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도서관으로 ‘출근’하는 은퇴 세대가 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에 따르면 서울 도서관의 50대 회원 비중은 2021년 8.2%에서 2025년 1월 기준 10.12%로 증가했다. 60세 이상 회원 비중 역시 같은 기간 4.9%에서 6.74%로 확대됐다.
경기 지역은 더 뚜렷하다. 전체 이용자 중 50대 이상이 17%를
지난해보다 카드 사용액을 늘리면 그 증가분의 일부를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상생페이백’ 제도가 9월부터 시행된다. 정부가 마련한 민생회복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매출 확대를 목표로 한다. 이번 제도는 지난해 월평균 카드 사용액 대비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의 월별 카드 사용액이 늘어날 경우, 증가분의 20%를 월
말린느 크라소비츠키 박사는 호주의 반 연령주의 캠페인 에브리 에이지 카운츠(EveryAGE Counts, ‘모든 연령이 중요하다’)의 이사이자 세계보건기구(WHO) 연령주의 종식 캠페인 컨설턴트로 활약한 인물이다. 20일 개최된 ‘제5차 아셈 노인인권 포럼’ 참석차 방한한 그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연령주의(ageism)를 “우리 모두의 현재와 미래를 잠
인생 2막을 준비하는 꽃중년들의 이야기가 한 권의 책으로 엮였다. 시니어 전문 매거진 〈브라보 마이 라이프〉가 창간 10주년을 맞아 개최한 수기 공모전 수상작을 모은 작품집 『나의 브라보! 순간』을 출간했다. 이번 공모전에는 80여 편의 작품이 접수됐으며, 블라인드 심사를 거쳐 총 18편이 최종 선정됐다.
대상은 김동철 작가의 ‘인생의 사
한국 사회는 고령화 속도가 빠르다.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섰고 100세 시대라는 말은 이제는 과장이 아니다. 은퇴는 더 이상 여유로운 노년의 출발이 아니라 새로운 경제생활의 시작점으로 인식해야 한다.
지금까지 전통적인 인생 흐름은 삶의 전성기를 찍고 내려오면서 안정적으로 생을 마무리하는 쪽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다 보니 실제로 많
대한민국 5060 세대는 은퇴 이후에도 여전히 일터를 떠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이유뿐만 아니라 더 여유로운 삶과 건강 관리, 무료함 해소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었다.
하나금융연구소가 발표한 ‘5060 시니어의 더 넥스트(The Next) 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자산 1억 원 이상을 보유한 서울·수도권 및 광
여름이 되면 시니어들에게 특히 불편한 증상 중 하나가 바로 요실금이다. 더운 날씨에 땀으로 수분이 빠져나가고, 이로 인해 방광이 예민해지면서 소변을 참기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시니어는 노화로 방광 기능이 약해져 있는 상태라 계절적 요인이 더해지면 증상이 평소보다 심해지기 쉽다. 단순히 나이 탓으로 넘기지 말고, 여름철 환경이 어떤 영
책장 한편에서 먼지만 쌓여가는 두툼한 사진 앨범. 수십 년 세월 동안 지구 곳곳을 누비며 쌓아온 소중한 기록이지만, 다시 꺼내어 볼 엄두가 나지 않는다. 여행 사진을 인화하려고 해도 사진관이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추억이 빛바래는 것이 아쉬운 당신을 위해 여행의 모든 순간을 더욱 가볍고 세련되게 간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앨범보다 근사하고, 그냥
최근 저속노화에 대한 관심이 전 세대에서 크게 높아지고 있다. 롯데멤버스 리서치 플랫폼 ‘라임(Lime)’ 조사에 따르면, 연령대별로 실천하는 건강관리법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는데, 어떤 세대는 생활습관 관리에, 또 다른 세대는 영양 보충이나 정기 검진에 더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 나이대별로 무엇을 가장 즐겨 하고 있는지, 세대별 즐겨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