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객과 자연관찰ㆍ감성까지 일깨워 전문교육 이수자 도내 300여명 활동
▲12년차 숲해설가 김의식 한국숲해설가협회 고문이 오산 물향기 수목원에서 나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경기일보)
숲해설은 1920년 미국 요세미티국립공원에서 방문객 대상으로 자연해설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시작됐다.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IMF 이후 일자리 창출방안 일환으로 국민대 사회교육원 자연환경안내자 과정으로 숲해설가 교육이 시작돼 여기서 교육받은 이수자들이 2000년 4월 사단법인 숲해설가협회를 세우면서 본격화 됐다.
협회는 산림청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이후 매해 숲해설가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전국에 여러 산림청 인증교육기관이 있어 현재까지 4500여명이 교육을 이수하고 경기지역에서만 300명 안팎이 활동하고 있다.
숲해설가는 숲에서 나무나 풀의 이름을 알려주는 데 그치지 않고 숲을 찾은 사람들과 함께 자연현상을 관찰하고 체험하면서 감성을 일깨우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의 숲해설가들은 주로 수목원이나 지자체에 소속돼 활동하며 단순한 숲 안내인의 위치에서 벗어나 유아교육, 일반시민들을 위한 힐링부문 등으로 역할이 점차 넓어지고 있다.
경기일보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관련 뉴스
-
- [챗GPT 브리핑] 서울시, 50대 황혼이혼 급증…고령자가구 30%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챗GPT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서울시, 50대 황혼이혼 급증…고령자가구 30% 서울시는 지난해 1인가구가 전체의 39.9%에 달하며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 잡았다고 15일 밝혔다. 고령자가구도 전체의 30.2%로 꾸준히 증가해 초고령사회 진입 흐름이 뚜렷하다. 혼인은 코로나19 이후 회복세지만, 평균 이혼 연령은 50대로 높아지고 60세 이상 황혼이혼은 25%를 넘어섰다. ◆한국, APEC 보건·경제
-
- [카드뉴스] 소득세 돌려받는 배달·프리랜서 환급 방법 정리
- 국세청이 배달 라이더, 대리운전기사, 학원 강사 등 영세 인적용역 종사자들의 세금 환급 절차를 대폭 간소화한다. 종전에는 환급 사실을 몰라 수령하지 못하거나 민간 서비스에 수수료를 내고 환급받는 사례가 많았지만, 앞으로는 국세청이 직접 안내하고 신청을 도와 수수료 없이 환급이 가능해진다. 환급 규모는 약 1985억 원, 대상자는 총 147만 명에 달한다. 이번 환급은 추석 전 지급이 목표로 안내문을 받은 납세자는 모바일·ARS·홈택스를 통해 간단히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카드뉴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중장년의 슬기로운 삶을 위한 죽음 교육
- 사단법인 미래포럼과 우디클럽이 진행하는 좋은 어른 아카데미의 3회차 행사가 16일 오후 3시 진행된다. 50+세대를 위한 시민교육 프로그램으로 기획된 이 행사는 기억·독서, 초고령사회 디자인, 죽음 준비, 명상·자기돌봄, 자화상 성찰, 생애 재설계 등 삶의 전환기에 필요한 주제를 6차에 걸쳐 다룬다. 7월부터 12월까지 매달 셋째 주 화요일 오후 3, 서울 마포구 한국여성재단 2층 ‘W나누리’에서 진행된다. 이번 강의는 김현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슬기로운 삶을 위한 죽음 공부’라는 주제로 진행한다. 이후 10월 21일 4
-
- 아시아 4개국 시니어 웰니스 최신 동향 한자리서
- 써드에이지(대표 이보람)는 11월 20~21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일대에서 ‘제1회 글로벌 시니어 웰니스 컨퍼런스’를 연다. ‘아시아(한국·일본·중국·싱가포르) 4개국 시니어 웰니스 동향과 미래 전망’가 부제인 이번 행사는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혁신도시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뮤지엄산, 오크밸리 등지에서 진행된다. 행사는 민커뮤니케이션즈가 주관한다. 개막일 첫 번째 기조강연은 이윤환 한국노년학회 회장(아주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주임교수)이 맡아 ‘미래 시니어를 위한 건강장수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이후 세션에서는 △에스더 탄(싱가
-
- 추석 전 ‘벌초 시즌’…예초기 10명 중 1명 사고
- 추석을 앞두고 벌초 등으로 예초기 사용이 늘면서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행정안전부는 “예초기는 경운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농업기계로, 전체 농업인의 10.1%가 관련 사고를 경험한다”라며 15일 안전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농촌진흥청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조사’에 따르면 예초기 사고 유형은 사용 중 베이거나 찔림이 46.7%로 가장 많았고, 날아오거나 떨어지는 물체에 맞음 20.0%, 작업 중 넘어짐·추락이 13.3%를 차지했다. 부상 부위는 팔과 다리가 각각 26.7%로 가장 많았으며, 몸통(20.0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