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대전에서 홍성으로 내려가는 길에 봄비가 제법 많이 내리기 시작했다. 약 1시간 20분 정도 차를 몰고 가다 보니 도로변에 '충남도 무형문화재 제31호 댕댕이장 보유자'라는 표지판이 보인다. 홍성군 광천읍 신진리 246-2번지. 바로 댕댕이장 보유자인 백길자(66)씨가 살고 있는 집이다.
"글쎄… 열 세 살 때부턴가… 그때부터 지금까지 계속 해오니까 이렇게 문화재도 되고 그런거지 뭐, 특별한 재주가 있거나 그런 건 아니에요(웃음)."
처음 만난 순간부터 백씨의 얼굴에는 수줍은 웃음이 떠나지 않는, 시골 동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꾸밈 없는 모습 그대로였다. 잠들어 있는 손자가 깰지도 모른다며 기자를 작은 작업실로 데리고 가는 모습도 영락없이 인자한 할머니의 모습이다.
"충남 당진이 고향인데 1948년에 7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어요. 당시 집에는 이모, 사촌 등 16명인가 18명이 들락날락하는 대식구여서 항상 많은 사람들과 부대끼며 살았죠. 그래도 가난하지만 화목했어요. 전 위로 오빠가 셋이라 맏딸 노릇을 했는데 낮에는 밭 매고 밤에는 모시 삼아 짜고 철마다 바느질해서 옷 만들고 했죠."
백씨가 댕댕이와 인연을 맺은 것은 북창국민학교를 다닐 때부터였다. 당시 그가 살던 마을 뒷산에는 댕댕이풀이 많이 자라고 있었는데 당시 마을어른들은 농사를 지으면서 댕댕이덩굴을 채취해 생활용구를 만들어 자급자족했던 것이다. 손재주가 좋았던 백씨의 아버지도 취미 삼아 댕댕이덩굴과 인동덩굴로 바구니를 만들었는데 백씨는 아버지의 모습을 보고 아버지가 짜다 남겨둔 댕댕이바구니를 엮어 올라가며 곧잘 따라 하곤 했다. 그후 국민학교를 졸업한 후 아버지를 도와 댕댕이덩굴과 인동덩굴을 끊어서 삶고 눈을 따서 각종 공예품을 만드는 기술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된다.
"당시 식구들이 열 명이 넘으니 집은 찢어지게 가난했죠. 40원짜리 플라스틱 바구니조차 사서 쓸 엄두가 나질 않았으니까. 그래서 뒷산에 널려 있는 댕댕이덩굴을 잘라다가 바구니를 만들었죠. 그런데 웃긴 건 제대로 배우지 못해 결혼 전까지 바구니의 바닥부터 몸통까지는 짤 수 있었는데 마무리를 익히지 못했던 거예요. 그래서 나중에 시집 간 뒤 친정에 와 아버지에게 마무리 하는 방법을 배운 후 그때부터 혼자 댕댕이덩굴로 바구니를 만들기 시작했죠."
백씨는 1973년 당시로는 조금 늦은 27살의 나이에 홍성군 우체국에서 집배원을 하던 김성환씨와 선을 봐 결혼을 하게 된다. 재미있는 것은 두번 만나고 결혼을 했는데 처음 만난 날 약혼을 하고 두번 만난 날 결혼을 하게 됐던 것이다.
"지금 생각해도 참 말이 안 되지. 두번 만나서 결혼을 하다니 말이야. 그래도 남편이 둘째였기 때문에 시집살이 하지 않고 단둘이 사니까 오붓하니 좋더라고(웃음). 결혼 후 이곳 광천으로 왔는데 광천에도 지천에 댕댕이덩굴이 자라고 있어서 심심풀이로 바구니를 짜기 시작했죠. 댕댕이덩굴로 바구니를 만들려 해도 농사일 하다 보면 1년에 한, 두 개 만들기도 쉽지 않아요. 그래서 시간이 날 때마다 하니까 질리지가 않더라고."
백씨가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1호 댕댕이장의 기능보유자로 인정된 것은 당시 홍성의 한 동네에 살던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호 지승제조장 최영준 보유자에게 지승공예를 배우면서 인연을 맺었기 때문이다. 백씨가 지승을 배우고 있을 때 최씨가 방송사나 신문사에서 취재를 나오면 항상 댕댕이장에 대해 소개해 주었던 것이다.
