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그 뉴스, 그 사람]-②“창의력 없애는 입시위주 교육, 지금도 똑같아요”

기사입력 2015-11-27 08:39 기사수정 2015-11-27 08:39

‘무즙파동 당시 수험생’ 서의호 포항공대 교수 인터뷰

서의호(徐義鎬·63) 교수(포항공대, 산업경영공학과)는 ‘무즙파동’을 겪은 당사자다. 현재는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당시 수험생으로서, 또 지금의 대학교수로서 그는 50년 전과 오늘날의 입시환경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했다.글 유충현 기자 lamuziq@etoday.co.kr

사진 이태인 기자 teinny@etoday.co.kr

▲서의호 포항공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는 1964년 ‘무즙파동’ 당시 시험을 치렀던 수험생이다. 서 교수는 50년이 넘게 흐른 지금도 해당 문제의 정답이 ‘무즙’이라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서의호 포항공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는 1964년 ‘무즙파동’ 당시 시험을 치렀던 수험생이다. 서 교수는 50년이 넘게 흐른 지금도 해당 문제의 정답이 ‘무즙’이라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게 정말 대단한 사진인데 말이지”

서의호 교수는 약속장소에 도착하자마자 신기하다는 듯 휴대폰을 내밀었다. 마침 그날 초등학교 동창회 행사가 있었다. 그곳에서 친구에게 받은 사진이라고 했다. 1964년 중학교 입학시험 자연과목 18번 문제지가 그 안에 있었다. ‘엿을 만들 때 엿기름 대신 넣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사진 속에는 꼬불꼬불한 ‘디아스타제’라는 답이 써 있었고 그 위로 동그라미가 쳐져 있었다. 서 교수는 당시 이 문제의 답을 ‘무즙’이라고 적었다.

한 문제 차이로 낙방, 부잣집 아이들만 구제받아

“1964년 12월 7일 그날은 굉장히 추운 날이었어요. 시험을 보고 나와서 어머니와 함께 빵집에 가서 빵을 먹고 있었는데 산신령처럼 생긴 할아버지가 와서 ‘경기중학교 시험을 쳤느냐, 몇 문제나 틀렸느냐’ 묻더군요. 당일에 채점을 했기에 4문제 틀렸다고 했습니다. 그 할아버지가 3문제면 합격이지만 4문제면 불합격이라며 안타까워하시더라고요. 어머니께선 이상한 할아버지라며 화를 내셨지만 결과는 그 정체불명의 할아버지 말이 맞았죠”

한 문제 차이로 경기중학교에 가지 못했다. 초등학교에도 ‘4당5락’(하루 4시간 자면 경기중학교에 합격하지만 5시간 자면 불합격한다)이라는 말이 있던 때였다. 13살 어린 소년이었던 서 교수가 잠까지 줄여가며 준비했던 입시였다.

“당시 우리 반에서 6명이 경기중학교 시험을 쳤습니다. 절반은 붙었고 절반은 떨어졌어요. 떨어진 이유는 하나같이 자연과목 18번 문제에 답을 무즙이라고 적었기 때문이었고요”. 서 교수는 마치 바로 며칠 전 시험을 보고 온 사람처럼 당시 상황을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당시 중학교 입시는 치열했다. 그는 “나 개인적으로는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통틀어서 중학교 입시가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몇 년 후배들은 고등학교가, 그 뒤로는 대학교가 목표였지만 우리 때만 해도 중학교 진학이 ‘남들보다 더 배우는 것’이었어요.”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그에게 낙방의 기억은 중학교 시험뿐이었다. 중앙중학교를 졸업한 뒤에는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에 무난히 진학했다.

“50년 넘게 지난 지금도 ‘무즙’이 정답이라고 확신해요”

‘무즙도 정답으로 인정한다’는 법원의 결정이 나왔지만 혜택을 받지는 못했다. 당시 소송에 참여했던 아이들은 하나같이 ‘돈이 있는 집 애들이거나 힘깨나 쓰는 집안 아이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어느 날 몇 명이 학교에 나오지 않았더군요. 왜 나오지 않았는지 확인해봤더니 경기중학교로 갔다고 하더군요. ‘있는 자와 없는 자’의 차이를 알게 됐다고 해야하나, 뭔가 허탈한 기분을 느꼈었죠”라고 말했다.

