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여행 중에 배론성지를 찾았다. 한국 천주교 초기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숨어들어 교우촌을 이루고 살던 곳으로, 산속에 둘러싸인 모습이 아름다워 신자는 물론 신앙을 가지지 않은 사람들도 기꺼이 가보고 싶은 곳이다
배론 성지에서 제일 먼저 보고 싶었던 건, 한국천주교사에 한 획을 그은 황사영 백서가 쓰인 현장이었다. 황사영은 다산 정약용의 형인 정약현의 사위로, 정조가 등용을 약속할 만큼 앞길이 창창한 인물이었지만 천주교를 믿게 되면서 벼슬을 마다하고 배론에 숨어들어 신유박해의 상황과 도움을 요청하는 백서를 작성하게 된다.
배론 성지 뒤편에는 황사영이 백서를 썼던 토굴이 보존돼 있다. 허리를 숙여야 들어갈 수 있는 토굴 내부는 2~3명이 들어가면 꽉 찰 정도로 비좁았다. 황사영은 거기서 8개월 동안 기거하면서 조선이 천주교도들에게 가한 박해 내용을 상세하게 기록했다.
두 귀에 화살을 꽂고 형장으로 끌려가는 주문모 신부를 비롯해, 누가 어떻게 박해당하고 처형됐는지 하얀 비단천에 깨알 같은 글씨로 적어놓았다. 백서의 원본은 로마교황청 민속박물관이 소장하고 있고 이곳에 전시된 건 복사본이다.
토굴 속에서 절망과 두려움에 몸을 떨면서 글을 써내려갔을 당시의 절박한 고통은 이제 더는 없다. 다만, 현재 우리가 누리는 신앙의 자유가 이들이 흘린 피와 고난의 값이었음을 다시 한번 상기할 수 있었다. 이 백서는 북경에 있던 프랑스 주교에게 전달할 예정이었으나 사전에 발각됐다. 황사영이 순교하고 관련된 신자들이 모두 처형되면서 배론 교우촌도 파괴되었다는 안내판을 담담하게 읽어내려갔다.
배론 성지는 황사영 백서 외에도 한국 천주교 전파 진원지로 의미 있는 곳이다. 토굴 바로 옆에는, 한국 최초의 신학교인 성요셉 신학교가 복원돼 있다. 프랑스인 신부 두 명이 배론에 살던 장주기 집에서 신학교를 열고 10여 명의 학생을 가르쳤다. 격식을 갖춘 최초의 신학교라는 점에서 카톨릭대학의 전신이라 인정된다고 한다.
김대건 신부에 이어 우리나라 두 번째 신부인 최양업 신부의 묘소도 이곳에 있다. 십자가의 길을 걸어서 올라가면 배론성지의 가장 높은 곳에 최양업 신부가 묻혀있다. 포교활동에 열정적으로 매달리다 병사했지만 순교가 아니라는 이유로 복자 칭호를 받지 못하다가 최근 교황청이 가경자(영웅적 성덕이 인정된 하느님의 종에게 붙이는 존칭)로 선포하면서 시복을 기다리고 있다.
조각공원엔 최양업 신부의 출생에서부터 죽음까지 벽화로 조각돼 있어 그의 일생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배론이란 ‘배의 밑바닥’이란 순우리말이라고 한다. 이곳의 지형이 배의 밑바닥을 닮았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배 모양을 한 성당 내부까지 둘러보고 배론 연못에서 기념사진을 찍으며 제천여행을 마무리했다. 연못에 비추는 예수님 반영을 찍기 위해 포토그래퍼들이 모여드는 배론의 대표적 포토존이니 기억해 두면 좋다.
배론성지는 150년 전 선조들이 신앙의 자유와 억압으로부터 해방을 이루기 위해 흘린 피와 땀이 서린 곳이다. 그러나 마음이 무거울 필요는 없다. 전체가 공원처럼 되어있어 천천히 걸으며 둘러보기만 해도 마음의 위안이 찾아왔다.
여행의 트렌드는 소규모 자유여행
코로나19로 거리 두기가 일상이 되면서 많은 사람이 관광버스를 타고 함께 하는 여행은 피하게 된다. 반면 삼삼오오 친한 사람들끼리 개인의 취향대로 하는 소규모 여행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제천시에서 시작한 관광택시는 3~4명이 함께 여행하기에 안성맞춤이었다. 제천시티투어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한 뒤 택시를 배정받아 해당 시간만큼 이용하면 된다. 지자체 보조금 덕분에 5시간 권은 5만 원, 8시간 권은 8만5천, 부담스럽지 않은 금액에 이용할 수 있다.
제천은 약초의 고장답게 약선요리가 유명하니 유기농 재료와 약초로 만든 요리를 먹고 나면 제대로 힐링 여행 완성이다. 토박이 택시기사에게 물어보면 몸에 좋은 건강밥상을 차리는 집, 직접 키운 유기농 채소를 사용하는 집, 밥이 보약이 되는 집 등 원하는 대로 동선에 맞게 안내받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