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선의 고향 ‘여수’

기사입력 2017-10-08 12:13 기사수정 2017-10-16 08:53

[정유년에 정유재란]

정유년인 올해는 정유재란(1597.1~1598.12) 발발 420주년이다. 임진왜란으로부터는 427주년.

임진왜란이 치욕의 역사였다면, 정유재란은 왜군이 충남 이북에 발도 못 붙인 구국승전의 역사다. 그 전적지는 진주, 남원, 직산 등 삼남지방 곳곳에 있지만 옛 자취는 찾기 어렵다. 뚜렷한 자취가 남아 있는 곳은 왜군이 남해안을 중심으로 농성하던 성터들이다. 주로 경남 중동부 해안에 밀집한 왜성 터들도 오랜 세월 허물어지고 지워져 갈수록 희미해져간다. 왜성이라는 이유로 사적지 지정이 해제된 탓이다. 근래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그 중요성에 눈을 떠 옛 모습대로 복원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는 아직도 방치되어 있다. 치욕의 역사도 반드시 기억해야 할 역사다. 더 늦기 전에 지금 모습이라도 남겨둬야 한다.더 사라지고 훼손되기 전에 역사 현장 보전의 필요성을 일깨우고, 정유재란의 역사적 의미를 천착하기 위해서라도 그 흔적을 돌아볼 필요가 있어 <브라보 마이 라이프>에 게재하기로 한다.

▲진남관에 전시된 전라좌수영성 모형
▲진남관에 전시된 전라좌수영성 모형

거북선 없는 이순신, 이순신 없는 거북선, 거북선과 이순신 없는 임진왜란. 이 세 가지 가정 가운데 어느 것 하나도 성립될 수는 없다. 이순신이 없었으면 거북선이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거북선이 없었으면 이순신이 빛나기 어려웠던 것처럼, 그 둘이 없었다면 임진왜란은 너무도 부끄러운 국난이 되었을 것이다.

거북선이 이순신의 창제냐 모방이냐, 이런 논란은 아무래도 좋다. 중요한 것은 이순신이 거북선을 만들어 남해바다의 제해권을 틀어쥐었던 사실이다. 조선수군이 왜 수군을 만나는 대로 때려 부수어 병참선을 차단해줬기 때문에 조선은 망국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또 한 가지는, 큰 그릇을 알아보고 발탁한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혜안이었다. 아무리 훌륭한 장수라도 이순신이 그때 그 자리에 있지 않았다면 무슨 쓰임새가 있었겠는가. 서애는 이순신을 발탁하기 위해 온갖 지략을 다 썼다. 종6품 정읍(井邑) 현감을 정3품 전라좌수사로 등용해 남해바다를 맡기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이 가정만은 상상하기도 싫다.

전라좌수사는 지금으로 치면 전라도 동쪽 해역을 책임지는 해군 함대 사령관이다. 해역이 넓은 경상도와 전라도에는 각각 좌우 수사를 두었다. 충청, 경기 같은 곳에는 한 사람에게 책임을 맡겼다. 남해는 그만큼 중요한 바다였다.

지금도 낙하산 인사라는 게 있어 종종 물의가 일어나지만, 생각보다 합리적인 사회였던 조선시대에 일곱 계단을 한꺼번에 뛰어오르는 인사란 꿈도 꿀 수 없는 일이었다. 위관장교가 일거에 별 둘의 장군이 된 벼락출세를 상상이나 할 수 있겠는가. 우의정 겸 이조판서 류성룡의 이순신 발탁인사 안이 올라가자 조정은 벌집을 쑤신 듯 시끄러웠다. 물리치라는 상소가 빗발쳤지만 임금의 신임이 깊었던 류성룡이 있어 인사는 성사되었다. 육군에서 뼈가 굵은 장수를 해군제독에 발탁한 것도 신묘한 인사였다.

