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노인 혐오’라는 단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20대부터 80대까지, 20년 넘게 이어온 노인복지 학습 모임 ‘어르신사랑연구모임’(어사연, cafe.daum.net/gerontology) 회원들이 들려준 ‘노인 혐오’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봤다.
김종현(63세)
‘혐오’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니 ‘싫어하고 미워함’이더라. 겉모습 때문에 싫어할 수는 있더라도, 왜 미워하는가? 어쩌면 노인 혐오는 인간적 미움보다는 정치·사회적 이슈와 대 립에 대한 상징적 표현일 테다. 당사자인 노인이 억울하다면 이를 사회적으로공론화해 함께 해결할 필요가 있다.
김OO(48세)
노인 혐오로 대표되는 하나가 ‘태극기부대’가 아닐까 싶다. 노년층이 보수, 극우 세력으로 대표되고, 정치적으로 생각이 나뉘면서 청년층의 반감을 불러왔다.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 그런 분위기가 조성됐지만, 단기간에 초고령사회를 맞이하며 노인에 대한 충분한 사회적 논의 없이 흘러왔다. 그러면서 노인을 타자화하고, 혐오의 대상으로 보게 된 것 아닐까.
유정일(80세)
저마다 열심히 자기 삶을 일궈온 이들인데, 왜 그런 노인을 세상은 혐오하는가? 다름은 인정해도 그 다름이 혐오의 대상이 된다는 건 인정하고 싶지 않다. 그런 점에서 나 역시 상대방을 존중하고 다름을 인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노인 혐오라는 단어에서 과거 고려장이 떠오르기도 했다. 어쨌든 나이 듦은 피할 수 없는 건데, 억울한 면이 있다.
이상숙(79세)
‘노인 혐오’라는 말을 처음 접했을 때 충격적이었다. 아, 내가 혐오의 대상이 됐구나! 나를 잘 아는 사람이 혐오한다면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한데 나를 모르는 이가 표면적으로 보고 그런 것이니 상처받지는 않겠지만, 전라도 사투리로 기분이 영 거시기하다. 그래도 혐오와 멀어지기 위해 깔끔한 옷을 입고, 공중도덕을 잘 지키고, 너그러운 어른이 되고자 노력 중이다.
박은지(55세)
‘노인 혐오’와 관련해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틀딱충, 할매미, 연금충 등 극단적인 단어들이 쓰이더라. 나이 들고 병든 것도 서러운 노인인데, 이런 말을 사회적으로 부각하는 상황이 반갑지 않다. 그보다는 故 송해 선생님이나 윤여정, 나문희 배우처럼 멋지게 나이 드는 노년의 상징 같은 분들을 노출함으로써 긍정적인 노인의 이미지를 환기했으면 한다.
박OO(59세)
‘태극기집회’ 등으로 인해 다른 세대가 노인을 볼썽사나워하는 건 사실이지만 아직 혐오의 단계는 아니라고 본다. ‘혐오’는 사회적인 단어다. 여성·동성 혐오 등 ‘혐오’라는 말이 붙으면 감정적인 것을 넘어 취약·소수 집단에 대한 공격적 의미가 더해진다. 미디어 역시 노인의 부정적인 면을 부각하며 한 사람의 문제를 집단의 문제로 과장해 보도하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