순했으면 좋겠습니다. 본래 결이 고와 순하든, 아니면 곱게 다듬어져 결이 순하든, 엉겅퀴 같지 않은 언어를 발언했으면 좋겠습니다. 멍들게 하지 않는 언어. 상처 내지 않는 언어. 남녀노소 빈부귀천이 함께 있어도 누구나 두루 다 알아듣는 감치는 언어. 질기지 않고, 딱딱하지 않은 언어. 그런 언어를 발언하고 싶습니다.
내 언어가 따뜻했으면 좋겠습니다. 시린 마음이 더 듣고 싶어 하는 언어. 따뜻한 마음이 공명(共鳴)하는 언어. 오래 기억되어 문득문득 되살아나 온기를 전해주는 언어. 그래서 그 언어 속에서 유영(遊泳)하고 싶은 마음을 갖게 하는 언어. 그 언어의 메아리 안에서 손발이 얼었던 시절을 따뜻하게 회상할 수 있는 그런 언어를 발언하고 싶습니다.
내 언어가 아름다웠으면 좋겠습니다. 듣고 있노라면 소리가 아니라 풍경이 보이는 언어. 갑자기 무지개가 뜨고 별의 운행이 보이는 언어. 높고 낮은 소리나 모질고 둥근 소리들이 함께 어울리는 모습이 보이는 언어. 즐겁고 행복하여 그 발언에 참여하여 함께 춤추고 싶어지는 언어. 이런 언어를 발언하고 싶습니다.
“꿈도 야무지지…” 하시는 말씀이 그대로 들립니다. 그렇습니다. 꿈인데, 현실이 아닌데, 그거야말로 한번 야무져도 괜찮지 않겠습니까?
삼가 소원성취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