▲여수 산소마을 굴강
▲여수 산소마을 굴강

이순신이 전라좌수영에 부임한 것은 임진왜란 발발 14개월 전인 1591년 2월이었다. 다른 수군 장수들이 무사안일로 날밤을 보낼 때 그는 왜적과 싸워 이길 궁리에 골몰했다. 좌수영 관할 지역인 오관(순천·보성·광양·흥양·낙안) 오포(방답·여도·사도·녹도·발포)를 순회하면서 전쟁 대비 태세를 점검하고, 전선 건조와 수리를 서둘렀다. 서류상의 명단뿐인 수군 병력을 실 전력으로 만들고, 전술 개발과 군기 확립을 위한 훈련을 서둘렀다.

그 가운데 거북선을 건조한 일은 장비가 적토마를 얻은 일에 비유될 일이었다. 거북선이 왜군에게 얼마나 무서운 배였는지 증명하는 기록들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윽고 적선(거북선)은 어립선(御立船)을 향하여 쳐들어와 활을 마구 쏘아 우군을 죽였으며, 웅수(熊手)로 우리 배를 끌어당기고 연초호(煙礁壺)를 발사해 우리 배를 불태웠다. 이리하여 적에게 배를 빼앗긴 자도 있었으며 바다에 뛰어든 자도 있었다. 적이 이런 사람들을 창으로 찌르고 긴 칼로 쳐 죽이고 활을 쏘아 우군 전사자가 50여 명에 이르렀다.”

<고려군각서(高麗軍覺書)>라는 일본 문헌에 전해져 오는 사천해전 상황이다. 어립선이란 사쓰마(薩摩) 영주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 기함을 말하며, 웅수란 자루가 긴 낫, 연초호란 폭탄 비격진천뢰를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기함의 피해가 이런 상황이었으면 다른 배의 사정은 볼 것도 없는 일이다. 거북선은 적진에 돌진해 부딪쳐 깨트리는 돌격전함이었다. 조총 위주의 단병접전((單兵接戰)을 주 전술로 삼는 왜 수군으로서는 어떻게 해볼 방법이 없었다.

좌우 양현에 열둘, 이물(선수)에 둘, 고물(선미)에 하나씩 화포구를 두어 포나 활을 쏠 때만 창을 열고, 볼일이 끝나면 닫아버렸다. 사격 목표를 찾을 수 없는 적선의 조총은 무용지물이 되었다. 두껍고 단단한 선재를 사용해 웬만한 포화에도 끄떡없었다. <정한위략(征韓偉略)>이라는 일본 문헌에는 “적의 배 가운데 전체를 철판으로 싼 것이 있는데, 우리 대포가 그 배를 부술 수가 없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무서운 용머리와 좌우 양현에서 불을 뿜고, 지붕이 쇠 송곳으로 된 철갑선”이라고 표현되었을 만큼 거북선은 그들에게 공포의 대상이었다.

▲선소 혜변의 계선주
▲선소 혜변의 계선주

처음 거북선을 출동시켜 시마즈 군을 깨트린 사천해전 후 임금에게 보고한 장계 <당포파왜병장(唐浦破倭兵狀)>에서 이순신은 거북선의 성능을 이렇게 자랑했다. “신은 섬 오랑캐 왜놈들이 쳐들어올 것을 염려하여 거북선을 만들었습니다. 앞에는 용머리를 달고, 그 아가리로 대포를 쏘았습니다. 등판에는 쇠못을 박았습니다. 안에서는 밖을 내다볼 수 있어도 밖에서는 안을 들여다볼 수 없습니다. 비록 왜적선이 수백 척이라 할지라도 그 가운데로 쳐들어가 포를 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돌격장이 타고 나왔는데 먼저 거북선으로 하여금 전선 가운데로 돌진시켜 천(天)·지(地)·현(玄)·황자(黃字) 등 여러 총통을 쏘았습니다.”

수백 척의 적진 한가운데로 돌진해 대오를 흩트리며 좌충우돌 적선을 깨트리고 불 지르는 모습은 상상만 해도 통쾌하다. <이충무공전서>에 수록된 그림을 보면 거북선은 용머리가 두 개나 달린 기괴한 모습을 하고 있다. 위의 것은 화포구로 쓰였고, 아래 것은 적선을 당파(撞破)하는 데 쓰였다. 크고 단단한 용머리로 적선을 들이받아 옆구리에 구멍을 내는 용도였다.

