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되면서 주거 문화도 바뀌고 있다. 이제 집은 휴식을 넘어 다양한 기능을 하는 공간으로 변하는 중이다. 운동, 업무, 취미활동을 집에서도 해결할 수 있다. 마치 옷을 껴입듯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집이라 해서 ‘레이어드 홈’(layered home)이라 부른다. 인테리어 브랜드 ‘한샘’이 최근 발표한 ‘2020 가을 인테리어 트렌드’를 통해 레이어드 홈을 살펴보자.
도움 인테리어 브랜드 ‘한샘’
![▲듀얼 모니터를 통해서 화상회의와 업무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한샘)](https://img.etoday.co.kr/pto_db/2020/12/700/20201209100856_1551987_1181_886.jpg)
낮에는 업무, 밤에는 취미
거실 뒤편의 홈오피스는 재택근무자를 위한 공간이다. 화상회의와 업무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듀얼 모니터를 설치했다. 내부에 설치된 알레 선반 시스템은 원하는 대로 모듈 구성이 가능해서 사용이 편리하다. 거실과 오피스 사이에 있는 스마트 글라스는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업무에 집중하고 싶거나, 아무에게도 방해받지 않고 혼자 조용한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불투명하게 설정하면 된다. 저녁에는 취미생활을 즐길 수 있다. IoT 기기에 ‘서재 모드’, ‘파티 모드’ 등을 설정하면 음성 명령으로 스마트 글라스, 조명, 블라인드 등이 자동으로 조절된다. 파티 모드로 설정한 공간에서 취미를 즐기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자.
![▲홈시어터를 통해 영화관처럼 거실에서 영화를 즐길 수 있다(한샘)](https://img.etoday.co.kr/pto_db/2020/12/700/20201209101231_1551990_1199_799.jpg)
집 안의 작은 영화관
큰 스크린 화면과 빵빵한 음량, 적막 속에서 마시던 콜라와 달짝지근한 팝콘. 이전처럼 영화관에 가는 것이 어려워지면서, 그 안에서 즐기던 소박한 것들이 그리워졌다. 하지만 인간의 마음은 어찌나 간사한지 유튜브와 넷플릭스에 빠져 저 그리움들을 잊어버릴 정도다. 다만 영화관 특유의 분위기와 몰입도가 아쉬운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렇다면 이 둘을 적절히 섞을 수는 없을까? 대안을 하나 제시한다면 바로 거실에 홈시어터를 설치하는 것이다. 음성인식 스피커에다 대고 “영화 보여줘!” 한마디만 하면 스크린, 프로젝터, 조명, 커튼 등을 한꺼번에 통제할 수 있다. 스크린과 프로젝터, 조명을 천장에 매입한 덕분에 인테리어도 깔끔하다.
![▲손대지 않고 문을 열 수 있는 스마트 현관(한샘)](https://img.etoday.co.kr/pto_db/2020/12/700/20201209101509_1551998_886_1181.jpg)
스마트 현관
간혹 도어 록 비밀번호를 까먹어서 난감했던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그런 일도 추억으로 남을지 모른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스마트 홈 기술 때문이다. 얼굴, 손 정맥 등 생체인식이 추가된 현관 도어 록과 전동 중문은 손을 대지 않고도 열 수 있다. 현관장 내부에는 살균 조명을 설치해 물품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혹시 밖에서 묻혀왔을지도 모를 바이러스와 세균도 차단해준다. 한샘 관계자는 “생체 인식과 같은 스마트 홈 기술은 코로나19 이전부터 준비해왔고, 최근 비대면과 위생관리가 화두가 되면서 살균 시스템 같은 위생적 기능을 한층 더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홈파티를 즐길 수 있는 알파룸(한샘)](https://img.etoday.co.kr/pto_db/2020/12/700/20201209101633_1551999_1181_886.jpg)
안에서는 홈파티, 밖은 홈가드닝
테라스와 연결된 알파룸이 있다면 어떻게 활용할까? 일단 방 한가운데 커다란 테이블을 두고 평소에는 서재로 쓰다가 주말엔 친구들을 불러 근사한 홈파티를 열어보자. 자주 사용하는 와인 잔과 식기류를 수납하는 카페장, 그리고 잡지를 비치할 수 있는 매거진 랙으로 감성적인 연출을 시도해보자. 또 나들이를 자주 못 나가 심신이 지칠 때 위안이 되는 홈가드닝으로 꾸며보는 건 어떨까? 폴딩도어로 이어진 테라스는 홈가드닝 최적의 장소다. 외출이 쉽지 않을 때 이곳에서 햇빛도 쐬고, 계절마다 다양한 화초를 가꿔보자. 파릇파릇한 초록색을 보면 눈도 마음도 정화된다. 한샘 관계자는 “신혼부부를 타깃으로 한 방으로, 향후에 아이가 생긴다면 아이 방으로 쓸 수 있다”고 조언하며 멀티 공간으로서의 확장성을 시사했다.
