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법 처리에 野의원 '찬성 63명, 반대 44명'
새정치민주연합은 새누리당에서 제시한 기초연금 절충안의 국회 처리에 대해 1일 의원총회를 열고 기초연금법 처리 문제에 대한 당론을 도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다음달 18일까지가 회기인 이번 임시국회 내 처리 여부를 둘러싸고 당내 찬반 격론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리더십 논란에 휩싸인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도 의총 결과에 따라 희비가 교차될 전망이다.
새정치연합은 지난 28일 의총에서 기초연금법 처리 문제에 대한 결론을 내는데 실패함에 따라 2일 본회의에 앞서 전날 의총을 다시 소집, 최종 의견수렴에 나서기로 했다.
한편 새정치연합은 소속 의원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벌인 결과“처리에 찬성한다”고 답한 의원이 63명, “반대한다”는 의사표시를 한 의원이 44명이라고 밝혔다.
2명은 기권했고, 나머지 21명은 답변을 제출하지 않았다.
관련 기사
-
- 기획재정부, 노인연령 ‘65세’ 상향 추진
- 19일 기획재정부 산하 중장기전략위원회는 노인연령 상향 등을 골자로 하는 ‘미래세대 비전 및 중장기 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목전에 둔 대한민국의 인구구조 변화를 반영하여, 향후 고령층 지원 강화와 노인연령 상향 등 중장기적 과제를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의 전환 속도가 7년에 불과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기록하고 있다. 고령자 비율은 2060년 44.2%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노년부양비는 현재 27.4명에서 2066년 100.8
-
- 복지용구 주문요청, 이로움돌봄 앱 클릭 한번으로
- 시니어 케어 플랫폼 기업 티에이치케이컴퍼니가 자사의 대표 앱 서비스 ‘이로움돌봄’의 신규 기능 ‘놓친 복지용구 받기’를 6일 공식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신규 서비스는 초고령사회로 진입 중인 대한민국에서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보호자들의 부담 완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의 시작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현재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 중인 국가로, 2024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더불어 장기요양보험 수급자는 2024년 기준 약 120만 명 이상에 이를 것으로 보이
-
- 치매 환자 전문치료 위한 안심병원 2개소 추가 지정
- 보건복지부는 양질의 치매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경기 지역 ‘경기도립노인전문용인병원’과 ‘안산시립노인전문병원’을 치매안심병원으로 추가 지정했다. 치매안심병원은 치매환자 전용병동 등 치매환자 특성을 고려한 시설·장비(집중치료를 위한 1인용 입원병실, 조명·색채 등을 이용한 환경, 모든병상·목욕실·화장실 내 통신 및 호출장치 등), 신경과 또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전담 간호인력 등 치매 치료·관리에 전문성 있는 의료진을 갖춘 병원급 의료기관이다. 보건복지부는 2019년부터 치매안심병원 지정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병원급의료기관으
-
- 초고령사회 원년, 을사년은 우리를 어떻게 바꿀까?
- 2025년의 새해가 떠올랐다. 2025년은 육십갑자 중 42번째인 을사년(乙巳年)으로, ‘푸른 뱀의 해’로 알려져 있다. 동양 문화에서 뱀은 지혜와 변화를 상징하며, 청색은 생명력과 성장을 의미한다. 따라서 2025년은 새로운 시작과 성장이 기대되는 해로 해석된다. 하지만 그 어떤 의미보다 2025년의 중요한 의미 중 하나는 바로 초고령사회 진입 원년이라는 것. 지난해 12월 23일을 기준으로 대한민국 인구 중 65세 이상이 전체 주민등록 인구의 20%를 넘어서며, 우리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는 2017년 고령사회(65세 이
-
- 2025년 초고령사회, 新노년층 등장… “73세까지 근로 원해”
- 우리나라는 2025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 차지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노인 인구는 급증하는 반면 생산 가능 인구는 줄어 경제성장 둔화와 노인 빈곤 심화가 우려됐다. 다행히도 현재 노인 인구에 진입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는 과거의 노인과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 ‘신(新)노년층’으로 불리는 그들의 등장이 어떠한 변화를 야기할지 이목이 집중된다. 점점 늘어나는 노인 인구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7월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1000만 62명, 전체 대비 노인 인구 비중은 19.51%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