"최영준 선생님이 나를 많이 챙겨줬죠. 항상 댕댕이장을 어떻게든 문화재로 만들려고 노력했는데 그러다가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전국을 대상으로 짚이나 풀로 만든 공예에 대해 조사를 한 적이 있었어요. 그때도 조영준 선생님이 조사자이던 김삼대자씨에서 나를 소개해줬는데 그 결과 댕댕이 덩굴을 소재로 공예품을 만드는 곳은 제주도와 충청도에 불과하다는 것이 알려졌죠."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당시의 조사를 토대로 댕댕이덩굴을 사용해 공예품을 제작하는 기술은 육지에서는 백씨가 유일한데, 이것은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된 정동벌립을 만드는 기술과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그렇다고 백씨가 바로 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지정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사실 당시 조사자이던 김삼대자씨는 1998년 처음 백씨의 작품을 보고 옛날 전통방식을 그대로 재현하지 않아 문화재로 지정될 수 없다는 통보를 내렸던 것이다.
"그때는 무형문화재가 되리라곤 생각도 하지 않고 그냥 집에서 쓸 물건 만들려고 나이롱 끈을 넣고 했는데 그걸 보더니 이건 아니라고 말하는 거예요. 그래서 그때부터 오직 댕댕이덩굴로만 작품들을 만들기 시작했죠. 그후 2000년에 무형문화재 지정을 위해 다시 심사를 받을 때 그 김삼대자씨가 조사위원으로 또 온 거예요. 그러면서 2년 동안 내가 작업한 것 들을 보더니 감탄을 하더라구요. 그러더니 돌아갈 때 내가 꼭 무형문화재 보유자로 만들어주겠다고 하더니 결국 그 해 무형문화재 보유자가 될 수 있었죠."
백씨는 지금도 그녀의 아버지가 만든 채반을 유품처럼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다. 아버지의 채반을 보며 그것처럼 멋진 제품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요즘도 시간이 날 때마다 자리에 앉아 댕댕이덩굴을 간추린 다음 채반이나 소쿠리, 시루밀과 같은 전통적인 생활용품 뿐 아니라 화병이나 삼합상자나 오합상자 같이 댕댕이로 만들지 않았던 다양한 작품까지 만들어보며 전통문화 보존에 힘쓰고 있다.
"52년 동안 댕댕이를 손에 놓지 않고 살아왔는데 안타까운 것은 우리 남편이 이수자가 됐을 뿐 댕댕이장을 배우려는 사람들이 없다는 거예요. 요즘 같은 시대에 댕댕이공예품보다 좋은 물건들이 넘쳐나니까 굳이 배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겠지만 그래도 댕댕이공예품에는 돈으로 값 매길 수 없는 소중한 그 무언가가 깃들어 있는 것 같아요. 때문에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취미라도 좋으니 댕댕이장을 배우러 왔으면 좋겠어요. 그런 언제든지 기쁘게 반기며 함께 앉아 댕댕이덩굴을 엮을 수 있죠. 그런 날들이 앞으로 많았으면 좋겠네요(웃음)." 글·사진=최신웅 기자
홍성 댕댕이장이란
2000년 9월 20일 충남도 무형문화재 제31호로 지정된 홍성 댕댕이장은 댕댕이 덩굴의 줄기를 이용해 생활용품<사진>을 만드는 기능이다. 일찍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댕댕이 덩굴을 이용한 수저집·바구니·채반 등 생활기물을 만들었으나, 현재는 기능이 단절될 위기에 처했다. 1992년부터 1995년 사이 전국을 대상으로 한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짚·풀공예 조사에서 댕댕이덩굴을 소재로 공예품을 만드는 곳은 전국에서 제주와 홍성뿐이었다.
홍성에 거주하는 기능보유자 백길자씨는 댕댕이장 뿐만 아니라, 싸리·보리짚·밀대 등 풀공예 전반에 걸쳐 솜씨가 뛰어난 재주꾼으로 알려져 있다. 도움말=충남도청
▶댕댕이 덩굴
댕댕이 덩굴은 한자로 용린(龍鱗)·상춘등(常春藤)·목방기(木防己) 등으로 불리며 경남지방에서는 장데미 또는 장드레미, 제주지방에서는 정당·정등·정동 등으로 불린다. 그 줄기는 내구성이 강하고 탄력성이 매우 좋으며 축축한 상태에서는 잘 구부러지는 특징이 있다. 줄기 직경이 2㎜ 미만이기 때문에 공예품을 만들면 그 짜임새가 섬세하고 고운 질감을 준다. 길이가 3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며 3~5개의 맥이 뚜렷이 드러나 있다. 줄기와 뿌리를 잘라서 햇볕에 말린 목방기(木防己)는 방기 대신 한약재로 해열·이뇨·신경통에 쓰고 있다. 항우도 댕댕이덩굴에 넘어진다"는 옛말은 작고 보잘것없다고 해서 깔보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가리킨다.
대전일보 최신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