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대열의 역사의 그 순간] 삼국시대 서로 말이 통했을까?

기사입력 2016-05-02 08:37 기사수정 2016-05-02 08:37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

삼국시대 한반도와 만주에 살고 있던, 오늘날 ‘한국인’이라고 부르는 우리 선조들 간에 말이 통했을까?

언어의 진화 속도는 엄청나게 빠르다. 오늘날 어린아이들이 하는 말을 어른들이 못 알아듣는 걸 보면 알 수 있다. 천년 넘게 고립되어 진화되어 온 제주도 방언을 본토 사람들이 못 알아듣는 건 당연하다. 산이나 강으로 나눠진 채 교류가 없이 지나온 삼국시대 선조들 간의 말이 다를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삼국시대는 전체적으로 보면 한국사에서 가장 역동적인 시기였다. 삼국 간에는 물론이고 말갈, 부여, 낙랑, 마한, 진한, 변한, 가야, 왜 등 주변 국가들과도 끊임없이 접촉하고 충돌하면서 일면 국제정치의 냉혹함으로 보이지만 동시에 우리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간 시기였다.

‘정체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언어이다. 같은 말을 쓰고 서로 간에 말이 통하면 ‘우리라는 감정(we-feeling)’을 느끼게 된다. 고대 그리스에서 ‘야만인’은 우선 그리스 말을 쓰지 않아 말이 통하지 않는 이어인(異語人)을 말한다. 언어는 사용하는 사람의 고유한 지식과 역사, 세계관을 담고 있기 때문에 정체성의 출발점이며 문화적 보편성으로, 나아가 오늘날 관점에서 ‘민족’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삼국 간에는 사신이 수시로 교환되었다. 과연 이들이 ‘한국어’의 초기 단계라고 부를 수 있는 ‘우리말’을 사용했을까, 그리고 ‘글’은 중국의 ‘한자’만으로 교신했을까? 필자는 이 의문을 풀기 위해 원시적인 방법이지만 <삼국사기>에 나타난 기록들로부터 유추해 보았다.

자세히 읽어보면 <삼국사기>는 삼국 간의 접촉을 기술하는 방법에서 차이를 보인다. 우선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표현은 파사 이사금 26년, ‘백제가 사신을 보내 화친을 청했다’, 고구려 동천왕 22년 ‘신라가 사신을 보내와 화친을 맺었다’ 등이다. 이 사례들은 이들이 어떤 ‘말’이나 ‘글’로 의사소통을 했는지 충분한 정보를 주지 않는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표현들은 어떤가? 내물왕 18년 ‘백제왕이 글을 보내 말하기를[百濟王移書曰]’, ‘우리 왕이 ‘대답해 말하기를[答曰]’, 눌지왕 34년 ‘고구려 사자가 와서 말로 통고하기를[使來告曰]’, 고구려 장수왕 12년 신라의 사신을 ‘왕이 특별히 두텁게 위로했다.[王勞慰之特厚]’, 백제 개로왕 21년 고구려 승려 도림이 ‘문 앞에서 고하기를[詣王門告曰]’, ‘왕을 모시고 앉아 조용히 말하기를[從容曰]’ 등은 표현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삼국 간에 어느 정도 의사표현이 자유스러웠을 것이라 짐작된다. ‘열전’ 제1 ‘김유신’ 편에는 김춘추가 연개소문에게 백제를 치자고 청한 데 대해 고구려가 거부하는 대화가 나온다. 이후 옥에 갇힌 김춘추가 고구려왕이 총애하는 선도해(先道解)에게 뇌물을 주고 두 사람은 토끼와 거북의 설화를 주제로 ‘농담을 나눈다’ 그리고 ‘석방되어 신라 국경을 넘으면서 고구려 호송인에게 그들을 속였음’을 말한다.

▲충남 부여의 서동요 테마파크. 서동과 선화공주는 어떤 말로 대화했을까.
▲충남 부여의 서동요 테마파크. 서동과 선화공주는 어떤 말로 대화했을까.