그 뒤로 많은 세월을 보냈다. 시험지 앞에서 전전긍긍했던 소년은 이제 대학교수가 돼서 직접 문제를 출제하는 입장이다. 지금은 그 문제의 답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디아스타제는 녹말을 당으로 바꿔주는 효소잖아요. 가령 ‘비타민C가 필요한데 사과가 없으니 무엇을 먹어야 하느냐’라는 문제가 있다고 해 봅시다. 그러면 답으로 비타민C가 들어 있는 귤을 먹는다든지, 바나나를 먹는다든지 해야 맞는 것이죠. 비타민C가 필요하니 비타민C를 먹으라는 것은 문맥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 것이잖아요. 디아스타제가 무슨 알약 이름이라면 모를까 효소를 직접 넣으라는 것은 정답이 될 수가 없는 거죠”

서 교수는 “무즙파동 문제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없애는 주입식 교육이 만든 대표적인 부작용 사례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50년 묵은 억울함 같은 것이 아니었다. 이제 그는 교육자의 한 사람으로서 당시를 비판했다. “주입식 교육이라는 것이 그런 겁니다.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외우지 못하면 그냥 그 자체로 한 대 맞는 거죠. 그런데 왜 물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지 못하는지 궁금해 할 수 있거든요. 이런 식으로 창의성을 하나하나 죽여 가는 것입니다”. 이공계 대학 교수의 말이라 더 설득력이 있었다.

그는 오늘날의 교육환경도 자신이 겪었던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느끼고 있었다. ‘입시중심의 교육’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입시제도가 여러 차례 바뀌는 동안 많은 학생들을 받아서 가르쳐 봤지만, 외국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학생들의 창의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은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그는 “창의력이라는 것은 18세 이전에 어느 정도 완성되는 것입니다. 대학에서 이런저런 노력을 기울이지만 큰 효과를 보긴 어려워요”라며 “한국에 노벨상 수상자가 없는 이유도 입시위주 교육이 원인이라고 봅니다”라고 말했다.

대학서열이 입시전쟁 원인, ‘대학 클러스터’ 도입해야

5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고 수많은 제도 변화가 있었는데도 어째서 입시 위주의 교육문화가 변하지 않는 것인지, 서 교수의 생각을 물었다. 그는 “학벌주의 때문”이라고 답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각 대학의 서열을 줄줄이 읊어낼 수 있도록 돼 있습니다. 이런 우월감과 열등감에 에너지를 낭비하는 거죠”..

해법은 있을까. 서 교수는 ‘대학의 클러스터(cluster)화’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대학들이 그 안에서 우열을 구분할 필요가 없는 일종의 묶음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미국, 독일 등 선진국의 대학에서 나타나는 흐름이다.

“미국을 예로 들면 예일대학교에 간 학생에게 ‘왜 스탠포드를 가지 않고 예일대에 갔느냐’는 식의 질문을 하지 않습니다. 클러스터 내에서는 어디를 가도 큰 차이가 없다는 인식이 있거든요. 주립대학끼리도 버클리, 일리노이, 미시간, 플로리다 등 클러스터가 형성돼 있습니다. 그만그만한 곳에 원서를 넣고 어디든 하나 걸리면 되는 겁니다. 대학간 클러스터가 단단한 국가에서는 입시전쟁이 치열하지 않습니다”.

이어 서 교수는 “30~40년 걸렸지만 포항공대-카이스트-서울대공대 클러스터가 만들어졌습니다. 이런 형태가 법학대학, 경영대학 쪽으로도 넓어지도록 해야 합니다”라면서 “단숨에는 어렵고 시간이 필요할 겁니다”라고 말했다.

◇서의호 교수는?△1952년 서울 출생 / 중앙중학교,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졸업 / 카이스트 대학원 산업공학 석사 △스탠퍼드대학교 대학원 경제공학 석사 △일리노이대학교 경영정보시스템 박사 △前 현대그룹 종합기획실 연구원 △前 숭실대학교 산업공학과 전임강사 △前 테네시텍대학교 경영학과 조교수 △前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경영학과 조교수 △現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 80세 할머니들과 40대 창업가의 성공 신화 ‘우키하의 보물’
    80세 할머니들과 40대 창업가의 성공 신화 ‘우키하의 보물’
  • [카드뉴스] 골다공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카드뉴스] 골다공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 괴테 소설 원작 뮤지컬 ‘베르테르’, 페어 포스터 공개
    괴테 소설 원작 뮤지컬 ‘베르테르’, 페어 포스터 공개
  • 종신보험의 새로운 활용법, 보험금청구권신탁이란?
    종신보험의 새로운 활용법, 보험금청구권신탁이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