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을 낀 동네에 이사 와 산 지 이제 스무 해가 좀 넘었습니다. 그러니 한강 둔치를 걷는 일도 그 세월만큼 흘렀습니다. 이제 걷는 일은 제 일상입니다. 호흡과 다름이 없습니다.
걷기는 그 이전에도 제 일상이었습니다. 탈 거리가 드물기도 했습니다만 전쟁이 끝나고 학교가 다시 문을 열었을 때 저는 읍내에서 하숙이나 자취할 여유가 없어 집에서 학교까지 걸었던 적이 있습니다. 그 기간이 두 달 남짓했으니 오랜 일은 아닙니다만 새벽 5시에 집을 나서면 8시쯤 학교에 다다랐습니다. 그리고 학교가 파하면 다시 그렇게 걸어 집에 돌아왔습니다. 하루에 여섯 시간 남짓을 걸은 셈이죠. 신작로는 지루했습니다. 너무 단조로웠죠. 그래서, 지름길이라고 했지만 그리 시간이 단축되었던 것은 아닌데, 저는 산길로 들어서서 오르내리며 그 긴 길을 걸었습니다. 그 길과 일치하지는 않지만 요즘 차를 타고 내비게이션에 나타나는 거리로 보면 대략 12.3㎞쯤 됩니다.
그러나 그때 걷던 일은, 실은, 걸음이 아니었습니다. 그저 헐레벌떡 학교에 늦지 않기 위해 달려간 것이어서 내가 지금 걷고 있다는 자의식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런 경험 탓이겠습니다만 저는 걷는 것이 조금도 부자연스럽지 않습니다. 역시 교통비와 무관한 것은 아니었지만 대학에 다닐 때도 종로 5가에서 가정교사하던 신설동까지 늘 걸었습니다. 걷는 것이 그냥 좋았습니다.
‘내가 지금 걷고 있다’는 자의식을 가지고 걸은 것은 오랜 뒤의 일입니다. 나이가 예순에 꽉 차게 이르렀을 때쯤부터 서서히 그랬던 것 같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한강 가에 와서 살기 시작했을 즈음입니다. 그러나 이때도 제 걷기가 제법 그럴 듯한 소요(逍遙)는 아니었습니다. 건강해야 한다는 강박감이 저를 충동했고, 그래서 걷기라기보다 뜀박질로 강 둔치를 달렸습니다. 저는 한강철교에서 시작해 동작대교까지, 그리고 다시 그곳에서 출발한 곳까지, 온 힘을 다해 그야말로 질주를 했습니다. 때로는 두 왕복을 하기조차 했습니다. 겨울에도 온몸이 땀에 젖었지만 그렇게 상쾌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세월은 흐르고 몸은 낡아갑니다. 얼마 뒤부터 저는 달릴 수가 없었습니다. 이윽고 저는 속보를 하게 되었고, 그런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 거리를 터벅거리며 오갔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지금은 아예 어슬렁거립니다. 바야흐로 소요의 경지에 들어선 것 같습니다. 겨우 이제 걷기를 하는 셈이죠.
어쩔 수 없습니다. 낡고 쇠해가는 몸이 저리게 느껴집니다. 이래저래 겪는 상실감이 뚜렷하게 진해집니다. 걸음걸이는 늙음을 드러내주는 가장 뚜렷한 표지입니다. 자신이 얼마나 늙었는지 확인하려면 걸어보는 일보다 더 효과적인 측정 도구는 없습니다.
하지만 어슬렁거리는 지경에 이르면서 잃은 것만 두드러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를테면, 달리기할 때는 보이는 것이 동작대교와 한강철교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왕복을 끝내면 그 성취감이 이루 말할 수 없이 뿌듯했습니다. 그런데 달리기를 그만두고 속보를 하면서 저는 처음으로 제가 달리는 길이 보였습니다. 옆의 나무들도 실루엣처럼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리고 그마저 그만두고 터벅거리게 되자 하늘도 강의 물결도 내 호흡과 더불어 내 안에 안겼습니다. 나는 갑작스럽게 펼쳐지는 낯선 세상을 만나면서 놀랍고 경이로웠습니다. 달리기에서 이룬 성취감으로는 짐작하지 못한 행복이었습니다. 그런데 어슬렁거리는 요즘에는 바람 소리도 들리고 햇빛의 흔들림조차 보입니다. 물결이 일고 꽃이 피는 모습도 보입니다. 그리고 바람과 하늘과 구름과 꽃과 나무와 그늘과 길이 어우러져 자기네들의 이야기를 펼쳐놓는 것조차 보이고 들립니다. 제가 그 대화에 끼어들기도 합니다. 낡아간다는 것은 잃어간다는 것만은 아닙니다. 그것은 꿈도 꾸지 못한 많은 것을 새로 얻어간다는 일이기도 합니다. 걷다 보면 그렇다는 것을 새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걸음조차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을지 알 수가 없습니다. 몸을 가진 인간이 안 아프기를 바란다면 그것은 망발입니다. 얼마 전에 저는 걷지 못해 얼마간 한강 둔치에 나가 걷는 일상을 접어야 했습니다. 아쉽다 못해 절망스러웠습니다. 그런데 깜짝 놀랐습니다. 길이, 한강 둔치에 뻗어 있는 긴 길이, 저에게 속삭이는 소리가 들렸기 때문입니다.
“너 기억하니? 서쪽을 향해 걸을 적에 만났던 황혼을! 너 그 신비 속에 안기고 싶다고 그러지 않았니? 내 끝이 거기 닿아 있는데 네가 내 위를 걸었던 것을 기억만 해도 나는 너를 그리 데려다줄 거야! 더 내 위를 걷지 못해도!”
달리기가 아닌 어슬렁거리는 걸음만으로도 삶을 마무리할 수 있다는 것이 이렇게 넉넉한 지복(至福)의 경지인 줄은 미처 몰랐습니다.
지난주부터 저는 다시 한강 둔치를 흐느적거리며 걷기 시작했습니다. 황혼의 신비로 이끌어줄 길과 더불어 내가 걷는 일이 이리 고마울 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