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도 재미가 없다. 잠도 잘 못 이루고, 밥도 맛이 없다. 살아서 뭐하나 괜스레 이상한 생각도 든다.”
나이 탓으로 돌리기엔 해결해야 할 숙제가 많은 우울증. 한림대성심병원 정신의학과 홍나래 교수가 속 시원히 풀었다.
글 박근빈 기자 ray@etoday.co.kr 도움말 한림대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나래 교수
우울증은 왜 찾아올까?
대개 우울증은 힘든 일을 겪은 이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특별한 어려움 없이도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신체적 변화나 사회적 역할의 변화가 시작되는 시기인 신중년 시기에는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이때 우울증이 오게 되는 경우도 많은 편이다.
증상은 어떻게 나타날까?
신중년 우울증은 성인기의 우울증과는 증상이 조금 다른 경우가 많다. 성인기 우울증은 기분이 가라앉고 스스로 우울하다는 것을 느끼는 경우가 많지만, 신중년 우울증은 흥미 있는 일들이 없고 다 귀찮고 의미 없게 느껴지는 경우가 더 많다. 잠이 오지 않거나, 새벽에 일찍 깨서 곤란을 느끼는 경우도 많다. 흔히들 화병의 증상이라 여기는 가슴 답답함, 화기나 한기가 드는 증상, 소화 불량, 두통이나 어지러움, 여기저기 나타나는 저림이나 통증 등의 증상이 노인성 우울증에서 흔히 나타나는 신체 증상이다. 이런 일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신체적 질환에 대한 검사를 반복하기보다는 우울증은 아닌지 정신건강의학과에서 면담을 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어떤 기분에 빠지게 되나?
예전에는 귀엽기만 하던 손주들도 시끄럽고 귀찮게만 느껴지고, 재미있어서 매일 챙겨 보던 드라마도 재미가 없고 꼭 봐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게 된다. 우울증 환자들이 자살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지만, ‘당장 죽고 싶다’는 느낌보다는 ‘살아서 뭐하나’, ‘그냥 자다가 이대로 안 깨어났으면 좋겠다’ 등과 같은 생각을 하는 경우가 더 많다. 내가 그동안 살아온 인생이 부질없어 보이고 ‘왜 이렇게 살아왔나’ 하는 생각을 하게도 된다.
치매와 증상이 유사하다던데 구별이 가능한가?
우울증이 심한 경우 일시적으로 치매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를 ‘가성 치매’라 부르기도 한다. 우울증에서 나타나는 가성 치매와 진짜 치매의 증상은 비슷한 점이 많다. 그래서 치매 검진을 위해 병원에 왔다가 우울증으로 진단을 받고 치료 후 호전되는 환자들도 많다. 대개 신중년 우울증에 의한 가성 치매 환자들은 무조건 ‘모르겠다’고 대답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진짜 치매 환자들은 질문에 열심히 대답을 하려고 하지만 제대로 대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경과도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우울 증상들이 먼저 나타나는 사례가 많고 우울 증상이 호전되면 치매와 유사한 증상도 없어지게 된다.
정신과 약물치료는 어떻게 되나?
우울증은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이 깨지는 뇌의 병이다 보니 그 치료에 있어서도 약물을 이용한 화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진단이 가능할 정도가 되면 반드시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에 사용하는 약물 중 항우울제는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을 되돌려 주는 약물이기 때문에 완치를 목적으로 하는 약물이고, 중독이 되거나 내성이 생길 위험성이 전혀 없는 약물이다. 강제로 기분을 올려서 ‘내’가 아닌 다른 사람처럼 되지 않을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스스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가?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가벼운 우울감의 경우에는 기분 전환 등을 통해 회복될 수 있다. 약물 치료를 받는 중에도 생활 조절을 같이 하면 더 빠르고 큰 효과를 얻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사람들을 만나 사회적 활동을 많이 하는 것이 좋고, 햇빛을 맞으며 하는 운동도 많은 도움이 된다. 간혹 술의 힘을 빌려 우울증을 극복하려는 사람들도 있는데, 술은 뇌에 우울증을 일으키는 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매우 좋지 않은 방법이다. 가족이나 친구들과의 만남, 규칙적인 생활, 스트레스를 피하려고 하기보다는 받은 스트레스를 잘 해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족들은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
사실상 은퇴 등을 통해 사회적으로 역할이 줄어드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지만, 가족 내에서의 자리가 없어지는 것 같은 경험들도 우울증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들 중의 하나가 된다. 때문에 ‘우리 가족에 꼭 필요한 존재’라는 느낌을 들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집안의 대소사 결정에 있어서 같이 상의해 나가면 ‘내가 아직도 이 집안의 어른으로 역할을 잘 하고 있구나’ 하는 만족감을 갖게 할 수 있다. 혼자 생활하는 신중년이 늘어나고 있는 현재 추세에 맞춰 주말이나 저녁 시간 등을 이용해 여러 가지 활동을 같이 해 보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한림대 성심병원 조교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회원, 대한노인정신의학회 정회원, 대한노인정신의학회 노인정신건강 인증의, 외국인 진료 활성화를 위한 외국인 진료 담당교수 선정, 2015 경기도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발전대회 정신건강증진 유공 표창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