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정부에 공청회·시민투표 법제화 요구… “시민 동의 통해 개혁 추진 되야”
대한은퇴자협회(KARP)가 15일 ‘시민 없는 연금정치’를 중단하고 국민 참여를 제도화하라며 성명서를 발표했다. 협회는 국회 국민연금개혁특별위원회 민간자문위원회 구성이 정치적 유불리와 자리다툼으로 흐르고 있다며, 개혁 전 과정에서 공청회·시민투표·실시간 정보공개 등 실질적 참여 절차를 법제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OECD·국제노동기구(ILO)가 제시해온 재정 안정과 국민 참여 원칙을 한국의 개혁 설계에 반영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지난 8월 21일 연금특위가 넉 달 만에 논의를 재개했지만, 자문위 명단 확정 대신 ‘위원장·간사 주도 구성’만 의결하는 데 그쳤다며, 국정감사 등 일정상 연내 본격 논의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주명룡 대한은퇴자협회 대표는 “연금은 특정 정당의 전리품이 아니라 세대 전체가 지켜야 할 국가 공동의 사회계약”이라며 “전문가를 볼모로 한 정쟁을 멈추고 시민의 동의 위에서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명에는 세 가지 요구가 담겼다. △개혁 전 과정의 정보공개와 공청회·시민투표 등 실질적 참여 절차 마련 △여야의 선거용 접근 중단 및 장기 재정 안정 계획 우선 협의 △현세대와 미래세대의 부담을 공정하게 나누는 보험료·급여 구조 확립이다. 협회는 아울러 “세계적 수준의 재정·연금 전문가들이 여야의 이해득실 계산 속에서 자문위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도 표했다.
대한은퇴자협회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 특별자문 지위를 가진 NGO로 1996년 미국 뉴욕에서 설립된 뒤 25년째 한국에서 활동 중이다. 협회는 “연금개혁은 정당의 승부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사회적 약속”이라며 국회와 정부의 신속한 제도 설계를 거듭 요구했다.
관련 뉴스
-
- 고령자 복지, ‘단순 처방’에서 ‘노후 진단’으로 진화
-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서비스가 달라지고 있다. 이전까지의 사회복지는 주민의 자격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순 처방’에 머물렀던 것이 사실이다. 각 주민이 현재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앞으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개별화된 지원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최근 서비스를 시작한 강남종합사회복지관이 ‘스마트 노후종합지원센터’로 지역 내 고령자들의 노후 자립을 지원하며 주목받고 있다. 리모델링 이후 지난 6월 본격 운영에 들어간 이 센터는 불과 몇 달 만에 200건이 넘는 개인별 노후 진단을 실시하며, 맞
-
- AI, 고령층 ‘마음 친구’ 될까? “우울감 해소 가능성 주목”
- 인공지능(AI)이 이제 단순한 기술을 넘어 고령층의 정서적 동반자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효돌이’, ‘초롱이’ 등 AI 기술을 활용한 말벗형 돌봄 로봇이 고령층의 우울감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고 있다. 일본에서도 비슷한 조사 결과가 발표돼 눈길을 끈다. 일본의 시니어 리서치 플랫폼 ‘하지쿠토(HajiQto)’는 지난 22일, 50대 이상 644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생성형 AI·AI 아바타 이용 의향과 잠재적 요구’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AI 아바타와의 대화가 외로움과 우울감을 줄이는 데
-
- 생활연구소·대한암협회, 암 환자 가사 돌봄 공익사업 추진
- 라이프케어 플랫폼 ‘청연’을 운영하는 (주)생활연구소가 사단법인 대한암협회와 손잡고 암 환자를 위한 가사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양 기관은 22일 ‘암 환자 가사 돌봄 공익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치료 과정에서 일상생활이 어려운 환자들을 위한 실질적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대한암협회의 암 환자 위기가정 돌봄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대한암협회는 수술이나 항암치료 등으로 가사 지원이 필요한 환자를 선정·지원하고, 생활연구소는 자사 서비스인 ‘청소연구소’의 포인트를 지급해 환자들이 실질적인 가사 돌봄을 받을
-
- 당뇨약 오젬픽, 비만 치료 넘어 ‘회춘 효과’ 가능성 제기
- 비만 치료제로 더 알려진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Ozempic·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이 체중 감량을 넘어 노화를 늦출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살 빠지는 당뇨약’으로 불리던 오젬픽이 이번엔 ‘젊어지는 약’으로 주목받는 셈. 미국의 생명과학 연구기관 트루다이애그노스틱(TruDiagnostic)은 21일 사람의 DNA 변화를 분석해 나이를 측정하는 ‘에피제네틱 시계’ 기술을 이용해 오젬픽의 노화 지연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자 50명을 대상으로 32주 동안 진행됐다. 연구에 따
-
-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제6회 대한민국 선배시민대회’ 개최
-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회장 박노숙)는 21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제6회 대한민국 선배시민대회 우수사례 및 활동성과 공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전진숙 국회의원과 공동 주최로 열렸으며, 전국 16개 지역에서 활동 중인 노인자원봉사자 3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행사에는 우원식 국회의장,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등이 축하 영상을 통해 선배시민들의 헌신에 감사를 전했다. 현장에는 은성호 보건복지부 인구·사회서비스정책실장과 박세훈 K-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