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달(前 외교부 기획실장)씨 별세, 유달한씨 남편상, 이동춘(파이시티 회장)ㆍ동인ㆍ동민(연합뉴스 영문경제뉴스부장)씨 부친상, 최유곤ㆍ윤동영(연합뉴스 국제국장)씨 장인상, 이상환(아시아나항공 대리)ㆍ이명혜(삼성에버랜드 과장)씨 조부상=22일 오전 삼성서울병원, 발인 25일 오전, 02-3410-6919
관련 기사
-
- [챗GPT 브리핑] 저출생·고령화로 인구주택총조사 변화 外
- 매일 아침, 챗GPT가 수많은 정보 속에서 엄선한 시니어 주요 뉴스를 편집국 기자가 검수·요약해 전해드립니다. 정책, 복지, 건강, 기술 등 핵심 이슈만 모았습니다. 2025년 7월 4일 주요 뉴스 ◆2025 인구주택총조사, 가족돌봄·비혼동거 등 새 항목 포함 통계청이 오는 10월 22일부터 500만 가구를 대상으로 인구주택총조사를 실시한다. 저출생·고령화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해 가족돌봄 시간, 결혼 의향, 가구 형태 등 7개 항목이 새로 포함돼 총 55개 문항이 조사된다. 특히 고령층 돌봄 실태는 향후 복지정책 수립의 핵심 자료
-
- “혼자 준비하지 마세요” 노후준비지원센터
- “노후는 개인, 혼자의 몫이 아닙니다.” 2024년부터 전국 모든 지자체에 설치·운영이 의무화된 노후준비지원센터(이하 노후지원센터)는 고령화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돌봄 패러다임을 반영한 결과다. 급증하는 독거노인, 약화된 가족 돌봄, 끊어지는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노인의 삶은 점점 더 외롭고 취약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노후지원센터는 국가와 지역사회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공 노후 돌봄 플랫폼’으로 떠오르고 있다. 사회적 돌봄의 필요성, 제도 의무화로 이어져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한국은 향후 10년 이내에 85세 이상 고령자
-
- [카드뉴스] '국민연금 인상' 7월 달라지는 주요 정책
- 매년 1월과 7월은 정책 시행의 분기점으로 법령 개정이나 행정지침이 본격 적용되는 시기다. 특히 올해 7월은 고령층, 한 부모 가정 등 다양한 계층을 아우르는 실질적 변화가 예고되어 있어 주목된다. 7월부터 달라지는 제도들은 국민 개개인의 일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이를 미리 알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7월부터 달라지는 몇 가지 정책을 카드뉴스로 정리해 봤다.
-
- [챗GPT 브리핑] 100년 뒤 한국 인구 85% 급감 外
- 매일 아침, 챗GPT가 수많은 정보 속에서 엄선한 시니어 주요 뉴스를 편집국 기자가 검수·요약해 전해드립니다. 정책, 복지, 건강, 기술 등 핵심 이슈만 모았습니다. 2025년 7월 3일 주요 뉴스 ◆100년 뒤 인구 753만 명…대한민국, 소멸 경고등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5000만 명이 넘는 우리나라 인구가 100년 뒤 753만 명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고령화도 심각해져 2100년에는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이 140명의 노인을 부양해야 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출산 지원 확대, 정년 연장, 이민
-
- 오세훈 시장 데이케어센터 90개 확대 발표
- 오세훈 서울시장이 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통합형 노인요양시설 ‘카리타스 생트 막달레나(Caritas Pflegewohnhaus St. Magdalena)’를 방문해 둘러본 후, 서울의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요양 돌봄시설 확충 전략을 3일 발표했다. 이는 서울시가 추진 중인 ‘9988 서울 프로젝트’와 연계한 행보로, 해외 선진 사례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정책 고도화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현지시간으로 2일 오전 9시 30분, 오 시장은 ‘카리타스 생트 막달레나’를 찾아 시설 전반을 둘러보고 관계자들과 환담을 나눴다. 이 시설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