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브리핑] 교통약자 1600만 명 넘었다…총인구 31.5%

입력 2025-11-27 10:56

한경협, ‘베이비부머 지역경제 붐업 프로젝트’ 정부에 건의

▲챗GPT 생성 이미지
▲챗GPT 생성 이미지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AI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교통약자 1613만 명…전체의 31.5%로 증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교통약자는 총인구의 31.5%인 1613만 명으로, 고령화 영향으로 전년보다 26만 명 넘게 증가했다. 저상버스 보급률은 44.4%로 확대됐고, 교통수단·시설의 기준적합 설치율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교통약자 이동편의 시설 개선과 저상버스 표준모델 개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경협, ‘베이비부머 지역경제 붐업 프로젝트’ 정부에 건의

한국경제인협회는 수도권 은퇴·예정 베이비부머가 지역 중소기업에 취업하며 귀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베이비부머 지역경제 붐업 프로젝트’를 정부에 건의했다. 약 1600만 명 규모의 베이비부머가 지역 인력난 해소·소비 확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취지다. 한경협은 이를 위해 일자리·주거·생활 인프라 중심의 3대 분야 8개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엄태영 의원 발의 ‘은퇴자마을법’, 국토위 소위 통과

국민의힘 엄태영 의원이 대표발의한 ‘은퇴자마을 조성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 국토교통위 법안심사소위를 통과했다. 법안은 은퇴자 기준을 55세로 낮추고 인구감소지역 우선 고려, 의료·문화·체육 인프라 확충 등을 담아 고령화·지방소멸 대응 모델을 제시한다. 통과 시 고령층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회복, 국가균형발전 효과가 기대된다.

◆아리바이오 치매 전자약 ‘GVD-01’, 탐색 임상서 인지 개선 확인

▲아리바이오 경두개음향진동자극 전자약 GVD-01(아리바이오)
▲아리바이오 경두개음향진동자극 전자약 GVD-01(아리바이오)

제약·바이오 기업 아리바이오는 자체 개발한 치매 전자약 ‘GVD-01’의 탐색 임상에서 ADAS-Cog13 등 주요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지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24주간 진행된 연구에서 전자약 사용군은 인지 기능·주의력·뇌 혈류 보존 등 다각적 개선을 보였다. 회사는 후속 확증 임상과 함께 2027년 미국 FDA 등 글로벌 의료기기 허가를 추진할 계획이다.

◆국세청, 종부세 고지서 발송…고령자·장기보유자 유예 가능

국세청은 2025년 귀속 종합부동산세 고지서를 24일부터 발송했으며, 납부기한은 12월 15일이라고 밝혔다. 올해 고지 대상은 총 63만 명, 고지 세액은 5조3000억 원 규모로, 300만 원 초과 세액은 6개월 분납이 가능하다. 고령자·장기보유자 요건 충족 시 납부유예도 신청할 수 있으며, 고지 내용이 다를 경우 기한 내 자진신고가 가능하다.

◆서울시립대 평생교육원, ‘중장년 Skill Up’ 과정 성료

서울시립대 평생교육원은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과 함께 ‘2025 서울마이칼리지–중장년 Skill Up’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세무·회계·데이터 분석 등 9개 강좌에 202명이 참여해 평균 수료율 74.3%, 만족도 4.6점을 기록했다. 시립대 전임교원이 전 과정 강의를 맡아 실무 기반 나노디그리 인증을 통해 중장년 재취업·창업 역량을 높였다는 평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AI 브리핑] 韓, 고령층 고용률 OECD 1위…“절반 이상 생계형 노동” 外
    [AI 브리핑] 韓, 고령층 고용률 OECD 1위…“절반 이상 생계형 노동” 外
  • [AI 브리핑] 장기요양 대상 절반 치매…전담시설 14% ‘부족’ 外
    [AI 브리핑] 장기요양 대상 절반 치매…전담시설 14% ‘부족’ 外
  • AI 문명 시대, 인간과 기술의 새 관계 묻는다
    AI 문명 시대, 인간과 기술의 새 관계 묻는다
  • 작년 고독사 사망자 3924명…‘60대 남성’ 가장 많아
    작년 고독사 사망자 3924명…‘60대 남성’ 가장 많아
  • 놓치면 손해! 65세 이상 혜택(문화ㆍ여가편)
    놓치면 손해! 65세 이상 혜택(문화ㆍ여가편)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