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사업단 소속 세무사, IRP 전문가와 상담 가능
‘뉴시니어’세대를 겨냥해 점심시간에 열린 퇴직연금 세미나가 눈길을 끌고 있다.
하나은행은 4일 서울 중구 을지로 본점에서 퇴직연금 손님 200여 명을 초청해 ‘퇴직연금 자산관리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급변하는 금융환경 속 은퇴를 앞둔 5060세대 뉴시니어 손님들의 안정적인 자산관리를 지원하고자 마련했다. 세미나는 △포트폴리오 기반 연금자산 운용 전략 △연금계좌 활용 절세 방안 △전문 대면 상담 채널 ‘연금 더드림 라운지’ 소개 △전문가와의 1대 1 개별상담 등 실질적인 맞춤형 연금 자산관리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특히, 이날 세미나는 점심시간을 활용한 ‘런치 세미나’ 콘셉트로 손님들이 바쁜 일정에도 부담 없이 참석할 수 있도록 진행했다. 세미나 직후 참석자들에게 연금사업단 소속 세무사 및 IRP 전문가와의 1대1 상담을 제공했다.
하나은행 연금사업단 관계자는 “퇴직연금에 대한 손님들의 관심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만큼,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이번 세미나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세미나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통해 손님들의 연금자산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 뉴스
-
- 하나은행, ‘퇴직연금 ETF’ 판매잔고 2조 돌파
-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ETF)’의 판매 잔고가 2조 원을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하나은행은 2021년 11월 은행권 최초로 퇴직연금 ETF를 출시했다. 판매 잔고 2조 원 돌파는 작년 11월에 1조 원을 돌파한 데 이어 8개월 만에 거둔 성과다. 퇴직연금 ETF는 가입자가 본인의 적립금을 상장지수펀드에 투자해 주식, 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자산의 장기 수익률을 개선하고 안정적으로 운용하고자 엄격한 기준으로 투자상품을 선정하고 있다. 작년 4분기 이후 50여 종의
-
- 주택연금, 주금공 vs 국민·신한·하나은행 상품 비교
-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오랫동안 주요 자산으로 여겨졌던 집이 이제는 노후 소득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바뀌고 있다. 그만큼 주택연금제도에 대한 관심 역시 늘고 있다. 23일 한국은행이 최근에 발표한 ‘BOK 이슈노트-주택연금과 민간 역모기지 활성화를 통한 소비 확대 및 노인빈곤 완화 방안’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국내 역모기지 시장에서 주택금융공사(주금공)가 제공하는 주택연금이 전체의 99.9%를 차지했다. 민간 금융기관의 역모기지 상품도 존재하지만, 시장 점유율은 1%에도 미치지 못할 만큼 미미하다. 현재 민간 주택연금 상
-
- KB국민·하나은행, 시니어 고객 공략 강화
-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시니어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영업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은퇴, 상속, 요양 등 시니어 토탈 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KB골든라이프센터’를 서울·수도권 4개 센터에서 전국 12개 센터로 확대했다고 23일 밝혔다. KB골든라이프센터는 △은퇴 준비 및 노후 설계 △상속 및 증여 컨설팅 △요양 및 돌봄 상담 △헬스케어 서비스 등 시니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상담센터다. KB골든라이프센터는 시니어 고객의 다양한 수요에 맞춰 더욱 체계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에 신설되는 KB골든
-
- [Trend&Bravo] 은퇴 상실감 그만, 생각보다 괜찮은 이유 Top3
- 은퇴는 일에서 물러나는 순간이지만, 동시에 새로운 방식으로 삶을 구성할 수 있는 시작점이다. 직장 중심의 생활에서 벗어나면서 시간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고, 건강을 돌보거나 미뤄둔 일에 집중할 여유도 생긴다. 하지만 하루의 역할이 사라지고 사람들을 만날 일이 줄어들면 공백감, 상실감, 우울감이 찾아오는 경우도 많다. 무엇을 해야 할지 막막해지거나 ‘나는 더 이상 필요한 사람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처럼 심리적인 변화는 은퇴 후 가장 먼저 마주하는 현실적인 고민 중 하나다. 이럴 때 시선을 바꿀 수 있는 지점이 바로
-
- “개인별 맞춤 ‘부티크형 검진’으로 건강 격차 줄이죠”
- 대부분의 사람에게 건강검진은 여전히 ‘수동적인 연례행사’에 가깝다. 은퇴 전엔 회사가 지정한 검진센터로, 은퇴 후엔 자녀의 권유로 병원을 찾지만 정작 어떤 검사가 필요한지 모른 채 ‘정해진 대로’ 움직인다. 광동병원은 이런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개인의 건강 이력과 위험 요인을 분석해 최적의 검진 항목을 제안하는 맞춤형 시스템을 구축했다. 건강검진 분야에서 20년 넘게 경력을 쌓아온 조상헌 병원장과 박민정 대표원장 겸 글로벌검진센터장은 “노후를 좌우하는 것은 ‘부(富)의 격차’보다 ‘건강의 격차’”라고 강조한다. “사람마다 ‘건강의 격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