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의 치매 환자가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뇌연구원 주재열·임기환 박사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를 통해 고령의 알츠하이머 환자에게서 코로나19 수용체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2)가 증가하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Ace2 유전자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하는 통로로 사용되는
나이 들어가면서 치매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이 몇 명이나 있을까? 암이나 대사성 질환도 무섭지만 가족도 몰라보고 자신이 누구인지 인지하지 못하는 치매만큼은 정말로 피하고 싶다. 그래서 ‘죽을 때까지 치매 없이 사는 법’이라는 책을 발견했을 때 무척 반가웠다.
치매와 알츠하이머는 유전으로 인한 불치병이 아니고, 노화의 불가피한 결과도 아니다. 개인이 쌓아온
노년층에게 흔히 나타나는 4가지 정신건강질환을 약 10분 만에 선별할 수 있는 ‘초간단 선별척도’가 개발돼 눈길을 끈다.
최근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창형·손상준 교수, 노현웅 임상강사 연구팀은 노년층에서 흔한 치매, 우울증, 불면증, 화병 총 4개 질환을 한 번에 선별할 수 있는 ‘초간단 선별척도’(BS4MI-Elderly)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편두통을 겪었던 사람은 노년기에 치매 발병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덴마크 코펜하겐대학 의대 공중보건학과의 사브리나 이슬라모스카 교수 연구팀은 1935~1958년 사이에 태어나 2017년 이전에 60세가 된 6만2578명의 병력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31~58세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100세 시대’가 열렸다. 하지만 사는 날이 늘어났다고 해서 좋은 것만 있는 건 아니다. 나이가 들수록 왜 이리 아픈 곳은 많은지 걱정이다. 인구 구조 고령화에 따른 일종의 부작용이 우려되는 가운데, 최근 아주대의료원 예방의학교실 이윤환 교수팀이 ‘노쇠 예방 7대 수칙’을 발표해 관심이 집중된다.
이윤환 교수팀이 발표한 노쇠 예
뇌에 철분이 쌓이면 알츠하이머 치매의 진행 속도가 빨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는 최근 오스트리아 그라츠대학 의대 신경과 전문의 안나 다물리나 교수 연구팀이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100명과 건강한 노년층 100명을 대상으로 초고해상도 MRI로 뇌세포의 철분 축적을 관찰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고 보도했
우리 사회의 인구구조 고령화로 노년층 인구 비중이 커지면서 치매 환자도 증가하고 있어 예방과 극복을 위한 방법에 대한 관심이 크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치매 환자는 2015년 약 63만 명에서 지난해 79만여 명으로 늘었고, 2025년에는 108만 명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치매 원인의 약 70%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유병률은 나이가 들
파킨슨병은 치매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뇌 질환이다. 1817년 질환을 처음 보고한 의사 제임스 파킨슨(James Parkinso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파킨슨병은 중뇌에 위치한 흑질이라는 뇌의 특정부위에서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원인 모르게 서서히 소실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15년 약 10만 명에서 지난
나이가 들수록 건강에 관심이 많아진다. 요즘 시니어들은 몸이 아프거나 관리를 할 때, 스마트폰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찾는 편이다. 손쉽고 빠르게 필요한 답을 얻는다는 장점은 있지만, 과연 그것이 ‘정답’일까? 오히려 잘못된 정보에 현혹돼 건강을 잃거나 부작용에 시달릴 수도 있다. 그런데도 여전히 스마트폰으로 해답을 찾는 이가 많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