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
가두지 마라
감추지 마라
남기지 말아라
말다가 후회
말아라
△이태문
1965년 서울 구로동 출생. 동구로 초등학교, 구로중학교, 관악고등학교 졸업
1999년 와 2000년 으로 데뷔. 에도 작품활동
연세대 국문과 졸. 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일본문부성 국비장학생으로 1997년 도일
도쿄외국어 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수료. 동대학원 외국
명성이 높은 치매 전문 명의를 운좋게 만나게 됐다. ‘환자를 내 가족처럼 섬기자’가 병원의 철학이라며 식상하지만 치매의 경우 반드시 지켜야 할 덕목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업계에서 그 병원은 이직률 낮기로 소문이 자자하다. 봉사뿐만 아니라 병원 운영의 내공도 보통이 아닌 듯싶다. ‘병을 고치는 이는 소의(小醫)요, 환자의 마음을 고치는 이는 중의(中
내가 물든다
하루로 스며들고
인연으로 다가가
처음이자 마지막
우러나오는 향기
정으로 번져간다
너에게 물든다
물결이 퍼져나가고
삼투압처럼 울림으로
너도 물든다
△이태문
1965년 서울 구로동 출생. 동구로 초등학교, 구로중학교, 관악고등학교 졸업
1999년 와 2000년 으로 데뷔. 에도 작품활동
연세대 국문과 졸. 동 대학원 박
어제 또 연탄가스로 도배집 아저씨가 돌아가셨다.
꽃무늬(花文) 벽지 위 손때들이 화투처럼 반질거리고, 아랫목 때때이불도 꽃밭처럼 무성한 겨울 아침
"두부 한 모랑 콩나물 50원어치 사 와. 돈은 나중에 드린다고 하고"
구멍가게 철문을 떼기 무섭게 외상 같은 하루는 고만고만한 크기로 시작됐고, 철 지난 신문 속 각하의 구겨진 얼굴에 콩나물은 덤처럼 실린
삼성전자 정년연장ㆍ임금피크제 도입
삼성전자가 정년을 60세로 연장하고 임금피크제를 도입키로 하면서 임금피크제란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임금피크제란 간단히 말하면 일정 연령이 되면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정년은 보장하는 제도다.
임금피크제란 워크 셰어링(work sharing)의 한 형태로, 일정 연령이 된 근로자의 임금을 삭감하는 대
평탄한 길에서도 걸려 넘어지는 법
조심조심 비탈길에서도 구르는 법
같더라, 넘어지건 구르건
아프더라, 평지건 산길이건
창피하더라, 남이 보든 말든
내가 생각해도 쑥스럽더라
넘어지면 벌턱 일어서고
구르면 또 털어버리고서
걸어가면 되는데도 어느새
약한 맘보다 흙 묻은 옷을
마음의 상처보다 깨진 무릎을
더 부끄러워하더라
길은 같더라
아픔도 같더라
누구나 다 같
따스한 봄기운이 완연한 지금, 남도 쪽은 벌써 여기저기 봄 꽃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청마년 시작이 엊그제인데 벌써 3월이다. 식민지배의 과거를 가지고 있는 우리에게 3월은 특별하다. 최근 일본은 과거사에 대한 반성은커녕 군국주의와 우경화가 더욱 심해지고 있다. 또한 역사를 세탁하며 미화하기를 주저하지 않고 있어 봄의 불청객 미세먼지처럼 우리의 심기를 불편
김구림(78), 윤명로(78), 이우환(78), 유희영(74), 최병소(71), 이강소(71), 김장섭(69).
격변의 1970년대를 치열하게 살아가며 한국 현대미술의 중심에 섰던 화가들이다.
이들이 활발하게 활동했던 1970년대는 단색화(모노크롬)와 개념미술이라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양상이 공존한 시대다.
당시 '한국 개념미술의 선구자' 김구림은 제
그리워
그리다 지우다
다시 써 보기를
몇 번이고 또 적지만
자국 남듯 깊게
패인 그리움은
지워도 더 향기롭다
그 마음 읽으려다가
이 마음 노래하다가
그만 그리워지고 만다
눈 감고 외울 만큼
입 막고 외칠 정도
덮어도 더 강렬하다
그러니
그리워서 더 외우고
그리워도 또 외운다
△이태문
1965년 서울 구로동 출생. 동구로
한국 최초의 다방
한국 최초의 다방에 네티즌의 관심이 몰렸다. 이 다방은 100년도 더 이전에 생겼다. 당시는 가비로 불렸던 커피보다 오히려 차(茶)가 더 많이 팔렸던 것으로 전해진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한국 최초의 다방’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게시글에 따르면 ‘한국 최초의 다방’은 1909년 11월 1일 남대문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