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상이 되어 자식들도 분가하여 빈 둥지가 되면 새로운 집을 찾는 것이 일반적이다. 큰 아파트나 집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의 3대 욕구는 의식주인데 이중 집은 인간의 행복의 질을 결정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 노인들의 가장 큰 바람이 자기가 사는 집에서 가족과 같이 생활하다가 죽는 것이라고 한다. 집에는 각종 추억이 깃들여 있고 자기만의 생활이 보장되며 인간관계가 이어지는 곳이다. 거동이 불편해져 가족이 돌보는 것이 힘들어지면 노인들은 대부분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으로 보내진다. 이 경우 프라이버시가 보장되지 못하고 인간다운 대접을 못 받기 때문에 삶의 질이 현격히 저하된다. 통계에 의하면 최근 1인 가구 수가 늘어난다고 한다. 일본에는 고독사 사람들이 많고 우리나라도 그러한 사례가 종종 매스컴에 보도된다.
공유주택에서 살기(shared house holding)는 새로운 주거형태이다. 주거비용을 줄이고 더불어 사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아직은 초창기이지만 더불어 함께 사는 사람들, 성리산 마을, 구름정원, 소행주 , 어쩌다 집, 푸른 마을 협동조합 등 주위에 공유주택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약해지는 가족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흔 이후 누구와 살 것인가』는 외국의 공동체 생활을 다룬 책이다. 캐런, 진, 루이스 3친구가 같이 공동생활한 실제 체험담이다. 공동체 생활을 하기에 필요한 생활규칙, 표준계약서 등도 다루고 있다. 타인과 공동체 생활을 한다는 것이 쉽지 않지만 시도해 볼만한 가치가 있지 않을까
지인이 더함플러스 협동조합을 운영하면서 50+세대를 위한 주거전환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관심이 있는 분들은 서울 50플러스재단 등에서 개설하는 강의를 들으시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