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분순씨 별세, 김영배(GS건설 부장)ㆍ정배(도아산업 이사)ㆍ영숙ㆍ진숙ㆍ희숙씨 모친상, 이태욱(사업)ㆍ윤장수(사업)ㆍ한원형(예평이앤씨 대표)씨 장모상, 김영재(이화여대도서관 사서)ㆍ한경화씨 시모상=3일 오전 서울아산병원, 발인 5일 오전, 02-301-2293
관련 뉴스
-
- 시니어 주거부터 자산관리까지…하나銀-HDC, 업무협약 체결
- 시니어의 주거와 금융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민간 협력 모델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하나은행은 22일 서울 용산구 HDC현대산업개발 본사에서 HDC현대산업개발과 웰니스 레지던스 사업 활성화 및 입주자 맞춤형 종합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시니어 손님의 자산관리 니즈 충족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마련했다. 하나금융그룹은 은행·증권·보험 등 금융 전반의 노하우를 갖추고 있고, HDC현대산업개발은 웰니스 레지던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두 회사는 △자산관리·세무,
-
- [챗GPT 브리핑] 고령자 공짜폰·최저가 피해 신고 급증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챗GPT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고령자 공짜폰·최저가 피해 신고 급증 22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단말기 유통법 폐지 이후 경쟁이 심화되며, 65세 이상 고령층 이동전화 계약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계약 내용과 실제 청구 금액이 다른 경우가 전체 피해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소비자원은 부당광고 방지와 가격 정보 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주의를 당부했다.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 참여 지자체·의사
-
- 이열치열과 이냉치열의 지혜
-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올여름 날씨 전망에 ‘역대급 폭염, 열대야의 무더위’라는 말이 빠지지 않는다. 우리나라 한더위를 특별히 ‘복더위’라 한다. 우리 조상들은 여름철이 되면 복더위를 피하고 시원하게 지내기 위해 여러 방법과 도구를 사용했다. 열(熱)로 더위를 다스리다 복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여름철에 무더운 것은 자연의 당연한 이치다. 초복·중복·말복의 삼복 동안은 여름철 무더위의 대표적인 기간이다. 이 시기에 사람들은 기운을 잃고 맥을 못 춘다. 여름 한더위에 식욕이 없어지고 땀을 많이 흘리면 허약해지기 마련이다. 냉장고며 제빙기조차
-
- [지방소멸 대응]④ ‘인구 증가’ 이면에 숨은 그림자
- 지방소멸 위기는 고령사회의 현실이다. 지방자치단체별로 살펴보면, 도시보다 군단위 지역에서 자연적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더 빠르게 진행된다. 지방정부는 고령인구의 주거, 복지, 의료 인프라 확충 문제에 시급히 대응해야 한다. 이에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발행한 ‘인구증가지역 사례분석을 통한 맞춤형 지방소멸대응 전략 연구’(2025, 박진경 외)를 토대로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전략을 살펴보는 시리즈를 마련했다. 지방소멸의 문제는 대다수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처한 문제이지만, 그렇지 않는 사례도 있다. 다시 말해 오히려 인구가 느는 지역들이 있다
-
- [Trend&Bravo] 은퇴 후 생활비 얼마 필요할까? 연령대별 현실 응답
- 많은 직장인들이 은퇴 이후의 삶을 상상하면서도 막상 노후에 얼마의 생활비가 필요할지에 대해서는 막연한 경우가 많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가 발표한 ‘직장인 퇴직연금 서베이’에 따르면, 30~50대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노후의 적정 생활비는 월 평균 약 300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필요한 생활비도 함께 증가했으며, 배우자의 유무 또한 예상 생활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결과는 현실적인 노후 설계의 기준선으로, 향후 재무 계획을 세우는 데 있어 중요한 참고 지표가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