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자금 마련 어떻게 준비하고 있나요?"

기사입력 2020-05-11 09:31 기사수정 2020-05-11 09:32

100년 행복연구센터 '대한민국 퇴직자들이 사는 법' 발간

(셔터스톡)
(셔터스톡)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여전히 50세 전후에 생애 주된 직장에서 퇴직한다. 하지만 평안한 은퇴를 맞이하기까지 갈 길이 멀다. 국민연금 받기까지 10여 년 간 생활비 전부를 스스로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 연구센터가 이런 직장인의 현실에 주목해 서울·수도권과 5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50세 이상 남녀 퇴직자들의 삶을 조사했다. 이들이 당장 얼마나 지출하고, 어디서 생활비를 마련하는지, 앞으로 노후자금은 어떻게 관리하고 있을까.

퇴직자들은 생활비로 평균 월 252만원 지출하며, 3명 중 2명은 생활비를 28.7% 줄었다. 이런 씀씀이는 퇴직자들의 바람과 차이가 있다. 이들은 괜찮은 생활수준을 위해 월 400만 원 이상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생활비 200만~300만 원은 ‘남한테 아쉬운 소리 안하며 먹고 사는 정도’일 뿐이다. 경조사를 챙기고 사람도 만나며 여가도 즐겨보려면 그 이상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생활비를 경제활동에 의존하며, 일을 못하면 1년 내에 형편이 어려워질 거라는 근심도 있다. 퇴직자 중 절반(55.1%)은 재취업(37.2%)이나 창업(18.9%)을 하였다. 미취업자 역시 65%는 경제활동을 준비 중인 취업 대기자다. 배우자도 절반 이상(58.6%)은 일을 하면서 가구 단위로 보면 경제활동 비중은 84.8%로 높아지며, 이때 경제활동 수입은 평균 393만7000만 원이다. 당장 일은 하지만 일부 생활비에 대한 불안이 남는다. 퇴직자 중 36.4%는 일을 그만두면 당장 또는 1년 이내에 형편이 어려워 질 수 있다는 걱정을 안고 있다.

54.2%는 노후대비를 위해 평균 월 110만 원을 저축하며, 보유주택 활용, 여생동한 생활비를 주는 상품에 관심이 있다. 대한민국 퇴직자에게 노후준비는 아직 끝내지 못한 숙제다. 가장 많은 걱정은 ‘앞으로 늘어날 의료비’(71.7%)와 ‘노후자금 부족’(62.0%)이다. 여기에 ‘자녀의 결혼비용’(56.2%)까지 더해진다. 퇴직자 대부분은 허리띠를 졸라매고 경제활동을 계속한다는 생각이다. 금융 측면에서는 저축을 하고, 주택을 활용하며, 여생동안 생활비를 지급하는 상품을 찾고 싶다.

퇴직자 중 65%는 직장에서 물러난 뒤 심적인 후유증을 겪는다. 퇴직 후유증은 생애 주된 직장에서 퇴직한 후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가족과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상황을 말한다. 퇴직 후유증은 남성이 더 많이 겪는데, 55세 이전 조기퇴직 한 남성일수록 ‘가장으로서 압박감’으로 인한 후유증에 시달렸다. 이들은 주로 일을 재개하면서 후유증을 털어냈다. 후유증을 겪는 사람에게는 가족의 위로와 격려도 큰 도움이 된다. 배우자와 관계가 좋을수록 후유증을 덜 겪는다.

평소 건강관리 위한 운동과 1년 2~3번 여행이 평균적인 여가모습이다. 퇴직자들은 여가활동에 평균 하루 2.6시간, 지출액은 평균 월 14만원을 쓰며, 주로 배우자와 함께한다. 퇴직자 대부분(60.8%)은 여가가 종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줄었다고 답한다. 여가를 즐기기에 돈이 부족하거나(47.9%), 일하느라 시간이 부족한(31.3%) 현실 때문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노후 대비 투자 이렇게 하세요
    [카드뉴스] 노후 대비 투자 이렇게 하세요
  • 해외 금융계좌 신고 어기면 ‘과태료 폭탄’
    해외 금융계좌 신고 어기면 ‘과태료 폭탄’
  • [카드뉴스] 잠자는 퇴직연금 찾는 법
    [카드뉴스] 잠자는 퇴직연금 찾는 법
  • [카드뉴스] 4050 직장인을 위한 노후준비 전략
    [카드뉴스] 4050 직장인을 위한 노후준비 전략
  • ‘부모 토지 위 자녀 건물’ 양도 시 알아야 할 세무 포인트
    ‘부모 토지 위 자녀 건물’ 양도 시 알아야 할 세무 포인트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