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옥자(시인)씨 별세, 이성두(한국팜비오 감사)ㆍ영숙ㆍ영화(한국팜비오 부사장)ㆍ은경(국제상사 근무)씨 모친상, 김종표(효진스프링 회장)ㆍ남봉길(한국팜비오 회장)ㆍ서춘석(국제상사 대표)씨 장모상, 강현숙(前 농협 지점장)씨 시모상=16일 오전 서울아산병원, 발인 18일 오전, 02-3010-2295
관련 기사
-
- 노년의 다잉 인 플레이스와 웰다잉 서비스
- 연 35만 명의 사망자와 200만 유족의 웰다잉 이야기 지금 인류는 처음으로 ‘느린 죽음’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건강한 노화, 잘 사는 삶에 가려져 남의 일처럼 지나갔던 죽음이 길어지면서 죽음도 준비해야 한다는 웰다잉을 이야기하게 되었습니다. 2022년 세계보건기구의 ‘건강 추정치 보고서(Global Health Estimates)’에 의하면 매일 평균 16만 명이 사망한다고 합니다. 사망자 수도 계속 증가해 2085년에는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넘어서며, 사망의 주원인도 비전염성 만성질환으로 변하면서 죽음도 느려졌다고 합니다(
-
- [카드뉴스] 고급 실버타운 어디? 입주 비용부터 특징 총정리
- 실버타운은 이제 더 이상 단순히 요양 시설이 아니다. 건강한 노후를 준비하는 시니어들에게는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다. 실버타운은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생활을 제공하면서도 필요한 지원을 적절히 받을 수 있는 곳으로, 각기 다른 입주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옵션들을 제시한다. 행복한 노후를 준비하는데 최적의 공간이 될 실버타운 4가지를 카드뉴스로 정리해 봤다. ▲백운호수 푸르지오 숲속의 아침 위치: 경기도 의왕시 학의동 규모: 총 536세대 비용: 61㎡ 보증금 6억 6000만 원 + 월 생활비 190만
-
- 요양원과 실버타운의 융합 시도… 제3의 시니어 하우징에 주목
- 시니어 업계의 핵심 축으로 ‘하우징’이 부상하고 있다. 노인복지주택(실버타운)을 비롯한 양로시설, 요양시설 등 국내 시니어 시설의 보급률은 증가하는 고령층 수요에 비해 여전히 부족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민간기업들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며 시장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그간 실버타운 설립의 걸림돌이었던 ‘토지 및 건물 소유 의무’도 완화돼, 사용권만으로도 사업 추진이 가능해졌다. 다만 요양시설은 규제 완화에 포함되지 않아, 복합 의료 돌봄을 포함한 통합형 시니어
-
- 웰에이징 힐링 리조트, 힐리언스 선마을
- 강원도 홍천에 위치한 ‘힐리언스 선마을(이하 선마을)’은 국내 최초 웰에이징 힐링 리조트다. 스마트폰과 TV 등 전자기기 없이 자연에 온전히 몰입할 수 있는 ‘디지털 디톡스’ 환경에서 수면·식사·운동·마음관리 4대 생활 습관을 개선하도록 설계돼 있다. 이는 현대인의 만성 피로와 스트레스를 근본적으로 회복하는 데 효과적이다. 작은 변화가 시작되는 곳 선마을은 대웅제약, 매일유업, 풀무원, 사조동아원, 그리고 뇌과학자 이시형 박사가 함께 설립했다. 건강한 100세 시대를 준비하는 이들을 위해 설계된 곳으로, 단순한 휴식을 넘어 삶의
-
- 아침부터 밤까지… 제2인생 향한 시니어 배움터 풍경
- 배움에는 끝이 없다. 과거 시니어는 배움을 그치고 그간 익힌 지식을 나누어주는 세대로 여겼다면, 요즘 시니어는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 발맞추기 위해 지속적으로 배움을 희망하는 세대다. 이에 따라 시니어들의 교육·문화 모임과 커뮤니티에도 변화가 일고 있다. 명함을 주고받으며 네트워크를 형성하던 조찬 모임 같은 전통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연령과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관심사를 중심으로 모이는 온·오프라인 모임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성공 향한 열망, 새벽을 깨우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는 2014년 11월 온라인 기사를 통해 세계미래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