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관계는 전 연령대에서 모두 중요하지만 시니어들에게는 특히 중요한 요소이다. 남자들은 나이가 들면서 남성 호르몬이 줄어들어 여성화되어 간다고 한다. 잘 삐치고 잘 따진다며 빠지지 말고 삐치지 말고 따지지 말라, 삐지더라도 삐치더라도 용서하자는 뜻의 ‘빠삐따 빠삐용’이라는 구호가 인기이다.
시니어들은 마음이 여려져서 조그마한 일에도 상처를 잘 입는다. 누가 싫은 소리를 하면 흘려듣지 못하고 다툼이 잃어나거나 마음을 크게 상한다. 그러므로 누가 누구에게 지시하거나 싫은 소리를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군대나 직장에서 떠난 지 오래 된 사람들이다. 특히 남자들은 직장에서의 버릇이 남아서 아내에게 명령하듯 말한다 해서 종종 오해를 사는 경우도 많다.
어느 신문에 ‘유독성 인간(toxic people)’이라는 글이 실렸다. 어느 조직에나 한두 명은 꼭 있다고 한다. 매사에 부정적이고 끝없이 불평한다거나 본인은 영원한 피해자라고 언제나 비난할 대상을 찾는다는 것이다. 늘 자기 견해가 옳고 자기가 제일 똑똑하다는 것이다. 어쭙잖게 교만해서 남들에게 우월감을 갖기도 한다고 한다. 욕심과 질투심에 차서 남 잘되는 꼴을 못보고 남의 흉을 보며 뒤에서 험담하고 대단한 정보인양 떠든다고도 했다.
특히 부정적인 사람은 시비를 걸지 않고는 그냥 못 넘어간다. 찬물을 끼얹는 것이다. 당하는 사람은 기분이 상할 수밖에 없다.
이율배반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 내가 하면 로맨스고 남이 하면 스캔들로 보이는 것이다.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도 있다.
그렇다고 악한 사람이기보다는 성격이 둥글둥글하지 못하고 ‘모난 사람’이거나 모자라서 ‘못난 사람’으로 봐야 한다.
이런 사람과 대처하는 방법은 되도록 마주치지 말라는 것이다. 무서워서 피하는 것이 아니라 더러워서 피한다는 말이 맞다. 공연히 시시비비를 가리려 해봤자 상처만 입는다.
일반적으로 조직 생활을 해 본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가 있다. 조직 생활을 해본 사람은 상하 관계, 수평 관계를 늘 눈치를 살피며 살아 왔기 때문에 무난하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사람은 남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기 때문에 어딜 가나 삐걱대는 것이다.
학생들이라면 학교에서든 집에서든 어른들의 가르침을 받는다. 그러나 시니어들은 누가 가르치는 사람이 없다. 그래서 교만해져도 본인은 잘 모른다. 남들이 은근히 피하는 경우라면 혹시 본인이 유독성 인간이 아닌지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고 결국 죽을 때까지 못 고친다는 것이다.
인성을 수련하는 방법 중 하나는 책을 많이 읽는 것이다. 책이 스승인 것이다. 인문학 책들이 그렇다. 물론 인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 서적만 골라 읽는다면 도움은 되지 않을 것이다. 영화도 좋은 스승이다. 객관적인 시각을 갖도록 해준다. 물론 영화도 여러 가지이므로 흥미 위주보다는 인성에 도움이 되는 영화만 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