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쾌한 금빛 메치기’ 유도 스타 하형주의 고백(Go Back)

기사입력 2019-04-11 10:39 기사수정 2019-04-11 10:39

[스포츠 스타]

3월 초, 이제 막 새 학기를 시작한 동아대학교 캠퍼스는 꽃다운 청춘들의 기운으로 가득했다. 학생들 못지않게 바쁜 사람이 또 있었으니, 바로 하형주(河亨柱·58) 동아대학교 예술체육대학 학장이다. 35년 전 국민들 손에 땀을 쥐게 했던 LA올림픽 유도 금메달의 주인공. 그를 만나 당시의 뒷이야기를 들어봤다.

▲하형주 동아대학교 교수(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하형주 동아대학교 교수(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어무이~ 내 보이나? 이제 고생 끝났심더.”

하형주가 1984년 LA올림픽 유도 종목에서 금메달을 딴 뒤 가족과 통화하는 모습은 의외였다. 경상도 남자는 무뚝뚝하다는 선입견을 깨트리기라도 하듯 방글방글 웃는 표정과 구수한 사투리가 방송을 탔다.

“그때 제 통화가 전국으로 중계되는지도 몰랐어요. 그래서 말도 함부로 했죠. 어머니한테 ‘어무이~’ 이러고 형님한텐 ‘행아~’라 하고. 경상도에선 말을 좀 편하게 하는 문화가 있는데 이런 모습이 몇몇 사람한텐 안 좋게 보였나봐요. 버릇없다고, 호래자식이라고 욕 좀 먹었죠.(웃음)”

LA올림픽은 유난히 국민들의 관심을 많이 받았다. 그 이유엔 1988년에 개최되는 다음 회 올림픽이 서울에서 열린다는 점이 한몫했다. 국민들이 주목하고 있는 와중에 호쾌한 메치기로 우승을 거둔 그는 대한민국의 스포츠 스타로 급부상했다. 그는 인기의 원인(?) 중 하나로 ‘잘생겼음’을 꼽기도 했다.

“우승 후 한국에 돌아오니까 갤로퍼 지프차, 박카스, 화끈함과 시원함을 강조한 약품 등 각종 CF 섭외가 물밀듯 들어왔어요. 근데 돈이 많아지면 내 마음대로 살까봐, 엉뚱한 길로 빠질까봐 차라리 없이 살자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다 안 했죠. 그때로 돌아간다면… 찍어야지요.(웃음)”

그는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말하며 웃음을 터뜨렸다. 세월은 지났지만, 그의 호쾌함은 여전했다.

▲하형주 동아대학교 교수(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하형주 동아대학교 교수(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모두의 예상을 깬 일본전에서의 승리

1984년 LA올림픽 8강전 (vs 미하라 마사토)

대진표를 본 언론은 하형주의 대진운이 좋지 않다고 보도했다. 8강에서 유도 종주국 일본의 미하라 마사토와 맞붙게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의 생각은 달랐다. 그는 자신의 승리를 어느 정도 예상했다고 말했다.

“속으로 ‘아, 얘는 내 밥인데’ 하며 쓱 웃었죠.(웃음) 사실 8강전 전까진 한 번도 겨뤄본 적 없는 선수였는데 언젠가는 만날 것 같아서 분석을 많이 해뒀어요. 아니나 다를까 시합 때 자기 주특기인 허벅다리걸기 기술을 쓰더라고요. 이미 제 머릿속엔 어떻게 받아칠지 다 구상을 해둔 상태였어요. 그 기술에 넘어가주는 척하다가 방심하는 틈을 타 들배지기 기술을 응용해 바닥에 꽂아버렸죠.”

한 선수가 상대를 확실하게 제압해 등 전체가 바닥에 닿도록 메쳤을 때 주심은 한판을 선언할 수 있다. 하형주가 성공한 공격은 한판처럼 보였지만, 심판은 절반으로 판정했다.

“당시 심판위원장, 국제유도연맹 회장이 일본인이었거든요. 심지어 마사토가 국제유도연맹 회장이 총장으로 있는 도카이(東海)대학교 졸업생이었어요. 그러니 심판들이 일본의 눈치도 봐야 하지, 또 처음 보는 기술이지, 그래서 절반을 준 것 같아요.”

이어진 경기에서 하형주는 보란 듯이 똑같은 기술을 이용해 다시 한번 그를 매트에 내리꽂았다.

“넘어간 방향만 반대였지 똑같은 방법이었어요. 동일한 기술에 두 번이나 당하고 마사토는 완전 스타일 다 구겼죠.(웃음) 그때 국제유도연맹 회장이 지켜보고 있다가 자기네 학교 졸업생이 내팽개쳐지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라서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는 장면이 찍혔더라고요.”

한일전은 가위바위보도 져서는 안 된다는 게 우리나라 국민감정이다. 그가 일본 선수를 상대로 거둔 승리는 TV로 경기를 보며 응원하던 국민들을 열광의 도가니로 빠뜨렸다.

