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 분야에서 인력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50대 근로자 비중이 최근 10년 동안 2배가량 증가했다. 현재와 같은 급격한 고령화 추세가 이어질 경우 5년 뒤 국내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이 미국과 일본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최근 10년간(2010∼2020년) 제조업 근로자의 고령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50대 이상 제조업 근로자 비중은 2010년 15.7%에서 2020년 30.1%로 14.4%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30대는 7.3%포인트, 청년층(15∼29세)은 6.4%포인트, 40대는 0.8%포인트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제조업 근로자의 고령화 현상은 주요 제조업 강국과 비교하면 더욱 가팔랐다. 한국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2011년 39.2세에서 2020년 42.5세로 3.3세 올랐다. 같은 기간 일본은 41.6세에서 42.8세로 1.2세, 미국은 44.1세에서 44.4세로 0.3세 오르는 데 그쳤다.
최근 10년간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 증가율은 연평균 0.90%로 미국(0.08%)보다 11.3배, 일본(0.32%)보다 2.8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50대 이상 제조업 고령 인력 비중이 10년 새 2배로 높아진 것은 노령화가 심각하다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한경연은 제조업 고령화가 저출산에 따른 인구 고령화로부터 비롯된 점도 있지만 엄격한 노동 규제로 기존 정규직이 과보호돼 청·장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탓도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산업인력의 고령화로 노동생산성은 떨어지고, 기업의 인건비 부담은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 10년간 제조업 근로자의 연령대별 임금 추이를 보면 50대 이상의 임금 증가 속도가 청·장년층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010년 260만7000원에서 2020년 409만6000원으로 연평균 4.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청년층(15~29세)은 3.6%, 40대는 3.3%, 30대는 2.5% 늘어나 고령층보다 임금 증가 속도가 느렸다.
한경연은 “고령층의 임금이 청·장년층보다 빠르게 오르는 것은 생산성과 관계없이 근속·나이에 따라 임금이 상승하는 호봉급 체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고령화 현상의 가속화가 계속될 경우 2026년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44.9세로 미국(44.6세)과 일본(43.6세)을 넘어서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