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봉덕사종(奉德寺鐘)’보다는 ‘에밀레종’이란 이름이 우리한테 친숙하게 다가오는 것은 이 범종에 스며 있는 설화 때문이 아닌가 싶다.
필자가 우리나라 사찰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범종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고등학생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수업 때면 과목의 본질보다는 국사 시간에나 걸맞은 것들을 재미있게 들려주던 국어 선생님 덕분이다. 하루는 선생님이 에밀레종을 타종할 때 울려 퍼지는 소리가 세계 으뜸이라고 강조하면서 오래전 경주를 방문한 스웨덴 국왕도 “지금껏 들어 본 범종 소리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감탄했다는 얘기를 해주었는데, 왠지 그때 들은 그 얘기가 한동안 마음에 남았다. (주해: 스웨덴 왕세자는 1926년 10월 10일 경주를 방문해 성덕대왕신종의 타종 소리를 들었다.)
그리고 유학 시절, 독일 언론에 구스타브(Gustav VI Adolf, 1882~1973) 스웨덴 국왕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 독일을 방문한 스웨덴 국왕에 대해 크게 보도하면서 독일 언론은 국왕이 고고학(考古學)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다면서 유럽 고대 유적지 발굴 현장에서 찍은 그의 모습을 함께 실었다. 그때 필자는 유럽에서는 고고학이 왕족이나 귀족에 의해 성장한 특별한 학문적 배경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순간 한 가지 생각이 필자의 머리를 전광석화처럼 스쳐 지나갔다. ‘혹시 저 국왕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에밀레종 소리를 듣고 극찬한 분인가?’
물론 국왕이 고고학에 일가견을 가지고 있는 건 사실일 것이다. 하지만 음색(音色)이나 음향(音響) 전문가는 아니라는 점에서 경주를 방문한 국왕이 감탄한 것은 손님으로서 인사치레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귀국 후, 필자는 경주국립박물관 야외에 따로 설치한 종각에 걸려 있는 범종을 보는 순간 발걸음을 재촉했다. 그리고 찬찬히 범종을 살펴보며 생각했다. ‘그런데 왜 스웨덴 국왕은…….’ 범종은 일반 사찰에 있는 범종과 달리 지면(地面)에 가깝게 걸려 있었다. 그리고 범종 바로 밑바닥이 오목하게 파여 있었다. 그걸 보면서, 타종을 하면 종신 내부에서 발생한 음파(音波)가 회오리를 치면서 밖으로 나오고, 그렇게 나온 음파가 옴폭 파인 바닥에서 다시 반향(反響)을 일으켜 특별한 음률(音律)로 이어질 거라고 나름대로 해석했다.
그리고 꽤 많은 시간이 흐른 후, 우리나라의 종두(鐘頭) 부위가 중국이나 일본 것과 다른 점이 있다는 게 눈에 들어왔다. 육중한 종신을 천장에 매달기 위해서는 용(龍)을 장식한 고리(걸개)가 필요한데, 국내 범종에는 거의 예외 없이 걸개 바로 옆에 음통(音筒)이 있다.
바로 여기에 아름다운 음파의 비결이 있는 게 분명했다. 중국과 일본의 종두에는 한결같이 음통이 없기 때문이다. 범종이 내는 음질을 위해 오래전인 7~8세기 통일신라 때 음통을 창안한 우리 선조들의 각별한 창의성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뿐만이 아니다. 종신 중간 부위의 직경보다 아랫부분의 하구(下口)가 좁은 것은 몸통 안에서 일어난 음파를 오래 간직하기 위한 구조라는 점도 예사롭지 않다. 이 또한 중국이나 일본의 범종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특징이다.
우리 범종의 이런 특색을 볼 때, 그 아름다움의 차이를 놓치지 않았던 스웨덴 국왕의 뛰어난 감음력(感音力)에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
>> 이성낙(李成洛) 현대미술관회 회장
독일 뮌헨의대 졸업(1966), 연세대의대 피부과 교수, 아주대 의무부총장, 가천의과대학교 총장, 가천의과학대학교 명예총장(현), 한국의약평론가회 회장(현), 간송미술재단 이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