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거주 공간에 대한 고민은 초고령사회를 앞둔 우리 사회의 뜨거운 감자 중 하나다. 이미 주요 건설사들이 중장년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실버타운 건립을 속속 발표하고 있고, 정부는 19일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 방안’을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렇게 시니어 거주 공간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 거주 방식 중 하나인 ‘코하우징’을 유럽 현지에서 조사한 이화여자대학교 학생들의 보고서가 나와 관심을 받고 있다.
이화여대 학생 김다혜, 박지윤, 이경주, 정혜리 4인으로 구성된 연구팀 ‘E-음’은 교내 국내외 학업 연구 탐사 프로그램인 RSSR 프로그램을 통해 6월 24일부터 약 10일간의 일정으로 덴마크 코펜하겐과 오덴세, 스웨덴 스톡홀름 등 유럽 주요 도시를 돌며, 유럽 내 시니어 주거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는 ‘코하우징’ 시설들을 조사했다. 이들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17일 ‘국내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새로운 주거 형태: 북유럽 시니어 코하우징을 중심으로’ 제하의 보고서를 공개했다.
시니어 코하우징은 한 가구마다 개별 주택이 있고 별도의 공동시설이 갖추어진 주거 형태로, 쉐어하우스나 실버타운과는 구별된다. 각각 개별 주택으로 사생활은 보호하지만, 공유되는 공용 공간을 가능한 한 늘려 주거 비용을 줄이고, 거주민 간 소통과 연계를 촉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고령자들만 거주하는 세대 분리형도 있지만, 다양한 세대가 함께 사는 세대 통합형도 존재한다.
이들이 만난 덴마크와 스웨덴 현지 시설 관계자들은 코하우징 정착의 비결 중 하나로 예산 절감 효과를 꼽았다. 자원을 공유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노령 인구에 대한 지출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 코하우징 내부에서 형성된 커뮤니티가 서로를 돌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돌봄과 관련한 사회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도 강점으로 보았다.
거주자들은 사회적 고립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웃들과의 협력으로 안전하게 지낼 수 있는 것을 장점으로 꼽았다. 또 카풀이나 카쉐어링 같은 공유 문화가 활발하게 형성되고, 시설에 따라 세대 간 교류가 가능한 것도 코하우징이 주는 혜택이라고 설명했다.
E-음 연구팀은 보고서를 통해 “현재 세대 분리형 실버타운이라는 매우 획일적인 주거 형태는 노인의 지속적인 거주를 보장하지 못하고 노인 세대를 사회와 격리하는 것 같은 인상을 남긴다”고 지적하고, “노인 복지 주택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 만큼, 다양한 장점을 지닌 코하우징의 적극적인 도입을 검토해볼 만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한국 사회의 자가 소유 욕구라는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려는 노력도 동반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사에 참여한 이경주 양은 “현장에서 느낀 실버타운과 코하우징의 가장 큰 차이는 ‘거주자들의 주체성’임을 알게 됐다”며 “거주자들이 주거 공간을 위해 주체적으로 활동하는 것이 코하우징의 장점”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