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는 온 가족이 함께 모여 웃음과 시간을 나누는 특별한 순간이다. 그러나 부모와 조부모에게는 긴 연휴 동안 아이들과 어떤 추억을 쌓을지 고민이 되곤 한다. 올해 극장가는 이런 고민을 덜어줄 다채로운 작품들이 준비되어 있다. 추석 연휴에 보기 좋은 추천 영화 5선을 카드뉴스로 정리해 봤다.
온 가족이 함께 볼 영화
한승희 기자의 주요 뉴스
관련 뉴스
-
- [카드뉴스] 시니어 교통비 절세 꿀팁, K-패스·기후동행·정액패스 비교
- 교통비는 매달 빠져나가는 생활비 중에서도 가장 크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하루 두세 번만 버스나 지하철을 타도 한 달이면 생각보다 많은 돈이 든다. 물가까지 오르다 보니 교통비를 아끼는 일은 곧 가계 살림을 지키는 일과 다름없다. 이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여러 가지 교통카드를 내놓고 있다. 쓴 만큼 돌려받는 K-패스, 서울에서만 쓸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 그리고 2026년부터 전국에서 시행될 정액패스까지 종류도 다양하다. 각각의 혜택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내 생활에 맞는 카드를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카드뉴
-
- ‘시니어 트렌드 2026’ 출간… ‘넥스트 에이징’ 로드맵 제시
- 시대고시기획(시대교육)이 10월 15일 ‘시니어 트렌드 2026’을 발간한다. 최학희 시니어 비즈니스 컨설턴트가 집필한 이 책은 한국이 2024년 12월 초고령사회에 공식 진입한 이후 가속되는 인구구조 전환을 배경으로, AI 시대 ‘넥스트 에이징’ 전략을 체계화했다. 전반부는 베이비붐 세대를 ‘리셋 제너레이션’으로 규정하고 은퇴 리스크 구간 관리, 현금흐름·다층소득 설계, 자산의 전략적 소비 등 생활 재설계를 다룬다. 중반부는 ‘체화영 인공지능(Physical AI)’를 축으로 돌봄 로봇·스마트홈·웨어러블·AI 튜터 등 고령친화
-
- [2025 고령자 통계] 12년 뒤 가장 많은 비중 차지할 연령대는?
- 통계청, ‘노인의 날’ 앞서 고령자 통계 발표 “65~74세 621만6000명, 75세 이상보다 약 200만명 많아” “2038년부터 75세 이상 인구가 더 많아질 전망” 초고령사회가 가속하면서 65세 이상 인구 중에서 7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보인다. 2038년에는 75세 이상 비중이 64~74세를 역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5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전체 인구대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3%로 집계됐다. 65세 이상 구간에서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65~69세 7.
-
- [2025 고령자 통계] 65세가 노인이라고?…실제 느끼는 노인 나이는?
- 통계청, ‘노인의 날’ 앞서 고령자 통계 발표 연령별 노인 인식 나이 비슷…65세 이상 ‘71.6세’, 90세 이상 ‘72.5세’ 65세 이상 10명 중 8명 무의미한 연명의료 반대 65세 이상 고령자가 인식하는 노인의 나이는 71.6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79.1%가 주관적인 노인 나이를 71.6세(남자 71.7세, 여자 71.6세)로 생각했다. 연령별로 생각하는 주관적인 노인의 나이를 보면 △65~69세 71.3% △70~74세 71.8
-
- “아들아, 아빠도 할 말이 있다” 중장년 세대의 자녀 소통법
- 나이가 들수록 별 게 다 서운하다. 아들은 과묵한 편이라 집에서 거의 말을 하지 않는다. 말을 걸어도 ‘예’ 또는 ‘아니요’로만 대답한다. 하긴 나도 그 나이 땐 그랬지 하면서 이해했다. 그러다 아들이 결혼했다. 며느리와 함께 집에 들를 때마다 전혀 다른 아들의 모습을 본다. 자기 아내와는 어찌 그리 말을 잘하는지, 부모 앞에서 인상만 쓰던 애가 웃음은 또 얼마나 헤픈지, 배신감마저 들 정도다. 말 나온 김에 오래전 이야기 하나 더 해야겠다. 말수가 적은 아들이 엄마와는 제법 말을 잘한다. 부탁할 일이 있거나 속내 털어놓을 일이 있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카드뉴스] 시니어 교통비 절세 꿀팁, K-패스·기후동행·정액패스 비교](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31670.jpg)

![[2025 고령자 통계] 12년 뒤 가장 많은 비중 차지할 연령대는?](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33340.jpg)
![[2025 고령자 통계] 65세가 노인이라고?…실제 느끼는 노인 나이는?](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3334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