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미모로 인해 연기력이나 지성이 과소평가되는 배우가 있다. 알랭 들롱과 마릴린 먼로가 대표적이다. 요즘에는 신도 질투할 미모와 아우라를 갖춘 완벽한, 배우다운 배우가 없어 스크린 앞에 앉을 때마다 불평하게 된다. “저 정도 용모와 연기력으로 감히 나의 귀한 시간과 체력을 소모케 하다니.” 정말 놀라운 건 요즘 젊은이, 심지어 영화 좀 본다는 이들도 알랭 들롱과 마릴린 먼로 영화를 본 적이 없다, 이름도 모른다고 답한다는 것. 물론 세계 각국 고전을 챙겨보는 게 어렵지 않은 요즘. 지금 한국의 젊은이, 영화학도는 고전을 찾아볼 의지가 없다는 것이 문제지만.
여름이면 생각나는 배우 알랭 들롱. 아마 영화 ‘태양은 가득히’의 추억 때문일 것이다. 학교 수업을 빼먹고 몰래 간 영등포 모 극장에서 ‘태양을 가득히’를 보고 온 다음 날, 1교시에 들어온 영어 선생님을 보고 경악했다. 넓적한 얼굴이 늘 술 마신 것처럼 불콰해서 ‘음주후’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선생님. 그날따라 어찌나 못생겨 보이던지. 칠판 꼭대기 판서가 불가능한 작은 키, 어벙한 양복 차림에 오버랩 되던 알랭 들롱의 푸른 눈동자와 오뚝한 콧날, 세련된 양복 차림. 선생님이 조금만 잘 생겼더라면 영어를 작파하기로 결심하진 않았을 텐데.
1988년 프랑스를 여행하며, 거리 청소부도 알랭 들롱처럼 잘 생겼다는 걸 알게 되긴 했지만, 내 마음속 알랭 들롱은 여전해서, 그가 세상을 떠나면 ‘제라르 필립-장 가방-이브 몽탕- 알랭 들롱’으로 이어진 프랑스 남성 스타 계보는 사라질 테니, 무슨 재미로 프랑스 영화를 보나 싶다. 그런저런 사연으로 15년 전이던가, 한국영상자료원에 비디오테이프를 수백 점 기증할 때, 큰돈 주고 어렵게 구한 귀한 한국 영화는 기꺼이 내주었어도, 알랭 들롱 출연작은 단 한 편도 내주지 않았다.
알랭 들롱을 향한 시시콜콜 연모를 드러낸 것은 최근 한국영상자료원에서 다시 본 장 피에르 멜빌 감독의 영화 ‘한밤의 암살자’(Le Samourai, 1967) 때문이다. 알랭 들롱 주연의 범죄 영화는 과묵하고 대부분 그가 죽는 것으로 끝나지만, ‘한밤의 암살자’는 그 절정, 궁극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화 속 제프(알랭 들롱)는 말이 없고 주도면밀한 암살 전문가다. 자신을 사랑하는 고급 매춘부 제인(나탈리 들롱)과 알리바이를 약속한 후, 나이트클럽 사장 살해 지령을 수행한다. 수많은 용의자 중 제프를 의심하는 수사반장(프랑소와즈 페리에르). 그러나 유일한 목격자인 나이트클럽 피아니스트(캐시 로지에르)의 거짓 증언으로 풀려난다. 불안한 암살 고용주는 또 다른 암살 전문가를 보내 제프를 죽이려 한다. 제프는 경찰과 킬러에게 쫓기며 고용주를 알아내려 한다.
정면에 창문이 보이긴 하지만, 어두운 방 벽을 배경으로 크레디트만 떠올라, 침대에 누운 제프가 내뿜는, 희미한 푸른색이 감도는 하얀 담배 연기를 인식하지 못했다면, 흑백영화인가 할 정도다. 도입부에서 마지막까지, 영화는 프렌치 누아르 고전 수작답게 흑백 분위기로 일관한다. 마침내 일어선 제프가 거울 앞에서 연갈색 더블 코트에 같은 색 모자를 쓰고 모자 끝을 매만져 단장을 끝낸 후 방을 나선다. 알랭 들롱 미모에 누를 끼쳐선 안 되니, 옷차림에 신경 쓰는 건 당연하다. 더블 코트, 혹은 양복과 모자, 구두 디자인과 색감까지 신경 쓴 완벽한 남성 패션을 자랑한다.
집 앞 골목에 세워진 자동차를 훔칠 때, 주머니에서 꺼내는 열쇠꾸러미는 마치 대갓집 마나님이 속곳에서 꺼내는 열쇠처럼 묵직하다. 철사로 꿴, 최소한 100개는 돼 보이는 열쇠를 하나하나 끌러 시동을 걸어본다. 아, 아날로그 범죄의 침착하고 여유 있는 행동이라니!
훔친 차를 몰고 사람도 집도 보이지 않는, 자잘한 돌로 포장된 좁은 골목을 달려, 셔터 올린 창고로 단번에 들어간다. 감독 멜빌은 제프가 훔친 차를 몰고 좁은 골목을 달려 곧바로 창고로 들어가는 장면을 “자르지 않고 어찌 찍을까?” 걱정했는데, 알랭 들롱은 이를 한 번에 해냈다고 한다. 자동차 정비공이 차 번호판을 바꾸어주고 총을 주고 서류와 돈을 주고받을 때까지, 정비공과 제프는 눈빛으로만 소통한다.
