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보가 만난 사람] 압구정 멋쟁이와 나누는 유쾌한 이야기

기사입력 2016-05-02 08:39 기사수정 2016-05-02 08:39

시니어돌 서예가 하석 박원규

주 무대는 압구정이다. 마피아가 주로 애용한다는 보르살리노 모자와 젊은 층이 열광하는 디젤 청바지를 즐겨 입는, 멋을 제대로 아는 사람. 패션 감각이 조금이라도 빠진다 말하면 서러워할 이 남자의 직업은 ‘서예가’다. ‘서예가’라고 해서 갓 쓰고 도포 자락 휘날리며 나타날 것으로 생각했나? 완벽한 오산이다. 현재라는 프리즘으로 시공간 너머와 호흡하는 서예가 하석 박원규(何石 朴元圭·69)를 브라보 마이 라이프가 만났다.

서예가 하석 박원규(이하 하석)는 만나기 전 겁부터 났다. 먹 묻힌 붓 들어본 지 어언 20년은 됐다. 인터넷으로 검색한 하석의 기사나 인터뷰는 만만치 않은 도량 아니면 읽을 수도, 이해할 수도 없다. 조금이나마 가깝게 하석을 느꼈다면 그건 임권택 감독과 영화 <춘향뎐>, <취화선(醉畵仙)>, <천년학(千年鶴)> 작업을 함께했다는 정도. 하석을 만나기 전 첫인상은 그랬다. 마침내 하석의 작업실 석곡실(石曲室) 문이 열렸다. 생각지 못한 젊은 청년(?)이 빼꼼 문을 열어준다. 세련된 옷차림, 칠십을 바라보는 하석이 맞나 싶다. 하지만 생각도 잠시.

“아유, 나 같은 사람 인터뷰해서 뭐해요. 그냥 붓 잡아 글 쓰고 전각 공부한 사람이 뭐가 궁금해요?”

구수한 전라도 사투리를 듣는 순간, ‘주소는 바로 찾아왔구나!’

부잣집 아들로 산 세월에 대한 고마움

하석은 매일 석곡실에 들어서자마자 일종의 의식을 치른다. 돌아가신 부모님 사진과 마주하며 아침 문안을 드리는 것. 하석은 김제평야 만석꾼의 아들로 태어나 직장생활 한 번 없이 살았다.

“아버지 말씀이 ‘먹고 사는 것은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조금 부지런하면 먹고는 산다. 그런데 남자는 꿈을 크게 가져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하석은 선친에 대해 ‘시골 농부였지만 굉장히 깨어있는 어른’이었다고 회고했다. 시대를 앞서간 부모의 지원 덕에 진정으로 하고 싶은 것에 접근하며 살아왔다.

알 수 없는 끌림, 서예에 빠지다

하석이 서예의 매력에 빠진 건 이종사촌 집에 살면서 고등학교 다닐 때다.

“검사 집안이라 그런지 서화 작품이 많았어요. 집에 걸려있는 작품을 보고 한순간에 빠졌습니다.”

이때부터 하석은 길을 걷다 어려운 한자가 있으면 그대로 그려 한문교사 조두현(1925~1989)을 찾아갔다. 조두현은 스테디셀러인 ‘한시의 이해’를 쓴 작가다. 하석이 서예대가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준 스승 중 한 명. 조 선생은 하석의 서예 스승 강암 송성용(剛菴 宋成鏞·1913~1999)을 만나게 해주는 중요한 연결고리가 됐다.

“한 녀석이 흰 봉투 하나들고 조두현 선생님을 찾아왔는데 자기 아버지 글씨를 가지고 왔다고 했어요. 그게 강암 선생 글씨였습니다. 조 선생이 남성여고 가정관 현판을 강암 선생께 부탁했더라고요.”

하석은 강암의 실력을 알게 된 뒤 그가 산다는 전주의 여러 곳을 찾아다녔다. 그리고 마침내 68년 강암 문하에 입문했다.

“전북대 법대에 다닐 때는 서예 공부를 위해 동양철학이나 국문과, 동양사 쪽으로 전과하고 싶었어요. 그런데 기회를 놓쳐서 법대에 남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각 과목 교수를 찾아가 수업을 꼭 들어오겠지만, 법 대신 한문 공부를 할 거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도 장학금을 받고 다녔다는 하석. 수업 시간을 열심히 들어서 시험문제 정도는 쉽게 알 수 있었다. 오히려 문제를 물어오는 학생도 있었단다.

