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밥은 무슨 밥일까요?”라는 질문을 받았다. 일류 호텔의 주방장이 만들어내는 요리 이름을 알아맞히는 퀴즈는 아니다. 잠시 머리를 굴려본다. 엄마가 해준 밥, 열흘 굶은 사람한테 내미는 주먹밥처럼 정서적인 답을 요구하는 것 같지도 않다. 뭘까? 엉뚱하고 기발하지만 의미가 담겨 있는 답을 요구하는 게 분명해 보인다. 내가 진짜 좋아하는 음식은 잔치국수와 비빔밥이지만 이걸 말했다가는 “에게” 하고 웃어버릴 것 같다.다.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밥은 ‘남이 해준 밥’이란다. 정답을 듣고 고개를 끄덕이면 세상을 제법 산 사람이다. 갑자기 어머니 생각이 났다. 어머니가 살아계시던 불과 30년 전에는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면 큰일나는 시대였다. 외식은 거의 모르고 살았다. 특별한 날에 먹는 음식이 외식이지 맛있는 요리를 먹기 위한 식사자리는 아니었다. 친척이나 친한 사람은 집으로 초대해 식사 대접하는 게 미덕인 시절이었다. 여자가 시집오면 밥하는 일에 전념하다가 며느리가 들어오면 그제야 부엌을 넘기고 허리를 폈던 시대가 불과 30년 전이었다.
내 어머니는 아들을 여섯이나 두었다. 내심으로는 부엌 탈출이 금방 될 줄 아셨다. 이 많은 자식들 중 하나는 고향에 남아 부모도 모시고 농사지으며 살 테지! 하는 믿음이었다. 그런데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의 영향으로 자식들 모두가 성장하는 족족 도회지로 떠나버렸다. 공장에 다녀도 한 달에 쌀 두세 가마니 정도의 봉급은 받았다. 농사 수입과는 비교조차 되지 않을 만큼 많았다. 결국 어머니는 환갑이 지나서도 부엌을 떠나지 못했다. 그때나 지금이나 농촌은 부엌을 못 떠나는 할머니들이 대부분이다.
풍족하지 않은 살림에 시부모를 모시는 어머니의 식사 준비는 매 끼니마다 찾아오는 고통이었다. 밥은 그렇다 해도 무슨 국을 끓이고 무슨 반찬을 만들어야 하나 하는 고민은 밥상을 물리면서부터 다음 끼니 걱정으로 이어졌다. 수십 년간 그렇게 밥을 해온 어머니는 어둑어둑할 때 부엌에 들어가 밥하기가 너무 싫다고 하시며 혼자라면 그냥 굶고 싶다고 했다. 순진한 나는 전기스위치만 올리면 대낮처럼 환한 부엌인데 왜 저런 말씀을 하실까! 하고 마음에 두지 않았다.
듣기 좋은 꽃노래도 몇 번 들으면 싫증나는 법인데 몇십 년을 그리 사셨으니 질리기도 하셨을 거라는 생각을 나이가 한참 들어서야 깨달았다. 밥하기 싫다는 어머니 말씀 속에는 부모를 모시는 효자 자식이 하나쯤 있어 옛 풍습처럼 며느리가 해주는 밥상을 받고 싶었던 속마음이 있었다는 걸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야 알았다.
요즘 늙은 아내도 밥하기 싫어하는 눈치다. 밥을 먹는다기보다 한 끼 때우기를 원한다. 집에 둘이 있는 날에는 그런 기색이 더 역력하다.
“라면 끓여 밥 말아 먹을까?”
“냉동실에 고등어 있는데 그것만 구어서 김치하고 밥 먹자!”
내 대답은 언제나 오케이다. 한술 더 떠서 “그럼 밖에 나가서 외식하고 올까?” 하는 날도 있다. 그럴 때마다 우리 부부는 음식 고르는 데 한참 걸린다. 딱 부러지게 먹고 싶은 메뉴도 없다. 나갈까 말까 하다가 “그래도 집밥이 최고지” 하며 아내는 주저앉는다.
핵가족 시대인 요즘에는 명절이나 돼야 며느리가 해주는 밥을 겨우 얻어먹을 수 있다. 90세의 꼬부랑 할머니가 비슷한 연배의 할아버지 밥을 챙겨주는 애잔한 모습을 텔레비전 화면으로 자주 본다. 줄잡아도 70년은 손수 밥을 했을 것이다. 할머니 건강이 나쁘면 할아버지가 할머니 밥을 챙기는 모습도 이제 낯설지 않다. 노년에 배우자가 떠나 혼자 해먹는 밥은 한 끼 해결하는 일에 불과하다. 돈 주고 사먹는 밥이 아닌, 사랑을 듬뿍 담은 남이 해주는 밥이 역시 최고다. 내일은 아내에게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밥을 만들어줘야지 하면서도 자고 나면 또다시 미루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