제인의 아파트 방 앞. 인기척도 없건만 직감적으로 일어난 제인이 “제프?”라고 묻기까지, 9분 58초. 음악도 없다. 경제적인, 절제된, 영화 본질은 말이 아닌 행동 심리라는 걸 웅변하는 잊을 수 없는 도입부요 스릴이다. 모름지기 ‘싸나이’ 영화는, 범죄 스릴러는, 필름 누아르는, 알랭 들롱 영화는 이래야 한다.
완벽한 미남 스타 알랭 들롱이 거처하기엔 누추하고 초라한 단칸방. 변변한 가구도 부엌 도구도 없는 방 한복판에 새장 속 새 한 마리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유일한 생명체인 새가 얼마나 영리하게(새의 변화를 알아보는 예민한 관찰력의 제프, 암살자가 대단한 거지만) 정보를 주는지. 인간은 머리를 굴리며 배신하지만, 새는 스스로 기진해 죽어가면서 먹이를 준 고독한 암살자에게 충정을 바친다.
살림살이랄 것도 없는 집이라 식사는 어찌 해결하는지. 알랭 들롱은 특히 범죄 영화에서 밥 먹는 걸 보여준 기억이 없다. 잘 생겼으니, 식사 따위 일상은 연기하지 않아도 된다. 담배 하나면 되니까.
멜빌 감독이 알랭 들롱에게 스크립트를 건네자, 알랭 들롱은 제목을 뭐로 할 거냐고 물었다고 한다. 멜빌은 ‘사무라이’라고 답했다. (국내에선 ‘한밤의 암살자’, ‘사무라이’, ‘고독’ 등으로 소개되었다) 알랭 들롱이 멜빌을 따라 그의 침실로 들어가자, 거기엔 오직 가죽 소파와 벽에 걸린 사무라이 칼이 있을 뿐이었다. 멜빌의 미니멀한 취향이 영화에도 그대로 반영되었음을 알게 하는 일화다.
멜빌은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는다. 왜 제프는 암살자가 되었을까?, 이런 물음 따위는 거두절미 성가실 따름이다. 불친절한 영화라 이야기에 구멍이 많다는 불평을 하고픈 관객이라면, 멜빌 영화를 볼 이유가 없다. 주인공의 설명 없는 행동, 목숨 건 결단에 빠져들면 된다. 제인 역시 제프에게 일방의 복종과 숭배에 가까운 사랑과 신뢰를 바치며, 왜냐고 토를 달지 않으며 명령에 다름 아닌 부탁을 수행한다.
멜빌 영화 주인공은 비록 범죄자라 할지라도 명예로운 죽음을 택하거나, 마치 죽음을 유도하는 듯한 태도를 취한다. ‘한밤의 암살자’의 마지막, 제프는 피아니스트를 겨누지만, 형사들이 들이닥쳐 그의 등에 총을 쏘아댄다. 제프의 총에는 총알이 없는데. 물론 제프는 자신을 쫓는 경찰이 들이닥칠 것을 알면서도 손님 많은 클럽에 당당히 들어왔다.
오프닝 시퀀스에 격언을 새겨 넣길 즐긴 멜빌은 ‘한밤의 사무라이’에서도 출처를 니토베 이나조의 명저 ‘무사도’라고 밝힌 글을 올렸다. ‘무사도’는 일본인에게 수치와 명예를 알린 책으로도 유명하다. “There is no solitude greater than a samurai's, unless perhaps it is that of a tiger in the jungle.”(정글의 호랑이가 아닌 이상, 사무라이보다 더 고독한 존재는 없다) 도입부 인용문은 멜빌의 창작이라 한다. 유명 영화 평론가 로저 에버트는 이에 실망감을 드러냈다. 이런 작은 불만에도 에버트는 자신의 ‘Great Movies’ 목록에 ‘한밤의 암살자’를 올렸다. 평론가 스티븐 스나이더도 저서 ‘죽기 전에 봐야 할 1001편의 영화’에 영화 ‘한밤의 암살자’를 수록했다.
‘한밤의 암살자’는 장 피에르 멜빌 영화의 트레이드마크라 할 5가지 특징이 다 적용된다. 범죄 영화를 주로 만들었다. 알랭 들롱과 같은 프랑스 유명 스타를 캐스팅했다. 오랫동안 대사가 없는 장면이 많다. 주인공은 거울 앞에서 자신의 매무새를 살핀다. 나가기 전 방을 둘러본다.
1930년대 할리우드 필름 누아르와 하드보일드 영화를 좋아했던 멜빌이지만, 그의 프렌치 누아르는 역으로 많은 현대 감독에게 영향을 미쳤다. 짐 자무쉬 감독은 ‘한밤의 암살자’를 리메이크한 ‘고스트독-사무라이의 길’을 발표했고, 쿠엔틴 타란티노는 ‘저수지의 개들’이 ‘한밤의 암살자’ 영향을 받았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마이클 만의 ‘콜래트럴’도 마찬가지다. 오우삼 감독도 편애하는 영화로 꼽았는데, 주윤발 주연 홍콩 누아르 중 ‘첩혈쌍웅’의 주인공 이름이 제프일 정도다.
우수와 비정 분위기로 프렌치 누아르에 한 획을 그은 멜빌 감독은 ‘Jean-Pierre Grumbach’가 본명이지만, 미국 작가 허먼 멜빌을 존경해 장 피에르 멜빌이란 이름으로 활동했다. 1973년 심장마비로 유명을 달리할 때까지, 14편을 연출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