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돈은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부부간에도 서로 말 못할 용돈 사용처가 있고 학생도 부모에게 설명할 수 없는 돈이 필요할 때가 있다. 초등학교에 다닐 때였다. 붕어빵을 사 먹는 친구가 부러워 부모님께 용돈을 달라고 말씀드렸다. 하지만 반응이 차가웠다. 집에서 해주는 밥 먹고, 책과 학용품도 다 사주고, 학교도 집에서 가까워 걸어 다니면 되는데 무슨 용돈이 필요하냐는 것이었다.
나는 “그게 아니고요. 친구가 붕어빵 사 먹는 것 보면 나도 사먹고 싶단 말이에요. 만화책도 빌려보고 싶고요. 친구들한테 얻어먹은 것도 갚아야 해요”라고 말하고 싶었지만 집안 형편을 대충 알고 있던 터라 그 말은 입안에서만 뱅뱅 돌 뿐 아무 말도 못했다. 내 맘대로 쓸 수 있는 용돈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늘 했기에 부모님을 원망할 때도 있었다.
결국 일을 저질렀다. 어느 날 아버지가 소를 팔고 100원짜리 종이돈을 100장씩 묶어놓은 뭉칫돈을 여러 다발 갖고 들어오셨다. 당장 쓸 일이 없어 돈을 장롱 밑에 숨겨둔 걸 내가 알고는 아무도 없는 틈을 타서 몰래 100원짜라 한 장을 돈다발에서 빼냈다. 가슴이 콩닥콩닥 뛰었지만 설마 이 많은 돈다발 속에서 한 장 없어진 것을 알겠느냐는 아주 순진한 생각을 했다.
며칠 후 돈 쓸 곳이 생긴 부모님이 돈다발을 모두 꺼내놓고 세다가 여러 다발 중 한 다발에서 딱 한 장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두 분은 이상하다며 고개를 갸우뚱하시면서 침을 발라가며 돈을 세고 또 셌다. 결국 100원짜리 한 장이 없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나는 야단맞을 게 겁나 자수를 할 수도 없었다. 그저 가슴조리며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돈을 세어보고 똑바로 받아왔어야지요. 당신이 한 장 부족하게 받았네요” 하고 핀잔을 줬다. 그러자 아버지는 ‘분명 잘 세어보고 받았는데…’ 하면서 말끝을 흐렸다. 결론은 돈을 받을 때 한 장 부족한 채 받은 것으로 끝이 났다. 부모님은 이제 와서 돈 준 사람에게 항의하거나 따질 수도 없는 노릇이라며 체념했다. 아무도 범인이 나라는 것을 알지 못했다. 그 사건은 그렇게 완전범죄가 됐고 두려움에 떨었던 나는 겁이 나서 다시는 그런 짓을 하지 않았다.
그러고 세월이 흘렀다. 어느 날 초등학교에 다니던 아이가 1000원짜리 한 장을 슬쩍했다. 아이는 자기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나는 아이 양손에 군것질거리가 들려 있는 것으로 상황을 파악했다. 그 뒤로도 그런 일이 두세 번 더 있었다. 어린 시절 그런 경험이 있으면서도 내 아이가 용돈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은 까마득히 잊고 있었다. 오히려 야단만 쳤다. “너 커서 뭐가 되려고 그러느냐?”, “경찰서에 데리고 가겠다”는 둥 겁박까지 했다. 내심 걱정도 했다. 세상 아이들이 다 그래도 내 자식은 절대 나쁜 짓 하지 않을 것이라 믿었는데, 큰 충격이었다.
아이가 왜 돈을 훔쳤을까 곰곰이 생각해봤다. 저학년이라며 부모가 사주기만 했지 용돈은 한 번도 주지 않은 것이 원인일 수도 있다는 데 생각이 미쳤다. 다음 날 1000원짜리 한 장을 주면서 “네 맘대로 써봐, 그리고 부족하면 말해. 더 줄 수도 있어”라고 말하자 아이의 얼굴이 환하게 밝아졌다. 나쁜 짓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군것질의 유혹에 돈을 훔칠 수밖에 없었던 아이의 마음은 얼마나 불편했을까! 그렇게 생각하니 아이에게 오히려 미안했다. 물론 그날 이후 아이의 손버릇은 싹 없어졌다.
아이만 용돈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절박하게 용돈이 필요한 사람은 돈벌이 없는 노인도 마찬가지다. 어쩌면 용돈이 밥보다 더 중요할 수도 있다. 복지관에서 만난 80대의 한 할아버지는 한 달에 단돈 5만 원이라도 좋으니 돈 벌 수 있는 일거리 좀 소개해 달라고 하소연했다. 자식들에게 용돈을 달라고 말씀하라고 했더니 자식들이 “하는 일도 없는데 왜 용돈이 필요하냐!”고 소리만 지른단다.
경로당에서 뭘 사먹을 때 각자 주머니 끈을 푸는데 가진 용돈이 한 푼도 없다면 슬픔을 넘어 비참할 것 같다. 먹고 입고 잠을 자는 의식주 해결만이 최저생계의 끝이 아니다. 젊었든 늙었든, 건강하든 병들었든 내 맘대로 쓸 수 있는 용돈이 필요하다. 주머니에 돈이 있으면 배도 안 고프고 춥지도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