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메밀전병, ‘빙떡’

기사입력 2020-01-23 10:30 기사수정 2020-01-23 10:30

▲제주 전통음식 빙떡을 말고 있는 제주 할망(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제주 전통음식 빙떡을 말고 있는 제주 할망(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대나무로 만든 차반지에 넣은 빙떡(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대나무로 만든 차반지에 넣은 빙떡(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설이 다가온다. 이때쯤이면 제주 출신 나이 든 사람들은 고향의 빙떡이 생각난다. 빙떡은 제주의 메밀전병이다. 강원도, 경상북도 등지의 메밀전병과 또 다른 맛의 전병이다.

메밀전병은 지역마다 소가 다르다. 강원도에서는 갓김치를 넣으며 배추김치와 돼지고기도 넣는다. 경북에서는 표고버섯과 실파를 소로 넣는다. 충북에서는 당근과 쇠고기, 우엉 등을 넣는다. 그러나 제주도의 빙떡은 소도 가장 단순하고 부침개에 가깝다.

제주 빙떡은 한마디로 “삶은 무나물을 메밀전으로 싼 것”이라고 보면 된다. 소는 무채만을 넣는 것이다. 메밀가루를 반죽해 돼지비계로 지진 전에 약간의 간을 한 무채를 넣고 말아 만든다. 반죽에 무채를 넣어 '빙빙 만다'고 해서, 또는 '빙철(빙떡이나 전을 지질 때 사용하는 번철)'에 짓는다 하여 빙떡이라고 부른다. 또 멍석처럼 말았다고 해서 '멍석떡'이라고도 불린다.

제주 지역의 메밀 생산량은 전국 시.도 중 가장 많아 전국 전체 생산량의 35.5%를 차지한다. 지난해의 메밀 재배 면적이 845Ha(헥타르)로 메밀 생산량이 321톤이다. 제주에서 옛날부터 메밀 음식 선호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설이 되면 제주도에서는 빙떡과 함께 메밀묵 등을 많이 해 먹는다. 명절과 잔치, 제사 등의 큰일이 있을 때는 메밀 빙떡과 메밀묵을 만들어서 상에 올리고 제사 후에 나누어 먹는다. 메밀 빙떡을 보관하는 것도 습기가 돌면 빙떡이 떠지기 때문에 대나무로 만든 차반지에 보관한다. (*차반지 : 공기가 잘 통하고 떡이 달라 붙지않음)

 

제주도 서귀포시 지역에서는 빙떡을 전기떡 또는 쟁기떡, 멍석떡이라고도 한다.

 

예전엔 큰 프라이팬이 없어서 깨끗한 무쇠솥 뚜껑을 뒤집어서 불 위에 올려 달군 후 미지근한 물에 메밀가루를 묽게 반죽해서 얇고 둥글게 전을 부쳐내곤 했다. 요즘은 당연히 프라이팬을 사용한다. 메밀과 무만 있으면 만들 수 있는 이 간편식의 역사는 약 700여년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진다. 제주의 옛 정취를 그대로 담아낸 제주 토속음식 중의 하나다. 단맛을 내는 성분이 하나도 안 들어가 있는 은은하고 은근한 맛이라고들 한다.

 

빙떡을 만드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식재료는 메밀가루 5컵, 반죽 물 1.6L(8컵 정도), 무 800g(한 개), 쪽파 100g 그외 소금, 참깨, 참기름 등을 적당하게 양념하면 된다.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프라이팬에서 둥그런 모양의 메밀전을 붙이는 모습(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프라이팬에서 둥그런 모양의 메밀전을 붙이는 모습(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둥그런 모양의 메밀전에 무속을 넣은 모습(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둥그런 모양의 메밀전에 무속을 넣은 모습(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무속을 넣고 빙떡을 마는 모습(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무속을 넣고 빙떡을 마는 모습(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완성된 메밀 빙떡의 모습(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완성된 메밀 빙떡의 모습(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① 메밀가루에 소금으로 간을 한 후 물을 섞어서 메밀 반죽을 한다.

② 메밀가루를 묽게 반죽을 한 후 프라이팬에서 둥그런 모양으로 전을 부쳐낸다.

③ 익힌 메밀 전을 깨끗한 도마나 큰 쟁반 위에 넓게 편 후 속을 준비한다.

④ 속에 들어갈 무채를 약간의 양념(파, 깨, 소금 등)과 함께 버무린다.

⑤ 만들어진 속을 익힌 메밀 전의 가운데에 놓고 메밀 전을 빙빙 말면 메밀 빙떡이 완성된다.

 

▲메밀묵을 만든 모습(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메밀묵을 만든 모습(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채소 메밀전을 만든 모습(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채소 메밀전을 만든 모습(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제주의 토속 음식 중에서도 빙떡이 대표 음식 격이다.

이번 설에도 제주도 사람들은 빙떡과 메밀묵을 차례상에 올릴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쫄깃 바삭한 봄 향기, 주꾸미볶음과 봄나물튀김
    쫄깃 바삭한 봄 향기, 주꾸미볶음과 봄나물튀김
  • 톡 쏘는 매운맛 달래 된장국과 달래 가오리찜
    톡 쏘는 매운맛 달래 된장국과 달래 가오리찜
  • [카드뉴스] 담백한 맛, 쫀득한 식감의 조화 간고등어찜과 꼬막전
    [카드뉴스] 담백한 맛, 쫀득한 식감의 조화 간고등어찜과 꼬막전
  • 담백한 맛, 쫀득한 식감의 조화 간고등어찜과 꼬막전
    담백한 맛, 쫀득한 식감의 조화 간고등어찜과 꼬막전
  • 새해를 여는 음식 차돌양지 떡국과 치맛살 육전
    새해를 여는 음식 차돌양지 떡국과 치맛살 육전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