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가 발생했을 때 전기스위치 내려야 할까?

기사입력 2019-01-23 11:29 기사수정 2019-01-23 11:29

소방청 통계자료에 의하면, 2018년도 화재는 4만2337건에 피해액만도 5500억에 달한다. 368명이 사망했고 부상자도 2223명에 달한다. 화재는 난방을 많이 하는 겨울철에 더 자주 발생한다. 어디서 화재가 주로 발생하는가를 살펴보면 아파트와 단독주택 같은 주거시설에서 1만1549건이 발생했고(주거 형태의 컨테이너나 비닐하우스는 제외), 산업시설인 공장에서도 2618건의 화재가 있었다. 음식점(2831건), 유흥주점 같은 위락시설(196건), 돈사나 우사 같은 축사(1490건)에서도 화재는 발생한다. 특히 자동차 화재도 해마다 4500건이나 발생했다. 이런 사실을 볼 때 불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일어나므로 늘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한다. 내 주위에서 만약 불이 난다면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나는 전기안전기술사다. 화재 현장에 출동해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현장에 있는 분들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 화재 발생 시에 조치 사항으로 전기스위치를 먼저 내려야 한다고 상식처럼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음에 놀란다. 화재 발생 시 대응 요령에 전기와 가스를 우선 차단하라는 말을 무조건 신봉하고 있기 때문이다. 불이 났다고 앞뒤 가리지 않고 전기스위치부터 내리면 대피하는 사람들에게 암흑천지를 만들어 오히려 위험하다.

불이 났으면 일차적으로 인명구조가 먼저다. 지하나 대형 건물일 경우 대낮이라 해도 전기스위치를 끄는 순간 일순간 암흑천지가 된다. 갑자기 정전되어 캄캄해지면 사람들은 심리적으로 불안감이 커져 당황하게 된다. 건물에 익숙지 않은 외부인이라면 더더욱 탈출구를 찾지 못해 대피에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 우왕좌왕하다가 결국 목숨을 잃기도 한다. 곳곳에 유도등이 소방법에 의거해 설치되어 있지만 밝기가 상용 전원에 비하면 턱도 없다. 어디까지나 비상시의 유도등일 뿐이다.

1. 전기스위치를 내려야 할 때

아직 불이 옮겨 붙지 않은 폭발성 가스가 있는 장소에서는 당연히 전기스위치를 내려야 한다. 그런 장소가 아니라면 사람들을 다 대피시키고 마지막으로 건물을 빠져나오는 사람이 전기를 꺼야 한다. 간혹 책임감이 강한 관리자가 전기분전함을 찾아 지하로 내려갔다가 전기스위치를 내리고 정작 본인은 어둠속에서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대피가 급한 사항이라면 건물을 빠져나오는 게 우선이다.

2. 전기스위치를 내리지 않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화재가 나면 전선 피복이 열로 인해 녹는다. 결국 합선 현상으로 전기스파크가 발생한다. 그때 전기차단기가 내려가고 이어서 정전이 발생한다. 즉 전선은 벽이나 천장 속에 들어가 있고 전선관과 전선 피복이 보호하고 있어 화재가 나도 당장 피해를 입지 않는다. 이 시간을 이용해 대피해야 한다. 화재 현장을 빠져나온 사람들의 증언에 의하면, 불이 났지만 전기가 나가지 않아 무사히 빠져나올 수가 있었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다. 불이 났다고 금방 전선이 타들어가는 경우는 드물다.

3. 전기 설비에는 사고를 대비한 보호 장치가 있다.

전기 설비의 누전차단기는 누전이나 합선 등 사고가 일어나면 이를 알아채서 전기 공급을 스스로 끊어버리는 안전장치다. 차단기 설치는 법제화되어 있다. 사람이 잠을 자는 시간에도 누전차단기 같은 전기 안전장치는 24시간 돌아간다. 사람은 거짓말을 해도 기계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장은 일어날 수 있다. 평소 고장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확인 주기는 한 달에 한 번 정도면 적당하다.

4. 화재 장소의 전기 설비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불이 났을 때 전기스위치를 꺼도 전기 설비를 재사용할 수 없다. 스위치를 끄든 끄지 않든 화재의 여파를 당한 곳의 전기설비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화재 시 발생한 열에 의해 전선 피복이나 전기 접점이 손상을 입기 때문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초간단 신체 나이 테스트
    [카드뉴스] 초간단 신체 나이 테스트
  • 日 2050년 ‘노인 1인 가구’ 1000만 명 돌파
    日 2050년 ‘노인 1인 가구’ 1000만 명 돌파
  • 일본의 색다른 지방소멸 해법,  골칫덩이 대나무를 효자로
    일본의 색다른 지방소멸 해법, 골칫덩이 대나무를 효자로
  • 서울시, '동행일자리' 내년 상반기 6490명 모집
    서울시, '동행일자리' 내년 상반기 6490명 모집
  • 동남아의 떠오르는 신성, 캄보디아 다라 사코 골프 리조트
    동남아의 떠오르는 신성, 캄보디아 다라 사코 골프 리조트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