“C 학점은 민법 말고는 없습니다.”

그의 인생에 씻을 수 없는 오점 혹은 역경은 ‘아마 전과를 하지 못한 것’과 ‘민법에서 받은 C학점’일 거라고 생각했다. 하석은 무슨 얘기를 해도 살면서 어려운 게 없었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말이 잠시 대학 이야기로 흐르면서 젊은 시절 연애 이야기가 듣고 싶어졌다.

“연애라……. 난 다 차여서…….”

의외의 대답이었다. 김제평야 대지주의 아들이 여자한테 차이다니.

“까무잡잡하고 눈만 빤질 했는데 누가 좋아하겠습니까?”

그래도 고등학교 때 연서는 몇 장 써봤다고 했다. 언젠가 편지를 받았다는 여고생을 한번 만난 적이 있다고 했다. 고교동창회 자리였다.

“내 고등학교 친구랑 결혼한 거예요. 난 잊고 있었는데 편지를 받았었다고 얘기해주더라고요.”

▲하석 한글 작품 '나무' : 단어가 보이기 전에 한그루 소나무가 서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하석 한글 작품 '나무' : 단어가 보이기 전에 한그루 소나무가 서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대만에서 마침내 무림고수를 만나다

하석의 연애 얘기로 즐거워졌을 때 대만 유학 이야기로 자연스럽게 흘러갔다. 이 또한 무림고수 일대기를 듣는 것만큼이나 흥미로웠다. 기회는 1979년 제1회 동아 미술제에서 대상을 받고 난 뒤 찾아왔다.

“당시 동아일보가 대만과 관계가 아주 좋았습니다. 장다첸(張大千·1899~1983)을 비롯해 대만 최고 작가는 전부 모셔다 전시회를 열어줬어요. 그때 동아일보 측에서 권유했습니다.”

1회 대상자를 위한 특급 기회(?)였다. 하지만 그는 학위를 목표로 하지 않았다.

“견문을 넓히고 우물 안 개구리처럼 살지 않으려고요. 나의 현주소가 어딘지, 이 사람들은 뭘 어떻게 하는지 알고 싶었어요.”

하석은 서예 분야 고수들을 만나 기술을 연마하고 배움을 얻어나갔다. 그들이 쓰고, 깎고, 그리는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수업이었다. 대만에서 유학하는 동안 언어의 장벽은 어떻게 넘었는지도 궁금했다.

“나 같은 돈 있는 사람이 치사하게 그러겠어요. 통역을 썼지요. 공부하는 사람이 정확하게 물어야 하잖아요. 그래서 화교 유학생을 통역사로 고용했습니다(웃음).”

이 시기 하석은 전각 스승인 독옹 이대목(獨翁 李大木·1926~2002) 선생도 만난다. 이들의 인연은 동아미술제 대상을 타기 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각을 독학으로 공부할 때 책을 사러 가끔 명동에 갔습니다. 중국 대사관이 당시는 대만 대사관이었어요. 입구에 있는 중국서점에서 해교인집(海嶠印集第一集)을 찾아냈습니다.”

하석은 자리에서 일어나 서재에서 해교인집을 찾아 이대목의 전각을 보여줬다.

“이 각을 보세요. 재밌죠?”

언뜻 봐선 삼지창 모양인데 무엇을 느끼라는 건가.

“‘대’는 음각이고 ‘목’은 양각입니다. 음각과 양각 두 개를 한 공간에 새긴 건 처음 봤어요.”

하석은 대만 대사관을 통해 이대목의 주소를 알아냈다. 그리고 한문 실력을 총동원해 자신의 호와 이름 석 자를 전각에 새겨 달라는 편지를 썼다. 전각을 새겨주는 대가로 벽천 나상목(碧川 羅相沐·1924∼1999)이 그린 산수화도 동봉했다. 1년 쯤 대만에서 소포가 하나 왔다. 기쁨도 잠시. 열어보는 순간 이대목의 솜씨가 아니라는 것을 직감했다. ‘제 눈으로 보기에 이것은 선생님의 각이 아닙니다. 선생님 솜씨가 이 정도면 소장할 가치가 없습니다.’

하석은 이렇게 편지 한 통과 받은 전각을 싸서 다시 대만으로 보냈다. 그 이후 제대로 된 전각이 왔다. 하석이 몇 살인지도 모르면서 ‘하석 선생’이라고 쓴 전각을 만들어 보낸 것이다. 하석은 대만에 가자마자 이대목부터 만났다고 했다.

