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환(前 성운기계 대표)씨 별세, 정옥이(덕성여대 언어교육원 팀장)ㆍ미경ㆍ재운(삼한시스템 근무)ㆍ은주ㆍ재우(엔이아이디 근무)씨 부친상, 이재경(신용보증기금 감사실 부장)씨 장인상=22일 오전 삼성서울병원, 발인 24일 오전, 02-3410-6903
관련 기사
-
- 은퇴 교수의 전일제 농부 생활… “가지치는 지혜 배워”
- 지난해 8월, 29년 6개월의 교수 생활을 마치고 정년 퇴임했다. 30대 교수는 아는 것 모르는 것 안 가린 채 가르치고, 40대 교수는 자기가 아는 것만 가르치고, 50대 교수는 학생들이 알아들을 것만 가르치고, 60대 교수는 횡설수설한다고 했으니, ‘퇴임하기 딱 좋은 나이’에 강단을 떠났다. 교수는 두 종류로 나뉘는데 하나는 ‘이상한 교수’요, 다른 하나는 ‘정말 이상한 교수’란 뼈 있는 농담을, 대학원 세미나 시간에 학생들로부터 전해 들은 적 있다. 나는 어디에 속하는지 물어볼까 하다가, 꼼짝없이 정말 이상한 교수가 될까 봐
-
- 장수혁명 시대의 ‘뉴노멀 시니어’, 능동적 주체로 부상
- 이제 장수혁명의 시대다. 그 중심에는 노년기를 인생의 황혼기가 아닌 새로운 전환기로 보는 ‘뉴노멀 시니어’가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1964~1974년생)의 인구 비중이 커지면서 등장한 뉴노멀 시니어는 이전 세대와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디지털 기술에 능하고, 경제적 여유도 있으며, 적극적인 사회참여 의지로 무장돼 있다. 이들은 더 이상 수동적인 복지 수혜자가 아닌, 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능동적 주체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뉴노멀 시니어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소통하고, 모바일 뱅킹으로 자산을 관리하며, 온라인 쇼핑을 즐
-
- 어르신 일상에 AI를 더하다… 서울시 ‘AI 동행버스’ 출발
- AI로 눈 건강 확인하기, 로봇과 바둑 두기 등 일상 속 유용한 스마트 기술을 무료로 체험할 수 있는 ‘서울 AI 동행버스’를 오는 11월까지 운영한다. ‘서울 AI 동행 버스’는 서울디지털재단이 어르신의 일상 속 AI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복지관, 경로당 등 어르신이 활동하는 기관을 방문하여 ‘버스’ 형태의 이동식 교육장에서 AI를 포함한 디지털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서울시 어르신 3,000명을 목표로 11월까지(8월, 12월 제외) 체험교육을 제공한다. ‘서울 AI 동행버스’에서는 총 7종의 AI 기반 디지털
-
- 뉴노멀 시니어의 AI 패러다임 “의존이 아닌 활용과 창조”
- 인공지능(AI)의 등장은 시니어의 삶의 질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뉴노멀 시니어는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새로운 삶의 방식을 개척하고 있다. 돌봄을 넘어 교육·여가 활동의 지평을 넓히고,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했다. 수요자 중심의 관점에서 뉴노멀 시니어의 AI 이야기를 다뤄봤다. 뉴노멀 시니어는 높은 교육 수준, 양호한 소득·자산 여건, 활발한 사회·문화 활동 참여 등 기존 시니어와 차별화된 특징을 보인다. 특히 AI 기술이 산업 전반에 확산되는 상황에서 이들의 높은 IT 활용 능력은 빛을
-
- 천안시립노인전문병원-월클플레이, 어르신 건강 증진 및 문화 복지 향상 위한 MOU 체결
- 천안시립노인전문병원(대표원장 문태순)과 월클플레이(회장 강마루)가 어르신들의 건강 증진 및 문화 복지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의 신체적, 정서적 건강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어르신들의 신체적, 정서적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할 예정이다. 주요 협력 내용은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건강 증진 및 운동 프로그램 제공 △사회공헌 및 자원봉사 활동 △공동 홍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