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는 폐암4기 진단을 받았지만, 통증 제어가 잘 되고 간병인 케어도 만족스러워 병원에서 안정적인 컨디션을 유지하고 있었다. 비록 암이라는 몹쓸 병에 걸렸지만 이 정도만 지속해도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우리 생각과는 달리 병원에서는, 더는 해줄 게 없으니 퇴원을 하라고 했다. 아버지는 집으로 가고 싶은 마음이 있는 것 같았지만 상황이 좋지 않았다. 열이 수시로 오르내리고, 콧줄을 끼고 산소 공급도 해야 하고, 통증도 잡아야 하니 자신이 없었다. 결국 요양병원으로 결론을 내리고, 아버지가 원하면 명절에 잠깐 집으로 모시기로 했다.
요양병원 입원은 생각만큼 쉽지 않았다. 시설이나 평판이 좋은 곳은 대기자가 많았고, 대기 없이 들어갈 수 있는 곳은 시설이나 의료진이 성에 안 찼다. 입원을 거절한 병원도 여럿 있었다. 발품을 팔고 눈으로 확인하면 좋은 병원을 고를 수 있겠지 했는데 아니었다. 환자가 병원을 고를 수 있는 게 아니라 병원이 환자를 골랐다. 입원한 대학병원에선 퇴원을 종용하고, 마땅한 요양병원은 나타나지 않았다. 암 환자인 아버지는 결국 재활 전문 요양병원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아버지가 요양병원에 입원했을 때는 코로나19 때문에 면회가 제한 됐다. 전화로 간신히 안부를 주고받았다. 환경이 바뀌어서인지 아버지가 불안해 하는 것 같아 마음이 쓰였다. 그런데 입원 이틀 만에 의식이 흐려지고 말이 어눌해졌다. 간병인은 아버지 상태가 안 좋아졌다고 빨대 컵과 기저귀를 챙겨오라고 했다.
부랴부랴 찾아간 아버지의 새로운 집, 5인실 병실은 비좁았다. 간병인까지 10개의 침대가 다닥다닥 붙어있어 몹시 답답해 보였다. 바로 옆 침대의 환자가 기침할 때마다 커튼이 흔들렸다. 게다가 대부분 장기입원 환자들이어서 간병인들 살림살이가 병실에 가득했다. 여기서 아버지의 존엄한 삶이 가능할까? 의문이 생겼다.
점심이 막 지난 시간이었는데 아버지는 깊은 잠에 빠져 있었다. 아침나절만 해도 걸어서 화장실에 다녀왔다는데 잠에서 깰 기미가 보이지 않아 인사도 못 하고 돌아왔다. 불안한 마음에 저녁에 다시 병실에 들른 동생은, ‘왜 나 모르게 기저귀를 채웠냐’고, 아버지가 간병인에게 언성을 높이는 장면을 목격했다고 한다.
대학병원에서 아버지를 돕던 간병인을 요양병원까지 모시고 왔다. 아버지가 마음에 들어 했다. 아버지가 마지막까지 지키고 싶어했던 건 화장실이었다. 대소변을 끝까지 스스로 해결하고자 했다. 그런데 간병인은 밤에 화장실 가는 대신 기저귀를 채웠다. 요양병원에선 다 그렇게 한다고, 자존심을 기저귀로 막아버렸다. 아버지는 기저귀를 찬 채 종일 잠을 잤다.
통증 관리만 잘하면 요양병원에서 잘 계실 줄 알았는데 그건 우리의 바람이었고 현실은 전혀 달랐다. 아버지 상태는 하루가 다르게 나빠졌다. 어렵게 입원한 요양병원이었지만 일주일만에 서둘러 퇴원을 결정했다.
요양병원에서 나와 다시 대학병원에 입원을 한 아버지는 예전 상태를 회복했다. 식사도 잘 하고 화장실도 걸어서 가고 일기도 쓰면서 온전한 상태에서 스스로의 삶을 마무리할 수 있는데까지 돌아왔다. 요양병원에 계속 있었다면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었을 거다. 그 후로 한참동안 아버지는 요양병원 얘기가 나오면 고개를 저었다. 요양병원에서 일주일은 아버지에게 큰 트라우마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