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석종씨 별세, 임규영(한국환경공단 부장)씨 부친상=21일 오전 고대안암병원, 발인 23일 오전, 02-923-4442
관련 뉴스
-
- 이찬진 금감원장 “금융권, 고령화 사회 과제 해결에 적극적 역할해야”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23일 “금융권이 기존의 역할을 넘어 고령화라는 우리 사회의 당면 과제 해결을 위해 보다 적극적 역할을 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연구기관장 간담회에서 “한국 경제는 고령화로 인한 소비 둔화, 노동생산성 악화에 따라 잠재성장률이 낮아지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고령화로 인한 경제적 충격을 완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우리 사회는 급속한 고령화에 대비해야 할 때”라며 “금융권은 고령화로 변화하는 금융 수요를 소비·투자·복지와 연결하
-
- 강남대 박영란 교수, 치매극복의 날 국무총리 표창 수상
- 강남대학교는 박영란 시니어비즈니스학과 교수가 최근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열린 ‘제18회 치매 극복의 날’ 기념식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박영란 교수는 약 30년간 노인복지 분야 연구·교육에 매진하며 대한민국 치매극복 정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박 교수의 주요 연구 성과로는 △지역사회 기반 치매 예방 통합서비스 지원망 구축에 관한 연구 △치매 노인을 위한 실버 빌리지 기획연구 △한국에자이 치매 예방 에코시스템 구축 로드맵 연구 등 체계적인 치매 예방 서비스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KB국민건강총명학교
-
- 국립재활원, 초고령사회 스마트 재활 정책 핵심은?
-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는 23일 서울 용산구에 있는 백범김구기념관에서 ‘2025 재활연구 국제심포지엄’를 개최했다. 올해로 17회를 맞은 이번 심포지엄은 ‘초고령사회를 위한 스마트 재활’을 주제로 열렸다.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재활 정책과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해법을 모색하고자 마련했다. 행사는 강윤규 국립재활원장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3개 분과에서 △초고령사회에서의 장애인 건강 △초고령사회를 위한 스마트 재활 기술 △데이터 기반 임상 재활을 각각 주제로 다뤘다. 세션에서는 미국의 장애·고령 정책 사례를 토대로 한 재활·돌봄 정
-
- 내 몸을 살리는 ‘산림건강’ 무료 강좌
- 숲에서 건강한 일상을 되찾을 수 있는 무료 강좌가 서울 시민을 맞이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서울시민대학과 협력해 시민의 건강 회복을 돕는 특별 교육 프로그램 ‘산림건강과정’을 마련했다고 22일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 조사에 따르면 국내 성인 50.9%가 ‘숲을 통한 건강관리’를 산림 관련 평생교육 참여 목적 1순위로 꼽았다. 이러한 수요를 반영해 이번 강좌는 숲의 치유 가치를 생활 속에서 체험·실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강의는 숲의 건강 기능과 오감 치유, 호흡·명상법을 배우는 이론 수업으로 시작한다
-
- “노인복지관, 노인 1000명 당 1개도 안돼…고령화 속도 못 따라가”
- 노인여가복지시설이 고령층을 수용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노인여가복지시설 현황 자료에 따르면 노인복지관은 2021년 357개에서 2024년 454개로 늘었지만, 노인 1000명당 개소 수는 0.04~0.05개에 머물렀다. 노인여가복지시설(노인복지관·경로당·노인교실)은 개소 수가 늘었지만 노인 인구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약 994만 명이며, 이 중 1인 가구는 약 220만 명으로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