이순신은 마치 전쟁이 터질 날을 알고 준비한 사람 같았다. 때맞추어 거북선을 건조하고 포격실험을 마친 것이 왜적 침입 하루 전날이었다. <난중일기>에는 거북선 건조 이야기가 몇 번 나오는데, 임진년(1592년) 2월 8일 “거북선에 쓸 돛베 29필을 받았다”는 게 처음이었다. 4월 11일 일기에는 “순찰사(이광)의 편지와 별도의 목록을 순찰사 군관 남한이 가져왔다. 이날 비로소 돛베를 만들었다”라고 썼다. 거북선 제작에 상부의 지원이 일부 있었음을 짐작케 하는 단서다. 3월 27일에는 “거북선에서 대포 쏘는 것을 시험했다”라고 씌어 있었고, 4월 12일에는 “거북선에서 지자포, 현자포 쏘는 것을 순찰사 군관이 살펴보고 갔다”라고 썼다. 상급관 인사의 임석으로 보아 공식 사격훈련으로 볼 수 있다.

거북선 제작 총책은 조선기술이 뛰어난 군관 나대용(羅大用)이었다. 좌수사로 부임하자마자 전선(戰船)부터 살펴본 이순신은 크게 낙담했다. 장부에는 분명 30여 척의 전선이 있는 것으로 적혀 있었지만, 실전에 쓸 수 있는 것은 5척을 넘지 않았다. 180년 전 태종 때 있었다는 귀선(龜船) 만들기로 작심한 계기일 것이다.

그때부터 이순신은 전선 건조에 심신의 에너지를 쏟아 붓는다. 좌수영 산하에는 선소(船所)가 셋 있었다. 좌수영 본영 선소, 순천부 선소, 방답진 선소. 이 세 곳에서 각각 한 척씩 거북선을 만들기로 하고, 그 책임을 나 군관에게 맡긴 것이다. 물론 판옥선도 같이 만들었다. 그리하여 임진년 5월 경상우수사 원균의 요청을 받고 24척을 거느리고 출전할 수 있었다.

거북선은 목질이 단단하고 두꺼운 목재를 사용해 돌격선 임무를 충실히 수행했다. 거북선의 바닥재는 소나무, 비자나무, 굴피나무, 졸참나무, 느티나무 등 목질이 단단한 목재였다. 충격에 강한 설계와 나무못을 쓴 것도 배를 한층 견고하게 했다.

▲선소 지휘부와 군기고
▲선소 지휘부와 군기고

전문가들의 비교연구에 따르면 목재의 두께에도 큰 차이가 있었다. 우리 판옥선 두께는 4치[寸]였다. 왜선 아타케부네(安宅船·3치)보다 한 치가 두꺼웠다. 골조를 요철(凹凸)로 짜 맞춘 목공기술도 한몫했다. 배 바닥이 회전에 용이한 평저선이어서 첨저선인 왜선에 비해 속도는 다소 느려도 방향 회전이 빨랐다. 왜선들은 속도가 빠른 대신 배를 돌리려면 회전 반경이 커 행동이 둔했다. 돛의 성능도 달랐다. 외돛배인 왜선은 순풍에만 쓸 수 있었지만, 거북선과 판옥선은 쌍돛배여서 역풍에도 사용할 수 있었다.

일본 문헌 <화국지(和國志)>는 “조선 사람의 해전은 육전과는 크게 다르다. 또 배가 크고 빠를 뿐 아니라 누각과 뱃전까지도 튼튼하고 두꺼워 우리 배가 부딪치면 모두 부서진다”라고 기록했다. <고려선전기(高麗船戰記)>는 “조선수군의 배가 쇠로 포장되어 포로도 파괴할 수 없었다”라고 했다.