고구려는 개로왕을 잡아 ‘얼굴을 향해 세 번 침을 뱉고 곧 죄목을 헤아린 다음’ 죽였다. 백제 항복 당시 신라 태자 김법민(金法民, 후일 문무왕)이 의자왕의 아들인 부여융(夫餘隆)을 말 앞에 꿇어앉히고 ‘꾸짖는다’. ‘열전’, ‘김인문’ 편에는 고구려가 멸망하고 보장왕이 잡히자 ‘인문이 고구려왕을 당의 영국공(英國公) 이적(李勣) 앞에 꿇어앉히고 그의 죄를 헤아려 꾸짖었다. 고구려왕이 두 번 절을 하자 영국공이 그에게 답례했다’. 김인문은 보장왕에게 직접 말을 했으며 영국공은 보장왕이 절을 하자 몸짓으로 답례했다는 것이다. 그 외 백제 무왕(武王)인 서동(薯童)과 신라 선화공주(善花公主)의 설화(<삼국유사>, ‘기이’ 제2) 등, 말이 통하지 않았다면 불가능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부분이 많다.

삼국 간 언어의 차이는 오늘날 서로 다른 방언 정도인 듯하며 이를 극복하는 데에 큰 어려움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오늘날 언어에 관한 간단한 이론 한 가지를 덧붙여 보자. <육체의 언어(Body Language)>에 관한 연구로 알려진 앨버트 메라비언은 3V 이론을 제시한다. 얼굴을 마주보는 대화에서 상대방이 전하려는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데 언어의 의미(verbal 혹은 words)가 7%, 말의 억양(vocal 혹은 tone of voice)이 33%, 표정(visual/ facial, body language)이 55%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우리는 상대방이 하는 말의 ‘언어적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표정이나 몸짓을 ‘보고’ 혹은 말의 억양을 ‘느끼고’ 상대방이 전하려는 메시지의 ‘의미’를 ‘인지하고’ 받아들인다. 남녀가 싸울 때 여자가 “I hate you(난 네가 싫어!)”라고 해도 남자는 오히려 섹시한 것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최근 국어학자들은 <삼국사기> 34~37권에서 삼국의 지리가 한자로 기록된 것을 거꾸로 유추하여 당시의 우리말을 찾으려고 한다. 우리글이 존재하지 않던 시대에 원래의 지명을 한자로 음역한 것이 많은데 언어학적 연구를 통해서 그 기원을 추적하면 삼국은 유사한 언어를 사용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중국 고대 진(秦)에서 수-당 시대 중국어의 변천과 우리말의 변천을 통해 우리말의 원형을 찾아가는 작업인데, 설명이 전문적이어서 필자는 이해하기 힘들었다.

예를 들어 <삼국사기> 44권에 나오는 ‘居柒夫 或云 荒宗(거칠부 혹운 황종)’은 ‘거칠 황’ ‘부와 종은 우두머리’라는 걸 이해하면 ‘거칠부라고 발음하고 (혹은) 이것은 황종으로 쓰는’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세국어에서 ‘거칠’은 ‘거츨’로 발음된다. 그러면 그 이전인 삼국시대에는 이를 어떻게 발음했는지, 또 ‘거칠’의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삼국이 비슷하게 사용했는지 등은 또 다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 단서는 중국 ‘24서’ 중 하나인 <양서(梁書)>, ‘동이열전’, ‘신라’ 편에 나온다. ‘신라는 문자가 없고 나무를 조각하여 편지를 했다. 말은 백제인을 기다려 통했다’는 구절이다. 중국인들이 신라인들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중국과 교류가 잦은 백제인이 통역했다는 것인데, 이것은 백제인과 신라인 간에는 서로 말이 통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증거가 될 것이다.



△ 구대열 이화여대 명예교수

서울대 영문과 졸, 한국일보사 기자, 런던정경대 석ㆍ박사(외교사 전공).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통일학연구원장 등 역임. 저서<삼국통일의 정치학><한국 국제관계사 연구> 등.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새해맞이 무료 연하장 5가지
    [카드뉴스] 새해맞이 무료 연하장 5가지
  • [카드뉴스] 고혈당증, 어떻게 관리할까?
    [카드뉴스] 고혈당증, 어떻게 관리할까?
  • “노년에도 늘 아름답게” 日노인 위한 ‘간호 미용연구소’
    “노년에도 늘 아름답게” 日노인 위한 ‘간호 미용연구소’
  • ‘위기를 기회로’ 생활비 아끼는 중년 맞춤 짠테크 솔루션은?
    ‘위기를 기회로’ 생활비 아끼는 중년 맞춤 짠테크 솔루션은?
  • “천만노인시대, 미래세대의 부담 경감 위한 사회적 합의 필요”
    “천만노인시대, 미래세대의 부담 경감 위한 사회적 합의 필요”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