“1970년대에는 북한 선수한테 지면 그야말로 ‘작살’이 났죠. 그 당시에 지고 나서 입국하면 공항에서부터 짐 검사를 하는데 옷밖에 없는 캐리어를 그 자리에서 탈탈 털었어요. 그러고 나선 가져가라고 하는데, 다시 옷을 개서 넣으려고 하면 문은 왜 또 잘 안 닫히는지….(웃음) 그런 식으로 망신을 줬죠. 북한은 당연히 이겨야 하고 일본에 지면 매국노인 거라. 근데 제가 질 줄 알았던 경기에서 일본 선수를 두 번이나 메쳤으니 사람들이 얼마나 좋아했겠어요.”

▲1984년 LA올림픽에서 상대에게 기술을 걸고 있는 하형주.(하형주 제공)
▲1984년 LA올림픽에서 상대에게 기술을 걸고 있는 하형주.(하형주 제공)

38초 남기고 거둔 역전승

1984년 LA올림픽 준결승 (vs 군터 노이로이터)

야구의 9회 말과 2~3분의 추가 시간이 주어진 축구 중계를 중간에 끄지 못하고 끝까지 보는 데엔 이유가 있다. 스포츠는 각본 없는 드라마라고도 하지 않던가. 1984년 하형주의 ‘결승을 향한 역전승’은 가장 극적인 반전 드라마였다. 1984년 LA올림픽 8강전에서 미하라 마사토를 꺾고 준결승에 오른 하형주는 당시 세계 랭킹 1위인 독일의 군터 노이로이터와 맞붙게 됐다. 상대에게 먼저 효과를 내준 그는 경기 종료 38초를 남기고 유효를 얻어내 역전승을 거뒀다.

“시간이 계속 흐르니까 초조하긴 했죠. 근데 계산해보니 두 번 정도는 기술을 걸 수 있겠더라고요. 그중에 한 번만 걸려라 하고 딱 잡았는데, 낚시해보셨어요? 낚시할 때의 손맛처럼 유도도 도복을 잡아챘을 때 느낌이 딱 옵니다. ‘아, 이건 넘겼다’ 하고요.”

그가 노이로이터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 건 이때가 처음은 아니다. 그와의 첫 만남은 1981년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에서 열린 세계유도선수권대회에서였다. 하 교수는 당시를 회상하면서 그가 어떤 선수인지 알았으면 이기지 못했을지도 모른다고 털어놨다.

“당시 노이로이터의 지도감독이 우리나라 분이셨어요. 그분을 직접 찾아가서 ‘선생님, 제가 독일 선수랑 붙는데 어떻게 하면 이길 수 있겠습니까?’ 하고 물었죠. 그랬더니 씩 웃으시면서 ‘지금처럼만 하면 된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당연히 제가 이길 거라는 자신감을 가지고 들어갔죠. 만약 그가 1976년 몬트리올올림픽 은메달리스트였다고 알려주셨으면 겁나서 함부로 달려들지 못했을 거예요.”

그는 노이로이터와 겨뤘던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지금까지도 궁금한 점이 있다고 말했다.

“전 세계 유도 선수들이 모여서 일주일간 하는 합동 훈련이 있어요. 근데 이상하게 노이로이터랑 연습게임을 하면 항상 제가 졌어요. 그가 저를 던지면 이리저리 처박히기 바빴는데… 이런 선수를 어떻게 이겼는지 정말 모르겠어요.”

결승전에서 브라질의 더글라스 비에라를 꺾은 그는 마침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우승 후보를 거듭 제치고 올라온 긴 여정이었다. 시상대에 오르며 그동안의 부상이며 고생했던 생각에 감정이 복받쳐 오를 만도 했지만, 그는 해맑은 미소를 잃지 않았다.

“금메달을 딴 기쁨보다 힘든 훈련을 이겨내고 잘 극복했던 제 자신이 너무 자랑스러웠어요. 금메달은 그다음에 따라오는 결과였죠. 그러니 울 이유가 있나요? 행복해서 그냥 활짝 웃었어요.”

웃으면 복이 온다고 했던가. 그는 올림픽 이후에도 세계선수권대회 은메달, 아시안게임 금메달,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등을 따며 메달 행진을 이어나갔다.

“선수 시절엔 어딜 가나 사람들이 알아봐서 정말 힘들었어요. 지금은 잘 몰라보죠. 근데 행복해요. 평범하게 산다는 게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몰라요.(웃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일본식 케어의 핵심은 공격적인 재활과 근거 있는 돌봄”
    “일본식 케어의 핵심은 공격적인 재활과 근거 있는 돌봄”
  • 유튜브 진출 선언 김경식, “시니어 세대를 위한 이야기꾼 되고파”
    유튜브 진출 선언 김경식, “시니어 세대를 위한 이야기꾼 되고파”
  •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말하는 현명한 노후, “여생엔 ‘과학’하세요!”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말하는 현명한 노후, “여생엔 ‘과학’하세요!”
  • 세계 리더들에게 묻다… 권력의 맥 짚는 스토리텔러, 김지윤 박사
    세계 리더들에게 묻다… 권력의 맥 짚는 스토리텔러, 김지윤 박사
  • 뮤지컬 배우 서영주, “오직 뮤지컬만” 우직함으로 채운 33년
    뮤지컬 배우 서영주, “오직 뮤지컬만” 우직함으로 채운 33년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