그들이 무서워한 또 다른 무기는 조선의 화포였다. 특히 구경이 13cm나 되는 천자총통이 발사하는 대장군전, 대완구가 쏟아내는 비격진천뢰의 살상력은 엄청났다. 직경이 30cm 가까운 비격진천뢰는 철구 안에 화약과 쇠 파편이 들어 있어, 왜선 갑판에 떨어져 폭발하면 수많은 적병이 죽어나갔다. 조선 판옥선과 거북선은 그런 총통과 천뢰를 사방에서 발사해 적선이 접근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지금 남아 있는 선소 유적은 순천부 선소와 방답진 선소뿐이다. 본영 선소는 좌수영 본영이었던 진남관(鎭南館) 바로 아래 있었는데, 지금은 매립되어 ‘이순신 광장’이 되었다. 순천부 선소는 여수시청에서 남쪽으로 한 블록 거리의 해안, 가막만이 북쪽으로 깊숙이 파고든 만(灣)의 안쪽에 자리 잡고 있다. 당시는 여수가 순천부 관할이어서 그렇게 불렸는데, 고려 때부터 배를 만들고 수리하던 곳이어서 지금도 ‘선소마을’로 통한다. 방답진 선소는 돌산도 군내리 방답진 터에 아직 유허가 있다.

선소마을은 참으로 오묘한 지리를 가진 곳이었다. 이른 아침 숙소를 나와 택시를 타고 10여 분 달렸을 뿐인데 운전기사가 “다 왔소” 했다. 바다가 보이지 않는 곳에 선소가 있으랴 했더니, 바로 길 건너 숲속에 선소 유적이 숨어 있었다. 바다가 마치 호수 같았다.

사람이 가랑이를 벌리고 선 형상의 여수반도 한가운데, 국소에 해당하는 입지가 참으로 절묘했다. 남쪽으로 돌산도, 백야도, 개도 같은 섬들이 점점이 떠 있어 가막만 전체가 호수 같은 바다였다. 국소에서 또 하나의 작은 반도(망미산 돌출부)가 뻗어나가 선소 바다를 완전히 가려준다. 바다에서 보면 뭍이고, 뭍에서 보면 호수 같은 바다를 끼고 있다.

▲고소대에 있는 타루비
▲고소대에 있는 타루비

해발 100m도 채 못 되는 망미산은 이순신이 기마병을 훈련시키던 곳이다. 장군은 산 정상에 동백말채를 꽂아두고 “이 말채가 살아나면 내 영혼도 살고, 죽으면 내 영혼도 죽은 것이다”라고 했다는데, 지금도 살아 있으니 민족의 태양이 된 까닭을 알겠다.

선소마을 방문자를 처음 맞아준 것은 거북선을 만들던 굴강(掘江)이었다. 오목한 항아리 안처럼, 둘레에 석축을 쌓고 입구만 열어놓은 장난감 같은 항구 수면이 아침 해에 반짝이고 있었다. 강당 서너 개 넓이로 보아 거북선과 판옥선을 동시에 건조할 수 있는 규모로 보였다.

굴강 왼편으로는 근래에 복원했다는 대장간, 그 옆으로 세검정과 군기고가 자리하고 있었다. 대장간은 선재를 자르고 깎고 다듬는 연장을 만들던 곳이고, 세검정은 선소 지휘부, 군기고는 무기창고로 쓰였다 한다. 특이한 것은 세검정과 군기고의 기둥과 서까래, 마루, 문짝 등이 모두 검정색이라는 사실이다. 선소 위치가 쉽게 눈에 뜨이지 않게 하려는 배려 같았다.

세검정 앞 해변에는 계선주라는 돌기둥 하나가 외로이 서 있다. 배를 매던 용도라고도 하고, 벅수 역할까지 겸하던 것이라고도 한다. 돌장승 벅수는 선소마을 입구 도로변과 마을 안길에도 여러 기가 서 있다. 모두 무서운 얼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왜적과 잡귀의 근접을 퇴치하려는 민간신앙과도 무관치 않으리라.

여수는 이순신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곳이다. 출셋길에 들어 국난의 전쟁을 맞은 곳이고, 가장 오래 머문 곳이었다. 소문난 효자였던 그가 어머니까지 모시고 와 가까이에서 자식의 도리를 다하려고 애쓴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여수 곳곳에 그의 발자취가 남아 있다. 여수 버스터미널에서 진남관이 있는 도심부로 이어지는 간선도로 이름이 ‘좌수영로’다.

