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집에서 나온 쓰레기를 버릴 수 없다면, 집이 쓰레기로 가득 차는 데는 얼마의 시간이 걸릴까? 우리는 스스로 얼마나 많은 양의 폐기물을 만들고 있는지 자각하지 못한다. 22년차 ‘쓰레기 박사’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은 쓰레기 범람 시대, 인류의 미래는 바로 집 앞 쓰레기 분리수거장에 있다고 말한다. 지구는 일회용이 아니니까!
홍수열 소장은 20년 넘는 시간 동안 ‘쓰레기 길’만 걸어온 환경 전문가다. 대학교를 졸업할 즈음 읽은 ‘녹색 경제학’은 물 흐르듯 그를 환경에 눈뜨게 했다. “우리가 물질 소비를 많이 할수록 점점 폐기물은 늘어날 테고, 이것들이 다 배출되면 문제가 더 심각해지겠구나 생각했어요. 책장을 넘길 때마다 끔찍해지더라고요.” 이후 환경대학원에 진학해 석사 논문 주제를 폐기물로 정하며 본격적으로 이 길로 들어선 그는 졸업 이후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운동협의회’(현 자원순환사회연대)에서 11년간 활동가로 일했고, 2014년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를 세웠다.
쓰레기, 무엇이 문제일까?
과거에는 위생 관념이 없었던 탓에 가정에서 나오는 오물을 국가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구축돼 있지 않았다. 중세 유럽에서는 똥오줌을 다음 날 아침 길거리에 버리는 것이 일상이었고, 구한말 조선을 방문한 선교사는 조선만큼 더러운 곳은 처음 봤다고 말할 정도였다. 하지만 현대로 올수록 단순히 치우는 것만으로는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게 됐고, 우리 사회는 이를 자원으로 재탄생시키는 ‘자원 순환’ 작업을 하고 있다.
2016년 기준 대한민국의 쓰레기 재활용률은 59%로 전 세계에서 2위를 기록했다. 쓰레기 배출량도 1인당 380kg 수준으로 미국의 절반에 불과하다. ‘다른 나라보다 재활용품 분리배출도 잘하고 있고 배출량도 적다는데, 뭐가 문제지?’라는 의문이 들 수 있다. 분리배출이 정착되면서 ‘분리배출을 꼭 해야 한다’는 인식은 이미 우리의 머릿속에 자리 잡은 지 오래지만, 어떻게 버릴 것인가에 관한 논제는 정부가 쓰레기 분리수거를 민간에 위탁하기 시작하면서 관심 밖으로 멀어졌다.
“우리는 ‘재사용’과 ‘재활용’을 혼동하고 있어요. 재사용은 재활용보다 훨씬 환경친화적입니다. 오늘날 쓰레기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는 이유는 재사용 문화가 일회용 문화로 바뀌었기 때문이에요. 재사용할 수 있는 유리병이 대부분 일회용 컵이나 페트병, 캔으로 대체됐죠. 재활용은 쓰레기가 버려지는 시간을 잠시 늦춰주는 것일 뿐 폐기물의 양을 줄여주지는 않습니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이 ‘재활용되니까 괜찮아’라면서 일회용품 사용에 면죄부를 준다고 생각해요.”
국가, 기업, 개인의 3인 4각
우선 소비자들은 쓰레기의 양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현재의 환경 문제는 인간의 과도한 생산과 소비로 인해 생겨났기 때문이다. 계속 공기를 불어 넣으면 풍선은 터질 수밖에 없듯 우리는 지구가 버틸 수 있는 한계 내에서 욕망과 소비를 통제해야 한다. “사실 친환경 소재로 만들어진 물건이라고 해서 꼭 필요하지 않은데도 소비하는 건 의미가 없죠. 소비량을 줄이는 게 우선입니다. 분리배출은 그다음 과제예요. 다 쓴 물건을 분리하고 이물질을 제거해서 배출하는 행동은 소비자만이 할 수 있어요. 더불어 주요 품목의 배출 방법을 알아두면 좋죠. 우유팩의 경우가 대표적인데, 소비자들이 열심히 분리배출을 하지만, 일반 폐지와 혼합 수거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 재활용률이 20% 정도밖에 안 돼요. 우리는 살면서 필연적으로 쓰레기를 만드는 존재지만, 노력에 따라 얼마든지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만 잘한다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핵심은 국가의 경제 시스템과 기업 생산 체제의 개선이다. 기업은 생산 단계에서 포장재를 줄여 재활용이 잘 되는 물건을 만들고, 나라는 분리배출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품목별 특성에 맞는 수거 시스템 마련에 힘써야 한다는 설명이다. 최근 서울시에서는 배달 음식 애플리케이션 요기요와 함께 고객들이 음식을 주문하고 식사를 마친 후 다회용기를 문 앞에 두면, 전문업체가 이를 수거해 세척과 소독 과정을 거쳐 음식점에 재공급하는 시범 사업을 진행했다. “체계가 잡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 ‘너 왜 텀블러 안 들고 다녀?’나 ‘분리배출 방법이 물건 종류마다 다른 걸 왜 모르니?’라며 과도하게 질책하면 안 돼요. 개인이 실천할 수 있게 기반을 닦아줘야죠.”
쓰레기 문제는 단박에 해결될 사안이 아니다. 홍 소장은 “생산자는 깔끔하게 분리배출하지 않는 소비자를, 소비자는 애써 내놓은 재활용 쓰레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는 재활용 업체를, 재활용 업체는 재활용이 용이한 재질로 만들어내지 않은 생산자를 탓할 게 아니라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각자의 자리에서 제 역할을 다한다면, 언젠가는 지구에서 쓰레기가 사라지는 날이 오겠죠. 주변을 둘러보세요. 익숙한 그 장소가 곧 쓰레기를 줄일 무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