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립미술관으로 들어서자 대뜸 눈에 들어오는 게 봄꽃들이다. 나뭇가지마다 꽃 걸렸다. 하얀 꽃, 노란 꽃, 붉은 꽃들 소담히 만개해 살가운 눈짓을 보낸다. 산중의 4월은 통째 꽃 천지다. 저 멀리 산등성이에서도 벚꽃들이 아우성을 친다. 여길 보소! 날 좀 보소! 그렇게. 궁벽한 산골에 꽃 제전 벌어져 볼 게 둘이다. 꽃과 미술이 겹을 이룬 게 아닌가. 이런 미술관이 드물다. 순전한 자연 속에 들어앉은 미술관이다.
임립미술관은 널리 알려지진 않았다. 그러나 한번 왔던 사람들은 다시 찾아온다. 미술관 일대의 목가적인 전원 경관에 홀딱 반해서다. 사람은 자연 속에 있을 때 가장 편안해진다. 때 묻은 마음을, 뒤틀린 생각을, 어찌해볼 길 없는 불안을 자연과의 해후로 헹궈낼 수 있어서다. 자연이 지닌 치유 능력. 이건 미술 작품이 주는 감동의 힘과 동일하다. 다른 게 있다면 자연은 ‘그냥 그렇게’ 날것으로 존재해 완전한 생태를 이루지만, 미술은 불완전한 인간의 간절한 꿈과 욕망으로 가공된 인위의 세계라는 점이다. 그러기에 미술이 자연과 맞먹을 길은 없다. 조물주의 영역에 있는 자연을 탐색하거나 탐닉할 뿐이다. 모든 미술은 궁극적으로 자연을 모방하는 행위가 아니겠는가. 자연의 비밀을 염탐한 게 많은 미술 작품을 우리는 명작이라 부른다.
자연은 결국 예술의 어머니다. 그 고귀한 어머니가 여기에서 생동하는 숨결을 뿜는다. 숲의 저 속삭임에서 보들레르는 시를 건졌고, 밀레나 루소는 그림을 얻었다. 무성한 숲속의 미술관을 만난 건 행운이다.
임립미술관은 새 둥지처럼 안락하다. 어린 것을 껴안은 어미처럼 산이 보듬고 있어서다. 굳이 멋 부려 미술관을 치장하지 않아도 절로 그윽한 미감이 살아나는 환경이니 자리 한번 기똥차게 잘 잡았다. 충남 공주시 계룡면에 있다. 충남의 제1호 사립미술관으로 서양화가 임립(77)이 1997년에 개관했다.
임립을 만나기 위해 사무실로 들어서는데 그가 늦은 점심식사를 하고 있다. 누룽지탕에 반찬은 달랑 김치 하나. 워낙 식성이 담백해 소찬 식사가 잦다고 한다. 이는 어릴 적 식습관에서 유래한 기호란다. 예전엔 흔히들 곤궁해 별로 올라온 것 없는 밥상을 받기 십상이었다. 그럼에도 그리운 게 어린 시절이요, 고향이다.
소음과 풍문이 들끓는 도시에서 화가로, 대학 교수로 활갯짓을 했던 그의 마음은 자주 흘러 고향으로 향했다. 눈에 아롱거리는 고향의 산천. 코끝에 감도는 고향의 흙냄새. 철없이 덤벙거리며 희희낙락 도랑에서 멱을 감고 가재를 잡던 기억이 야기하는 그리움. 마치 꿈속에 펼쳐지는 선경(仙境)처럼 고향의 풍정과 서정이 파랗게 살아나 남몰래 깊은 향수병을 앓았던 모양이다. 이건 원색적인 감정이라 억누르기 쉽지 않다. 결국 그는 고향으로 돌아갔다. 동심으로 기뻤던 유년의 마음으로 그림을 그리다가 풍진세상 가뿐히 떠나리라. 이런 생각으로 고향의 산골짝에 세운 게 임립미술관이다.
미술관의 눈, 푸른 호수
이 미술관의 모든 걸 둘러보는 데는 꽤 많은 시간이 걸린다. 자그마치 2만여 평이나 되는 부지 안에 갖가지 시설이 산재해서다. 전시 공간만 해도 가마 형상을 본떠 지은 본관과 특별전시관 A·B·C동 등 넉 동이나 된다. 야외 대공연장과 소공연장, 조각공원, 도예체험관, 세미나실, 학예실도 구비했으며, 편의 시설로는 게스트하우스와 카페가 있다. 부지의 크기도 어마어마하지만 시설물의 수효로도 단연 독보적인 사립미술관이다. 임립이 쏟아부은 땀의 총량이 아마도 드럼통으로 여럿일 테다. 흘린 땀이야 그렇다 치고 자금은? 산중의 임자 없는 청풍명월이야 공으로 거저 얻는 것이지만, 개인미술관의 건립과 운영이라는 게 워낙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처럼 난해한 사업이다. 우리가 사립미술관을 귀하게 봐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런데 임립은 꽤 잘나가는 화가다. 작품을 팔아 모은 자금을 미술관 건립에 썼다. 창작의 실력과 단단한 심지로 하고 싶었던 일을 기어이 해낸 셈이다.
코로나19의 해일은 미술관에도 들이닥쳐 불황이 만연했다. 아예 전시회를 열지 않거나, 미루거나 축소하는 미술관이 흔하다. 임립미술관은 여기에서 예외다. 전시장마다 기획전이나 상설전이 진행되고 있어 쌩쌩하다. 그래도 찾아드는 이가 드물어진 건 어쩔 수 없다. 산책과 소풍에 적격인 산경(山景)이 찬연하고, 다수의 미술전이 극진한 갈망으로 관람객들을 기다리지만 감염병의 횡포를 당할 재간이 없다.
미술관의 역할은 단지 그림을 보여주는 데에만 있지 않다. 미술과의 접촉을 유도해 삶의 흥미를 북돋우는 데에서 나아가, 누구나 화가일 수 있고 모든 것이 예술이라는 걸 일깨우기 위한 체험 프로그램의 가동 역시 미술관의 주요 책무다. ‘예술은 나의 신(神)’이라 주장하는 작가도 있더라. 그러나 희로애락으로 점철되는 일상의 고행과 눈물이 이미 예술이다. 그럼에도 예술 장르의 체험 기회가 없어 미술을 어렵다고만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임립미술관은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찾아가는 미술관 프로젝트’ 등 다수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올가을 18회째 펼쳐질 ‘공주국제미술제’(총감독 임립) 역시 임립미술관이 야심차게 끌고 온 대승적 미술운동의 일환이다.
임립미술관의 푸른 눈동자랄까, 공간의 중심부엔 멋진 호수가 있다. 호숫가를 한바탕 거닐자니 낭만적인 상념이 가슴에 고인다. 이래저래 임립미술관에선 하품 한 번 할 겨를이 없다.
< 2편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