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밖엔 난 몰라!” 화가들이 흔히 하는 말이 이렇다. 그림 작업에 대한 집념, 또는 고독을 귀띔하는 얘기다. 삶의 불안과 허기를 그림으로 다스릴 수밖에 없는 운명을 통기하는 발언이기도 하다. 그렇게 비장한 각오로 전념해도 빗나갈 수 있는 게 창작이다. 예술과 생계를 두루 돋우기가 어디 쉽던가. 올해로 77세 희수(喜壽)에 이른 임립 관장의 미술 인생은 이 점에서 순항의 연속이었다. 반백 년간 그린 그림이 5000여 점이란다. 그 다산성으로 할 일 다 한 셈이다. 충남대학교 교수로 재임하며 제자를 숱하게 길러내기도 했다. 이렇게 안팎으로 윤택하다. 게다가 고향 땅에 우람한 개인미술관까지 지었다. 기재(奇才)라 할까? 그의 활보를 추동한 힘은 무엇일까?
“헤밍웨이가 쿠바의 해변에서 낚시질만 했겠는가? 예술가의 원천적 힘은 노력에서 나온다. 재능이 없고선 할 수 없는 게 미술이라 하지만, 선천적 재주의 몫은 1%에 불과하다. 99%가 노력의 몫인 거다. 내 작품의 질에 대해선 여전히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후세가 평가해줄 테지. 다만 자신할 수 있는 건 열심히 노력해서 그렸다는 점이다.”
노력하는 힘은 또 어디서 나오는 걸까? 조지 오웰은 ‘순전한 이기심’을, 즉 명예욕을 작가들의 주된 창작 동기로 꼽았더군.
“젊은 날엔 비전을 가지고 강한 욕망으로 밀어붙어야 하지 않겠나? 그게 없으면 그릴 수 없거든. 그러나 명예니 돈이니, 그런 건 개도 안 먹는 것들이다.(웃음) 정직하게 사는 게 더 소중한 가치라고 본다. 더구나 나이 들어서는 욕망 따위는 내려놓아야 한다.”
반추상을 주조로 하는 선생의 작품은 쉽게 다가온다. 토속적 정취를 짙게 풍겨 푸근한 기분을 자아낸다. 하지만 이 멍청이가 보기에 새롭진 않다.
“잔잔한 화풍을 추구해왔다. 격렬한 감정 배설이나 실험적 작풍은 적성에 맞지 않더라. 시골 담벼락이 주는 아주 순수한 느낌, 잔잔한 풍정, 이런 서정적인 정조를 추구해왔다.”
도발적이고 기발한 모티프로 독창성을 과시하는 근자의 미술 경향에 관해선 어떤 생각을 하나?
“독창적인 자기 세계라는 게 가능할까? 세상에 오직 나만의 것이라는 게 존재할 수 있겠느냐는 말이다. 다 영향을 받으며 흘러갈 뿐이다. 지구를 손아귀에 쥔 것처럼 거창한 독창성을 내세우는 작가들을 난 믿을 수 없다.”
그는 미술 역시 궁극적으로는 수신(修身)의 방편일 수밖에 없다고 보는 것 같다. ‘괜히 폼만 잡는 위선’으로 흐르는 미술 행위를 극구 경계한다. 이런 그는 노령에도 아랑곳없이 다작을 한다. 한 해에 최소한 100여 점의 작품을 만든다. 그림 작업 외에 공을 들이는 건 미술관 관리다.
“이거 아나? 이 미술관의 중심은 호수라는 거. 애초 건물들을 짓기 이전에 호수부터 만들었다. 사람이 가장 좋아하는 게 물이기 때문이다. 어머니 뱃속의 양수에서 노닐다 태어나는 게 사람이지 않은가. 잔잔하게 흐르는 물. 이건 내가 지향하는 인생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