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인복지정책이 너무해!
- 지난달 친정 언니(77세)가 침대에서 양말을 신다가 떨어지는 바람에 크게 다쳤다. 새벽잠에서 깨자마자 넘어진 채로 꼼짝 못 하는 언니를 본 형부는 당황해서 “어떡하지!”란 소리만 연거푸 했다. 언니가 “얼른 119를 부르라”고 형부에게 말을 해서 삼성의료원 응급실로 갔다고 한다. 검사 결과 ‘대퇴부 골절’이었다. 사고 다음 날, 언니는 부러진 뼈에
- 2018-05-24 17:43
-
- 당신의 꿈은 있습니까?
- 꿈은 인간이 살아가는 이유다. 꿈을 꾸는 자 이룬다. 꿈을 꾸지 않는다면 희망이 없는 삶을 살 수밖에 없다. 데면데면한 일상이 되고 삶의 의욕도 상실된다. 상암동에서 펼쳐진 월드컵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큰 꿈을 함께 꾸었고 끝내는 그 꿈을 이뤘다. “꿈은 이루어진다!” 한국인이 새로 만들어낸 희망 메시지다. “당신의 꿈은 무엇입니까?”라 질문하였을 때 망설이
- 2018-01-09 17:07
-
- 코이의 법칙이 액티브 시니어로 가는 근간
- ‘코이의 법칙’이 있다. 주변 환경이나 생각하는 크기에 따라 그 결과치가 크게 달라진다는 내용이다. ‘코이’는 물고기의 이름이다. 이 물고기는 자라는 환경에 따라 몸체의 크기가 달라진다는 데서 법칙을 만들었다. 코이는 자라는 환경에 따라 성장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잉어, 금붕어 등도 주어진 여건에 따라 몸체의 크기가 다소 달라지기는 하여도 코이는 변화
- 2017-04-26 18:54
-
- “진짜 강남스타일은 나눔, 봉사, 참여로 살아가는 것!”
- 자타가 공인하는 노인복지전문가 이호갑(李鎬甲, 59)씨는 이렇게 자기를 소개한다. “10년 삼성의료원 짓고, 10년 삼성 노블 카운티 짓고, 10년 운영했습니다.” 간단하지만 한 문장에 30년 노하우가 들어 있다. 그런 그가 회사를 그만두고 선택한 곳은 또 다른 노인복지의 실험장이 되는 강남시니어플라자다. 30여 년 노인복지전문가의 손길이 닿은 강남시니어플
- 2016-02-12 08:42
-
- [부고] 박승철씨 별세 - 소중희씨 장인상
- ▲박승철(삼성의료원 상임고문)씨 별세, 소중희(DRB인터네셔널 상무)ㆍ이경민(이화여대 음악대학 강사)ㆍ손대경(국립암센터 의공학연구과장)ㆍ김지성(SK이노베이션 과장)씨 장인상=1일 오전 삼성서울병원, 발인 3일 오전, 02-3410-6906
- 2014-06-02 08:21
-
- [부고] 석종학씨 별세 - 석도형씨 부친상
- ▲석종학씨 별세, 석도형(삼우맥스 회장)ㆍ준형(前 삼성전자 부사장)ㆍ도정(前 코오롱캐피탈 대표)ㆍ도태(삼우맥스 대표)ㆍ정미씨 부친상, 곽성문(前 국회의원)씨 장인상, 석현우(신한은행 차장)ㆍ현수(전남대 로스쿨 교수)ㆍ현철(일본 화낙 근무)씨 조부상=26일 오전 삼성의료원, 발인 28일 오전, 02-ㆍ3410-6907
- 2014-05-27 08:11
-
- [실버타운 탐방②] 더 헤리티지(The Heritage) “아파트의 편리함과 전원생활의 여유를 동시에…”
- “둘러보면 알겠지만 여긴 뭐든지 다 좋아. 직접 살아보면 더 좋고.” 더헤리티지에서 만난 입주민의 자부심은 대단했다. 기자 은퇴 후 이곳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한 그는 “여기 이사장님은 경영철학이 뛰어나고 사고방식이 남다르다”며 “이곳에서의 생활이 하나에서 열까지 모두 만족스럽다”고 거듭 강조했다. 더헤리티지는 미국, 일본 등 선진사회에서 보편화된 ‘지
- 2014-04-11 09:30
-
- [부고] 정원민씨 별세 - 김윤식 남편상
- ▲정원민(前 국회의원)씨 별세, 김윤식씨 남편상, 정규식(미원화학 사장)ㆍ규환(삼성전자 상무)ㆍ경순ㆍ여순씨 부친상, 김정돈(미원상사 회장)ㆍ한정갑(前 울산지방경찰청장)씨 장인상=13일 오전 삼성의료원, 발인 15일 오전, 02-3410-6917
- 2014-03-14 08:09
-
- 파킨슨병 자가진단법…갑작스레 침 흘리거나 땀 많아지면 의심
- 파킨슨병 김성주 방송인 김성주가 '힐링캠프'에 출연 '파킨슨병'으로 투병 중인 아버지를 언급했다. 동시에 네티즌들 사이에서 파킨슨병의 자가진단법도 화제다. 전문가들은 파킨슨병의 경우 기본적인 자가진단을 통해 발병 초기를 의심할 수 있다고 말한다. 먼저 파킨슨병은 나이가 들수록 발생 빈도가 높다. 도시 거주자보다 농촌 거주자에게서 많이 발생하는데,
- 2014-01-13 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