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시설·요양원 등 코로나19 감염 잇따라 '비상'

기사입력 2020-07-22 09:08 기사수정 2020-07-22 09:08

(셔터스톡)
(셔터스톡)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가 복지시설, 요양원 등 고령층이 주로 찾는 곳으로 번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와 함께 시설 내 감염 차단을 위한 대책 마련도 시급한 상황이다.

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 등에 따르면 서울 강서구 방화1동 노인 주야간 보호시설인 강서중앙데이케어센터와 관련해 전날 정오까지 센터 이용자와 가족 등 총 12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지난 19일 첫 확진자가 나온 지 불과 사흘 만에 10명대로 급증한 것이다.

일단 센터 종사자와 이용자, 접촉자 등 118명에 대한 검사 결과 추가 확진자는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센터 이용자들이 매일 집과 시설을 오간 것으로 파악되는 만큼 이들과 밀접하게 접촉한 가족 등에서 확진자가 더 나올 가능성이 있다.

경기 시흥시의 서울대효요양병원에서도 현재까지 총 4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지난 15일 이 병원에 입원 중이던 70대 환자가 부천 세종병원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고 확진됐는데, 이후 같은 병실과 바로 옆 병실에 있던 환자가 연이어 감염됐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고령 확진자의 경우 사망 위험이 커질 수 있는 만큼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지난 5월 말 이후 노인 복지시설과 요양병원 등 10곳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모두 113명으로, 이 중 8명이 사망했다.

감염병 전문가는 “어르신들은 평소 지병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고 면역력도 떨어져서 감염병에 취약하다”며 “특히 어르신들이 주로 찾는 데이케어센터의 경우 계속 취약지역이 되고 있다. 시설 내 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부모와 살면 양도세 경감… 동거봉양 합가 특례란?
    부모와 살면 양도세 경감… 동거봉양 합가 특례란?
  • “경제적 불확실성, 중장년의 불황형 소비 패턴 만들어”
    “경제적 불확실성, 중장년의 불황형 소비 패턴 만들어”
  • 강력 소비 주체로 떠오른 5060… 서울시, 중장년 소비 트렌드 분석 결과 발표
    강력 소비 주체로 떠오른 5060… 서울시, 중장년 소비 트렌드 분석 결과 발표
  • 日, “새해 의료·돌봄 문제 대두”… 의료비 3년 연속 최대
    日, “새해 의료·돌봄 문제 대두”… 의료비 3년 연속 최대
  • 고인(故人)의 상조상품 가입 여부 확인,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로
    고인(故人)의 상조상품 가입 여부 확인,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로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