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다미술관 장동선 관장
미술작품은 하나의 세계가 아닌 겹겹의 세계를 만나게 해준다. 끊임없이 증식하는 세계를 인식하게 한다. 그렇다면 세계를 보여주는 독창적인 화가가 많으면 많을수록 감상자에겐 행운이다. 미술관도 마찬가지 아닐까?
관습에서 벗어난 독창적인 미술관이 많을수록 미술 애호가에겐 득이 된다. 장동선 관장은 애호가의 입장에 서서 국내 미술관들의 동향을 주시해온 인물로 보인다.
“재미있는 미술관이어야 관람객을 만족시킬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선 다양한 콘셉트를 갖춰야 한다. 미술작품이 서로 다 다르듯이, 다양성을 갖춘 미술관의 다양한 공존을 통해 미술세계가 다양성의 ‘끝판왕’이라는 걸 보여줘야 한다. 그러나 국내 미술관들은 다양성이 떨어진다. 소다미술관은 기존 미술관을 답습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운영상의 안전을 위해 관행을 따르는 미술관이 많다. 소다미술관은 어떤가?
“처음엔 여러모로 힘들었지만 빠른 속도로 자리 잡히고 있다. 내심 뉴욕이나 강남에서 전시할 만한 수준의 전시회를 하기 위해 기획력을 총동원해왔다. 4인으로 구성된 소다의 기획 팀원들은 일단 독서를 많이 한다. 세상을 읽는 눈과 촉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도시재생’을 키워드 삼아 만든 문화예술 공간이 늘고 있다. 여기에 문제점이 있다면?
“‘재생’을 내세우면서도 너무 심하게 뜯어고치는 추세다. 일단 서둘러 건축부터 하고 나서 운영팀이 들어간 뒤 재공사를 하거나, 그냥 불편하게 견디는 사례도 있다. 이와 같은 시행착오를 예방하기 위해, 우리는 작업 전에 1년 이상의 조율기간을 가졌다. 남편이 건축가라서 의견수렴이 쉬웠지만 충돌도 많았다.”
이를테면 어떤 충돌?
“나는 일부 건물의 천장을 뚫어내는 방식을 반대했다. 회화를 전시할 실내 공간을 널찍하게 확보하는 게 급선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반면, 건축 전시회를 염두에 두었던 남편은 대형 파빌리온 작업에 방해가 될 천장을 잘라내자고 했다. 결국 내가 의견을 거둬들였다.”
아이들을 위한 이벤트의 목적은?
“요즘 아이들은 아파트 이외의 공간을 체험하지 못하며 자란다. 창의성을 저해하는 환경에 갇혀 있다. 따라서 예술 체험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봤다.”
관장일 즐겁겠다. 미술에 취할 테니까.
“순진한 생각으로 덤벼들어 처음엔 고생했다. 남들은 우아하게 사는 걸로 보지만, 사실 관장직이라는 게 전문용어로 ‘노가다’에 가깝다.(웃음) 나의 꿈이 무엇인지 아시나? 매순간 열심히 살고 싶다는 거다.”
미술관을 위해 열심히 뛰었다는 얘기이겠다. 좌충우돌도 없지 않았을 게다. 그러나 이젠 궤도에 올라섰다. 요즘의 고민은 하나. 감상자들을 미술작품 앞에 더 오래 머물도록 하는 방법 찾기란다. 몰입이 없는 감상은 손실이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