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도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팔십처럼만! <상상 팔십(常常 八十)>의 저자 김혜원 인터뷰

기사입력 2015-12-18 07:43 기사수정 2015-12-18 07:43

저자 김혜원은 1935년에 태어나 서울대 사범대를 졸업해 선생님이 됐고, 한 남자의 아내가 되어 네 아이의 엄마, 손녀 아린이의 할머니가 됐다. 누군가의 아내, 엄마, 할머니보다는 ‘김혜원씨’로 불리는 게 좋다는 그녀는 올해 80세를 맞아 그동안 고민해온 인생의 의미와 행복을 담은 에세이 <상상 팔십>을 펴냈다. 서울구치소와 청주여자교도소에서 재소자 교화활동을 하며 느낀 점, 장기기증 서약의 의미, 삶에 대한 성찰과 애정 등이 담겨 있다.


Interveiw. <상상 팔십(常常 八十)>의 저자 김혜원 작가

▲김혜원 작가와 <상상팔십>의 표지.(웜홀 제공)
▲김혜원 작가와 <상상팔십>의 표지.(웜홀 제공)

팔팔했던 시절 삶은 당연히 살아지는 것이었지만, 팔십이 되니 하루하루가 기적이라고 한다. 군더더기가 다 떨어져 나간 ‘참[眞] 나’에 대한 탐구야말로 나이 듦의 열매라고 말하는 그녀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상상 팔십(常常 八十)> 책 제목의 의미

첫 글자 상은 ‘항상 상(常)’입니다. ‘상’을 연거푸 써서 ‘항상’ 또는 ‘늘’의 뜻을 강조하려 했습니다. 팔십은 문자 그대로 올해 제 나이 80세고요. 얼마나 더 살 수 있을지 모르지만 현재의 강건함을 항상 유지하면서 살고 싶다는 희망을 뜻합니다. 책에 드러낸 나의 삶과 꿈에 대한 열정을 마치 여덟 살 아이와 열여덟 살 청춘처럼 간직하고 싶다는 소망도 담겨 있습니다.


희망독자를 두 돌 지난 손녀로 지정한 이유

요즘은 책이 흔해진 반면, 책 읽는 사람은 감소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귀한 나무의 희생으로 탄생한 내 책이 인쇄물 공해로 작용하는 건 아닐까 두려움이 앞섰습니다. 그 두려움을 넘어서는 당위성을 찾고 싶었죠. 그때 떠오른 이유 하나, 손녀 아린이에게 나를 기억케 하고 싶은 욕망입니다. 그가 커서 이 글을 읽으며 할머니의 기쁨과 슬픔, 절망과 성취감을 느끼고 천국에 있는 나를 잠시라도 그 애 가까이로 불러내준다면 얼마나 행복할까요.


‘할머니’가 아닌 어떤 호칭으로 불릴 때 가장 기분이 좋은가?

한국 사회는 직위나 직급을 딴 호칭을 사용하다 보니 전업주부로 살아온 여성에게는 마땅한 호칭이 없죠. 그래서 편의상 젊어서는 ‘아가씨’, 중년에는 ‘아주머니’, 중년 이후에는 ‘할머니’라고 불리는 게 아닐까요. 나는 아린이 할머니임에는 틀림없지만 늙었다는 이유로 다른 사람에게도 ‘할머니’로 취급 받고 싶지는 않아요. ‘할머니’라는 호칭 속에는 대가족제도 속에서 지녔던 존경과 사랑의 이미지보다는 늙어 무능하고 시대에 뒤처지는 존재라는 비하의 그늘이 어리기 때문입니다. 엄연히 등단한 작가이니 ‘김 작가님’ 또는 ‘김 선생님’으로 불리고 싶습니다. 아니면 ‘김혜원씨’도 좋습니다.


장기기증 서약의 계기와 지금의 심정

오랫동안 사형수와 재소자 교화활동을 하며 눈뜨게 된 세상이 있습니다. 비록 끔찍한 범죄로 극형을 받는 이들이지만 참회와 반성을 통해 장기기증이나 시신기증을 하며 아름답게 삶을 마무리하는 모습을 보았던 것입니다. 죽으면 한 줌의 재가 되거나 땅에 묻힐 덧없는 육신이 산 사람들에게 유익을 끼칠 수 있다면 그들을 교화했던 내가 장기기증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장기이식을 받는 사람일지라도 적지 않은 비용 부담에 시달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장기기증 서약과 동시에 장기기증운동본부에 소액의 후원금도 내고 있습니다. 젊어서는 이런 점에 착안하기가 어렵지만 살 만큼 산 노년이라면 삶을 어떻게 마무리 짓고 갈 것인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죽음을 생각한다는 것은 끔찍한 게 아니라 지금 주어진 삶을 더 소중하게 여기고 현재에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성찰을 줍니다.


서울구치소에서 사형수 교화 활동을 하던 때 가장 기억에 남는 일화

서울구치소에서 만난 최초의 사형수는 1975년에 17명의 무고한 생명을 살해한 사형수 김대두였습니다. ‘살인마’였던 그와의 만 1년간의 경험은 내 인생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때까지는 엘리트 의식에 젖어 네모반듯한 모범생 생활을 지향했는데, 우리 사회의 어둡고 음습한 구석을 보고는 경악했습니다. 그 충격은 위로만 향하던 마음의 눈을 아래로도 뜨게 했고 삶의 자리를 좀 더 낮은 곳에 깔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는 처절한 반성을 통해 새 사람이 되었고 서울구치소에 수많은 선행 미담을 남기고 1976년 12월 28일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습니다. 평생 그를 잊을 수 없습니다.



△김혜원 작가

저서 <딸들의 아리랑>, <하루가 소중했던 사람들>, <날마다 일어서는 부부>, <외진 들에 피다> 등.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중년이 마음을 다스리는 법… 글은 어떻게 삶을 치유하는가?
    중년이 마음을 다스리는 법… 글은 어떻게 삶을 치유하는가?
  •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