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순(일산든든한교회 권사)씨 별세, 류방열(코칸 대표)ㆍ준열(前 기술보증기금 이사)ㆍ장열(GS글로벌 상무)씨 모친상, 남택화(충북지방경찰청 차장)씨 장모상=6일 오전 삼성서울병원, 발인 8일 오전, 02-3410-6914
관련 뉴스
-
- [챗GPT 브리핑] 전문가 62% “정년 연장, 청년 일자리 감소” 外
- 매일 아침, 챗GPT가 수많은 정보 속에서 엄선한 시니어 주요 뉴스를 편집국 기자가 검수·요약해 전해드립니다. 정책, 복지, 건강, 기술 등 핵심 이슈만 모았습니다. ◆전문가 10명 중 6명 “정년 연장 부작용, 청년 일자리 감소” 한국경영자총협회가 경영·경제·법학 교수 210명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전문가 62.4%가 정년을 65세로 연장할 경우 가장 큰 부작용으로 청년 일자리 감소를 우려했다. 고령자 노후소득 보장 책임은 정부·국회에 있다는 응답이 63.8%로 가장 많았고, 고용방식 다양화가 필요한 정책 과제로 꼽혔다.
-
- 경제활동 60세 이상이 청년층 보다 많아, 통계청 “2000년 이후 처음”
- 통계청, 16일 ‘2025년 6월 고용동향’ 발표 고령층 고용률, 4개월째 청년층보다 높아…초고령사회 속 새로운 경제 주체 60세 이상 시니어의 경제활동 참가율(경활률)이 청년층을 앞질렀다. 초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고령층이 경제 활동을 이끄는 새로운 주체로 떠오르고 있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60세 이상의 경활률은 49.2%로 청년층(15~29세)의 48.6%보다 0.6%포인트(p) 높았다. 60세 이상의 경활률이 청년층을 웃돈 것은 2000년 이후 처음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관련
-
- 블루베리 익어가는 계절
- 블루베리 익어가는 계절이다. 블루베리는 다산형인 듯하다. 꽃눈도 다닥다닥 무수히 맺히고, 꽃눈 하나에 열 송이가량 꽃이 피고, 꿀벌이 다녀간 꽃송이 모두 열매 맺곤 하니 말이다. 뒤늦게 몰래 숨어서 맺는 열매도 하나둘이 아니다. 아까운 마음에 너무 여러 개 남긴 꽃눈 앞에선 부끄러움이 고개를 든다. 불필요한 가지에 주렁주렁 매달린 것부터 눈에 들어온다. 겉모양은 잘 뻗었지만 올해 열매 하나 매달지 못하는 도장지를 남기고 정작 결과지를 잘라낸 어처구니없는 실수도 여러 차례 했다. 온 맘 다해 꽃눈을 솎아주었어도 벌님이 다녀갈 때마다
-
- [Trend&Bravo] 퇴직자들이 털어놓은 은퇴 후 가장 후회되는 것 TOP6
- 은퇴 후 삶의 질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인 노후 준비.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가 생애 주된 직장에서 퇴직한 50대 이상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1위 후회 항목은 '연금저축·연금보험 등 개인연금에 더 관심 가질걸'이었다. 이번 설문 결과는 은퇴 이후 후회 없는 삶을 위해 연금 준비의 중요성을 돌아보게 한다. 퇴직 전 어떤 부분을 점검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면, 퇴직자들의 목소리를 참고해 나의 노후 준비 상태를 점검해 보자. 퇴직 후 연금 관련 후회되는 한 가지는? 1위(43.5%) 연금저축,
-
- 더위로 무기력할 때, 중장년을 위한 심리 방어 전략
- 일조량이 많고 습도가 높은 날이 이어지면 쉽게 무기력해지기 마련이다. 일과 가정, 사회적 역할을 오롯이 짊어지고 살아온 중장년에게는 무더위가 더 버겁게 다가올 수 있다. 여름철 무거운 마음을 다스리고 중심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호흡 명상’과 ‘하루 단위 생각법’을 소개한다. 여름은 예기치 않은 혼란이 찾아오기 쉬운 계절이다. 예민해진 감각 탓에 느닷없이 우울감이나 무력감을 느낄 수 있다. 때로는 ‘마음이 약해진 건 아닐까?’ 하는 자책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럴수록 마음의 중심을 되찾는 일이 중요하다. 권순재 당신의 정신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