“너무 반가웠어요. 보통 인연은 아니지 않습니까? 그리고 처음 만남 자리에서 제 이름을 전각에 새기는 작업을 끝까지 보여주셨습니다. 하루가 걸렸어요. 저는 옆에서 열심히 지켜봤습니다.”

대만에서 유학하는 동안 이대목과 매주 만나며 돈독한 스승과 제자로 지냈다.

▲하석 한글 작품 '어울림' : 글자의 자음과 모음이 유기적으로 흐르면서 말 그대로 어우러짐을 표현한 작품
▲하석 한글 작품 '어울림' : 글자의 자음과 모음이 유기적으로 흐르면서 말 그대로 어우러짐을 표현한 작품

서예 대가는 아직도 이루고 싶은 것이 너무 많다

하석은 세계 중심인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세계서예올림피아드’를 여는 게 꿈이다. 여기에는 한국 서예에 대한 하석의 걱정이 담겨있다.

“중국과 일본은 서예 인구가 많죠. 우리는 중국 인구에 막히고 일본의 축적된 문화에 안 됩니다. 우리 젊은 세대들은 한문과 꽤 멀어졌습니다. 나 때 하지 않으면 어떤 의미에서 영원히 (세계 서예계에서) 설 길이 없을 겁니다.”

혹시 ‘세계서예올림피아드’가 열리면 우승할 자신이 있는지 물어보았다.

"내가 감히 ‘자신 있다’라고 한다면……. 그냥 알아서 짐작하기를 바랍니다.”

한문 작업을 많이 하고 있지만 결국 마지막 목표는 한글이다. 한글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것만큼 어렵고 고민되는 부분도 없다.

“내가 쓰는 한글은 달라야 합니다. 창조는 나 혼자 해야 합니다. 어떤 작품을 하더라도 나에게 계속 묻습니다. 혼자만 할 수 있느냐고 계속 물어요. 누구도 흉내 못 내는 것인가? 이 정도 가지고? 늘 생각을 해요. 그러나 즐거운 고민입니다."

패션의 완성, 예술가 느낌 가는 대로

사실 그의 미적 감각은 서두에서 밝혔듯 패션에서부터 드러난다. 석곡실 입구에는 세련된 운동화와 부츠가 가지런히 놓여있다. 젊은 예술가라 느낄 정도로 색깔 선택도 과감하다.

“아무래도 나이가 있으니까 1년에 한 번을 사도 질 좋은 것을 사는 게 현명한 쇼핑이라 생각합니다. 구두는 아테스토니 블랙라벨을 선호하고요.”

15년이 됐다는 그의 명품 구두는 어제 산 듯 깨끗한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명품을 명품답게 보관할 것! 하석의 철칙이다. 그가 입은 청바지는 젊은층이 선호하는 고가 브랜드. 젊은이만큼 멋지게 입으려면 몸매 유지는 필수. 하석은 일주일에 세 번은 꼭 사이클 25km를 탄다. 저녁은 아주 가볍게 먹고 매일 4시에 일어나는 규칙적인 생활을 30년째 이어오고 있다.

하석과의 시간은 상상 이상으로 즐거웠다.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국으로 새삼 익숙하진 바둑만큼 서예도 가깝게 다가왔다고나 할까. 하석의 붓에는 과거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이 있다. 시니어돌 서예가 하석 박원규! 이 시대를 대표하는 예술가로 오래오래 사랑받길 바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유류분 제도 위헌 결정, 상속 문화에 영향 줄까?
    유류분 제도 위헌 결정, 상속 문화에 영향 줄까?
  • [카드뉴스] 배우 김지영 “나이 든 제가 좋아요”
    [카드뉴스] 배우 김지영 “나이 든 제가 좋아요”
  • 겹겹이 쌓인 도시의 시간을 걷고, 읽고, 쓰다
    겹겹이 쌓인 도시의 시간을 걷고, 읽고, 쓰다
  • [카드뉴스] 커피 명장 박이추의 자기평가
    [카드뉴스] 커피 명장 박이추의 자기평가
  • 고령화 대응 AI 개발자, 인생의 진국 찾는 ‘컵누들러’로 변신
    고령화 대응 AI 개발자, 인생의 진국 찾는 ‘컵누들러’로 변신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