![▲ 다용도실에 마련된 반려동물 욕실(한샘)](https://img.etoday.co.kr/pto_db/2020/12/700/20201209101748_1552001_1155_1541.jpg)
반려동물도 가족
반려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국내 ‘펫팸족’이 1000만 명을 넘어서면서, 사람과 반려동물이 공존할 수 있는 가구나 인테리어에 관심이 높아졌다. 이른바 ‘펫테리어’ 시장이 점점 커지는 추세다. 반려동물과 함께 산다면 다용도실에 반려동물 욕실을 마련하거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펫도어 설치를 추천한다. 여기에 반려동물 용품을 정리할 수 있는 펫하우스 수납장을 추가하면 용품 관리가 한결 더 수월해질 것이다. 한샘 관계자는 “작년부터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시장에서 주목받는 것 중 하나가 ‘펫테리어’다. 섣불리 실수요를 예측할 수는 없지만, 펫팸족의 증가를 봤을 때 미래에 고려할 수 있는 인테리어 중 하나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주방에서 즐기는 홈카페(한샘)](https://img.etoday.co.kr/pto_db/2020/12/700/20201209101903_1552003_1181_886.jpg)
집에서 즐기는 브런치
먹다 남은 김치찌개 앞에 자주 앉아 있지만, 가끔은 근사한 카페에서 브런치를 먹거나, 바에서 와인을 한잔하는 여유도 필요한 법. 하지만 코로나19로 쉽지 않다. 그렇다면 주방을 홈카페처럼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 일단 주방과 다이닝 공간을 구분하자. 다이닝 공간에는 은은한 불빛이 매력인 펜던트 조명을 설치하고 그 아래 원형 식탁을 놓자. 이곳에 카페 수납장과 커피머신, 그리고 편집숍에서 산 빈티지 잔까지 더하면 카페 부럽지 않다. 늦은 아침 가볍게 브런치를 즐기고, 저녁에는 와인을 마시는 홈바로 쓸 수도 있다. 주방 한편에 마련된 팬트리는 대용량 식료품이나 청소용품을 수납하거나 분리수거 존으로 쓰면 된다. 주방이 훨씬 더 깔끔해진다.
![▲아치형으로 된 발코니 입구는 호텔의 침실 같은 분위기를 만든다(한샘)](https://img.etoday.co.kr/pto_db/2020/12/700/20201209101957_1552005_1181_787.jpg)
내 집에서 언택트 호캉스
호캉스를 즐기기 어려운 요즘, 집 안 침실에 호캉스 분위기를 내보는 건 어떨까? 호텔은 심미적인 분위기와 더불어 한꺼번에 즐길 수 있는 기능적 요소가 장점이다. 그렇다면 침실도 호텔처럼 이러한 기능성을 갖추면 어떨까? 우선 발코니로 이어지는 입구는 아치형으로 만들어 공간을 부드럽게 꾸미고, 침실 벽면에는 입체감이 가미된 템바보드로 포인트를 준 뒤 무드 조명을 설치해 근사한 호텔형 침실을 만들어보자. 간단한 업무를 할 수 있는 서재와 드레스룸 혹은 가벼운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홈짐이 있다면 기능적으로 완벽하다. 이 정도면 호캉스도 부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