국보 304호인 진남관을 지나칠 수는 없었다. 성종 시대 수군절도영을 둔 이래 고종 대에 이르기까지 400년 넘게 여수는 남해 방비의 중심지였다. 그 본영이 진남관이다. 1599년에 지어진 좌수영 객사 건물로, 현존 관아 건물로는 가장 크다. 이순신 시대에는 그 아래 망해루가 좌수영 본영이었다.

진남관 길 건너에는 고소대(姑蘇臺)가 있다. 바다를 굽어보는 언덕은 좌수사의 장대로도 쓰였다는데, 지금은 유명한 타루비(墮淚碑)와 좌수영대첩비가 있는 곳이다, 보물 1288호로 지정된 타루비는 글자 그대로 눈물을 흘리는 비석이라는 뜻이다. 좌수영 수졸들이 장군의 붉은 마음을 잊지 말자고 돈을 모아 세운 비석이다. 그 뜻이 비문에 선명하다. “영하(營下) 수졸들이 통제사 이순신 공을 위하여 짧은 비석 하나를 세우고 타루(墮淚)라 이름 하나니….” 졸병들이 사령관의 충절을 기려 불망비를 세운 일이 우리 역사에 있었던가!

타루비 옆에는 보물 571호로 유명한 좌수영대첩비가 서 있다. 광해군 시대에 세워진 이 비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기로 이름났다. 높이 3.6m에 폭이 1.3m다. 비문은 이항복이 짓고 글씨는 명필 김현성이 써서 더욱 돋보였던 이 비석과 타루비는 명량대첩비와 함께 1942년 철거되어 행방을 모르다가, 광복 후 경복궁 근정전 앞뜰에 파묻힌 것이 발견되어 제자리로 돌아왔다.

진남관 뒷산은 종고산(鍾鼓山)이다. 여러 전설을 품은 여수의 진산인데, 특히 이순신과 관련한 전설로 유명하다. 무음산이란 별명을 가졌던 이 산은 난리 때 3일간 울었다 한다. 그 까닭은 이순신의 한산대첩을 알린 낭보였다는 설도 있고, 노량해전에서 순국한 비보를 전한 울음이었다고도 한다.

진남관에서 200여 m 바다 쪽으로 내려서면 바로 이순신 광장이다. 한 손에 칼, 한 손에 북채를 든 거대한 동상에 ‘민족의 태양’이라는 후세인의 헌사가 적혀 있다. 로터리 건너 바다에 면한 실물대의 거북선 모형은 방문자들의 촬영 욕구를 자극한다.

광장을 돌아 다시 북쪽으로 방향을 틀면 우리나라 최초의 이순신 사당으로 유명한 충민사(忠愍祠) 입구다. 1601년 이항복이 선조에게 품신해 통제사 이시언(李時言)이 세운 최초의 이순신 사당이다. 그의 부장 이억기(李億祺), 안홍국(安弘國)까지 함께 모셔져 있다. 장군이 가장 신뢰했던 이억기는 장군이 영어의 몸이 된 사이 칠천량 해전에서 순국했다. 선조 어가를 호종해 의주까지 갔던 안홍국 역시 안골포 해전에서 산화한 충신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저 아래 호수엔 하얀 윤슬… 충북 옥천군 ‘천상의 정원’
    저 아래 호수엔 하얀 윤슬… 충북 옥천군 ‘천상의 정원’
  • 크게 보고 처신한 넘사벽 컬렉터… 문화보국 염원한 전형필 가옥
    크게 보고 처신한 넘사벽 컬렉터… 문화보국 염원한 전형필 가옥
  • '글로컬 웰니스 관광 선도' 써드에이지, 웰니스캠프와 손잡아
    '글로컬 웰니스 관광 선도' 써드에이지, 웰니스캠프와 손잡아
  • 금오산 기슭, 고요가 고인 쉼터… 경북 구미의 유산 '채미정'
    금오산 기슭, 고요가 고인 쉼터… 경북 구미의 유산 '채미정'
  • 역사의 큰 곳집,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궁남지’
    역사의 큰 곳집,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궁남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